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단국대가 한남동에 계속 있었으면

... 조회수 : 10,818
작성일 : 2017-06-09 10:59:53

의대, 치대 있는 단국대가 서울에 계속 있었으면

서성한보다 높을지도...



IP : 221.139.xxx.166
5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6.9 11:01 AM (220.71.xxx.152) - 삭제된댓글

    입결이 많이 높아졌을 거예요

  • 2. 한남동
    '17.6.9 11:05 AM (121.161.xxx.219)

    땅덩어리 비싸죠
    단국대가 원래 의대 치대 다 있는 종합대학이죠
    전통도 오래됐고..국민대나 숭실대랑 같은 취급받을 학교가 아닌데 세종대는 더더욱 급이 안되고
    단국대가 더 좋다고 생각되네요

  • 3. 그러고보니
    '17.6.9 11:06 AM (121.161.xxx.219)

    연극영화과 탑3도 있네요
    중앙대 동국대 단국대 연극영화과 유명하죠

  • 4. 오잉?
    '17.6.9 11:08 AM (183.109.xxx.87)

    단국대 언제 이사갔어요? 검색해보니 용인 죽전이네요 ㅠ
    그럼 천안캠퍼스도 아직도 있나요?
    전혀 몰랐는데...그나저나 건국대가 병원도 짓고 완전 용 됐죠
    그동네가 그렇게 변할줄 몰랐는데 말이에요

  • 5. 학교가
    '17.6.9 11:10 AM (61.102.xxx.208)

    부동산 장사치 노릇을 하니 발전할리가 없죠.
    그래도 서성한보다 높았을거 같진 않고 삼국대 명성은 이어갔겠죠. 이젠 동대 건대랑은 차이가 확 나겠네요

  • 6. ...
    '17.6.9 11:12 AM (58.230.xxx.110)

    동문들 정말 속상하실듯~

  • 7.
    '17.6.9 11:13 AM (223.39.xxx.91)

    서성한 수준은 안됐을거에요
    건국대,동국대 수준은 했겠죠

  • 8. 건대는
    '17.6.9 11:13 AM (121.161.xxx.219)

    병원짓고 많이 올라간거지 옜날 기억하시는분들은 건대가 젤 낮았다는거 알꺼에요
    동국대도 낮았는데 말이죠 항상 고만고만..

  • 9. 서초동에
    '17.6.9 11:15 AM (121.161.xxx.219)

    아는분이 단국대 법대 78학번인가 암튼 사시패스하신분인데 옛날 단대법대 명성 자자했대요
    많은 법조인이 나왔다고 하던데 그땐 동대 건대보다 훨씬 위였던듯

  • 10. 스테파니11
    '17.6.9 11:15 AM (125.129.xxx.179)

    왠 서성한.이요..ㅋㅋ

  • 11. 모르죠
    '17.6.9 11:17 AM (121.161.xxx.219)

    서강대는 종합대학 반열이 아니고,
    성균관대도 서울안에 종합대학이 아니고 2캠으로 분리된 상황이고
    한양대 빼고는 성균관대는 삼성이 밀어주지 않았담 어찌 됐을지 아무도 모르죠
    옜날엔 성균관대 낮았거든요

  • 12. marco
    '17.6.9 11:19 AM (14.37.xxx.183)

    서초동에님...
    잘 모르시는 듯...
    60-70년대 본고사 있을때
    서울대법대 떨어지면 성균관대 법대로
    고대 법대 떨어지면 동국대 법대로 진학했습니다.
    후기대학 가운데 그 중 나은 대학이었으니까요?
    그 당시 지방 국립대 빼면
    서울에서 사시합격은 서울대 고대 성대 동대순이었습니다...

  • 13. 아니에요
    '17.6.9 11:23 AM (121.161.xxx.219)

    서울대 고대야 더 많이 나왔겠지만 단대 법대도 순위권이었대요

  • 14. marco
    '17.6.9 11:23 AM (14.37.xxx.183)

    70년대 후반 들어서 한양대에서 엄청 투자를 했지요.
    즉 성적장학생으로 4년 장학금에 생활비 보조까지
    그렇게 해서 한때 한양대에서 사시나 회계사를 많이 합격시켰습니다.
    그러니 합격자는 80년대 초부터 나오기 시작했을 듯...
    성균관대학도 의대가 없는 약점은 있어도
    사실 단국대하고 비교할 대학은 아니었습니다...
    봉명에서 다시 삼성으로 넘어가면서 의대신설의 옵션이 이루어져서
    더 좋아진 면은 있으나...

  • 15. 원글에 공감..
    '17.6.9 11:24 AM (210.97.xxx.247)

    90년대에

    단국대가 성대급 되는게 빠를까? 세종대급 되는게 빠를까?
    했으면
    100이면 100. 전자 선택 했을듯요.

    국숭세단이라...
    최근에 듣고 깜놀했어요.

  • 16. 성대
    '17.6.9 11:25 AM (121.161.xxx.219)

    80년대 초반에 나온 지인이 있어요
    특별한 과는 아니였고요 학교 낮았대요
    문과대만 있는 학교인줄 나머지과는 많이 낮았대요
    7080년 당시는 지금 시각으로 보면 안됩니다

  • 17. 아무튼
    '17.6.9 11:26 AM (210.97.xxx.247)

    당시는 "인서울" 이 절대적 기준이 될줄은 몰랐죠.

    지방이라도 부산대.경북대 일부과는 연고대와 비슷비슷했었으니..

  • 18. ㅣㅣ
    '17.6.9 11:26 AM (223.62.xxx.181) - 삭제된댓글

    건대가 참 많이 발전한거 같구요
    지금도 건동홍 중에서 인지도나 인식면에서도
    제일 나은거 같은 느낌이 들잖아요
    사실 공대도 건대보다 홍대에서 대기업 들어가는
    수가 많다고 들었는데
    어쨌든 뭔가 인식이 건대가 훨씬 나은 느낌이죠

    중경외시 밑으로는 건대가 많이 더 좋아질거 같긴
    해요 세월따라 야금야금 올라갈거 같긴 합니다
    돈 많은 학교에서 팍팍 더 투자하고 밀어주면
    더 앞당겨질테구요

  • 19. 사람들이
    '17.6.9 11:28 AM (121.161.xxx.219)

    만들어낸 말이죠
    건동홍 이말도 넘 웃김 홍대가 거기 왜끼냐 ㅋㅋ
    중경외시 이런말도 넘 웃겨요 이상한 조합이에요

  • 20. marco
    '17.6.9 11:30 AM (14.37.xxx.183)

    단국대 의대가 1988년도에 생겼군요.
    서울에 엄격히 의대신설을 제한하던 것이었으니
    이전을 조건으로 의대 신설이 가능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단국대가 한남동에 그냥 있었으면
    의대 설립이 안됩니다.
    따라서 성대와 비교하는 것은 무리인 듯...

  • 21. ㅣㅣ
    '17.6.9 11:31 AM (223.62.xxx.181) - 삭제된댓글

    단국대가 그렇게 되고 홍대가 들어간 거잖아요
    홍대는 시설투자를 너무 안하는 거 같아요

    완전 틀린 조합도 아니에요

  • 22. 단대법대
    '17.6.9 11:31 AM (175.223.xxx.224)

    꽤 쎘어요.
    국회의윈수도 꽤 많았고.
    옛날얘기됨.

  • 23. ...
    '17.6.9 11:32 AM (125.128.xxx.114)

    서울에 있었음 훨씬 입결 높았을듯요

  • 24. 단대 의치
    '17.6.9 11:33 AM (175.223.xxx.224)

    는 원래 천안이에요.
    서울캠퍼스 이전은 그냥 재단 땅장사 차원.

  • 25. ....
    '17.6.9 11:40 AM (220.71.xxx.152)

    1997년 성대에 의대가 생기면서 삼성이 재단에 합류했죠
    단국대 이전은 2007년인가.. 그즈음 아닌가요?

    암튼 1997년.. 수시제도도 생기고 삼성이 성균관대학도 인수하고..허가 잘 안해준다는 서울 내 의대도 허가해준해였네요

  • 26. marco
    '17.6.9 11:43 AM (14.37.xxx.183)

    성대가 그렇게 좋은 대학이 아니었다는 분들은
    어느나라에 살다 오신 것인지...
    물론 재단으로 굴곡이 있기는 했지만...
    서울에서 스카이빼고 바로 성대였습니다.
    물론 지금처럼 지방국립대가 망하기 전이니까
    부산대 경북대 전남대 정도는 성대보다 앞선다고 볼 수 있지만
    물론 공대야 한양대가 앞선다고 하더라도
    단국대와 비교할 대학은 아닙니다.
    사법고시 배출인원만 해도
    랭킹 4위입니다.
    이것도 사실 연세대가 80년대부터 법대도 엄청 좋아져서 그런거죠...

  • 27. marco님은
    '17.6.9 11:46 AM (121.161.xxx.219)

    성대 훌리건 같아요
    성대 옜날분들은 다 알아요
    안높았다니까요
    삼성 지원 이후 높아졌지 옛날엔 종합대학으로 인지도 낮았어요

  • 28. 헐...
    '17.6.9 11:49 AM (220.71.xxx.152) - 삭제된댓글

    성대는 후기대학이었죠
    스카이 다음이라니... 헐.. 그건 아닙니다.
    후기로 납치되듯 들어갔지만 그래도 대부분 재수했죠

  • 29. 헐...
    '17.6.9 11:50 AM (220.71.xxx.152) - 삭제된댓글

    아니 허가 안해준다는 의대 허가해줘,
    입시제도도 수시로 바꿔줘.. 대학에게 학생뽑는 자율권까지 줘.. 삼성에서 돈 퍼부어..
    그래서 좋아진게 성대예요.

  • 30.
    '17.6.9 11:52 AM (220.71.xxx.152)

    성대는 후기대학이었죠
    스카이 다음이라니... 헐.. 그건 아닙니다.
    후기로 납치되듯 들어갔지만 그래도 대부분 재수했죠

    무엇보다 허가 안해준다는 의대도 허가해줘,
    입시제도도 수시로 바꿔줘.. 대학에게 학생뽑는 자율권까지 줘.. 삼성에서 돈 퍼부어..
    그래서 좋아진게 성대예요.

  • 31. ㅣㅣ
    '17.6.9 11:53 AM (223.62.xxx.181) - 삭제된댓글

    건동홍(특히 건대)과 지거국(특히 부산대,경북대)
    입결이 비슷해서 비교 많이 하는데

    만약 지거국 갈 성적인 애들이 건동홍으로 더 많이
    가면
    지거국은 더 내리막길로 가고 건홍동 들어가긴
    더 힘들어지고 그렇겠지요

  • 32. marco
    '17.6.9 11:53 AM (14.37.xxx.183)

    121.161.xxx.219
    제가 성대 훌리건은 아니구요...
    제가 저위에 올렸습니다.
    60-70년대 전후기 있을때
    서울대 떨어지면 후기인 성균관대학 갔습니다.
    그때로 따지면 서강대가 엄청 큰거죠...
    더이상 논쟁의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 33. ....
    '17.6.9 12:00 PM (110.70.xxx.104)

    마르코님 말이 맞아요.

    대학 전기, 후기 있을때 얘기니까
    그때는 서울대 떨어지면 가는 후기대학이 성대였어요.

    입시제도도 하도 여러번 바뀌고
    대학도 투자하는만큼 커지다보니까
    옛날과는 많이 달라졌죠. 대학 서열이요.

  • 34. 그러니까요
    '17.6.9 12:02 PM (121.161.xxx.219)

    아시다시피 후기대 인식이 얼마나 안좋았는지 아시죠?
    성대 외대는 후기대라 인식이 아주 안좋았어요
    학교가 낮았다고요

  • 35.
    '17.6.9 12:04 PM (121.161.xxx.219)

    서울대 떨어지면 가는곳이 아니라요 전기대 떨어지면 가는곳이죠

  • 36. 음.
    '17.6.9 12:07 PM (210.97.xxx.247) - 삭제된댓글

    ㄹ혜 총리들 정홍원ᆞ이완구ᆞ황교안 모두 성대.
    후기로.
    노무현과 붙었던 지역감정 조장 부산 허태열도요.
    일부과 후기는 쎄긴 했나봅니다.
    아는 연배분. 굳이 성대법대 나왔다고 하심..
    그분이 후기인지 전기인지는 모름.
    나 설대 떨어지고 왔어.라고 하시는건지 전기(가 있었다면) 에 들어왔지만 슬쩍 후기에 묻어가려는지.

    이과는 수원인데
    그래도 약대가 있고 문과빨로 어느정도 위치는 있었구요.
    한대에는 많이 밀렸죠.

    서강대는
    서연고 다음이긴 함.
    경제학과나 철학.. 이과에도 물리학과 등.
    쪽수가 적어서..

    아무튼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
    소위 족보전파로 고착화. 훌리건논쟁들이 입시게시판에
    훨 덜 보이긴 함.

  • 37. 음..
    '17.6.9 12:08 PM (210.97.xxx.247) - 삭제된댓글

    ㄹ혜 총리들 정홍원ᆞ이완구ᆞ황교안 모두 성대.
    후기로.
    노무현과 붙었던 지역감정 조장 부산 허태열도요.
    일부과 후기는 쎄긴 했나봅니다. 
    아는 연배분. 굳이 성대법대 나왔다고 하심..
    그분이 후기인지 전기인지는 모름.
    나 설대 떨어지고 왔어.라고 하시는건지 전기(가 있었다면) 에 들어왔지만 슬쩍 후기에 묻어가려는지.

    이과는 수원인데 
    그래도 약대가 있고 문과빨로 어느정도 위치는 있었구요.
    한대에는 많이 밀렸죠.

    서강대는 
    서연고 다음이긴 함.
    경제학과나 철학.. 이과에도 물리학과 등.
    쪽수가 적어서..

    아무튼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 
    소위 족보전파로 순위 고착화.
    훌리건논쟁들이 입시게시판에 
    훨 덜 보이긴 함.

  • 38. 성균관대학이
    '17.6.9 12:10 PM (1.225.xxx.199)

    2차였을 때....서울대 떨어진 사람들은 다 성균관대학 갔습니다.70년대엔 분명히 그랬어요. 전 80학번이구요....제 기억이 확실합니다.
    근데...몇년도인지 자세히 기억은 안나는데 2차가 아니라 1차가 된 후 레벨이 확 떨어지긴 했었습니다. 한때.
    단국대학은....치대가 먼저 생겼구요...다음에 의대가 생겼는데 다 천안캠퍼스입니다. 서울엔 사학과가 좀 유명했구요....
    국대 중엔 동국대가 예전부터 문과대학이 셌었어요. 국문과에서 유명한 분 많이 배출했구요....
    건국대학은 원래 농대가 가장 셌었던 대학입니다. 80년대 초던가 70년대에 대학 부속 병원(민중병원)만들면서 조금씩 투자 늘려갔지만 의대는 없었구요.....세종대학은 수도여자사범대학시절엔 그래도 이미지 괜찮았는데 남녀공학되면서 점수도 이미지도 많이 떨어졌다가 예체대가 좀 괜찮아진 거로 알아요.
    서강대학은 단과대로 1차였잖아요. 서울대, 연고대 갈 성적 안되면 서강대 갔었구요. 그래서 성균관대 2차라 서울대 낙방생들이 주축이라 비슷하리라 생각됩니다. 문과대학 기준에서요.

  • 39. 단대 93학번
    '17.6.9 12:11 PM (121.162.xxx.131)

    94년도인가? 95년도인가 이전 발표 하고 나서 데모 무지 많이 했던 기억이 나네요. 세상을 알았다면 데모 안 했을 텐데, 학생들이 그것한다고 달라질 것도 아니고. 지방에서 단대로 입학한 저는 진짜 짜증나요 ㅎㅎ. 다른 과는 그닥이고 법대랑 상대만 조금 알아주는 정도였을 거에요. 그래도 지금만 하겠습니까... 동기들 보면 성실하고 크게 모나지 않은 중간? 이라 그런가 크게 성공은 못했을지 몰라도 직장 생활들 잘 하고 사회에서 잘 지내더라고요. 촛불 집회가서 동기 모임하는 줄 알았어요 ㅎㅎ

  • 40. 1.225
    '17.6.9 12:16 PM (210.97.xxx.247) - 삭제된댓글

    네 건대 농대가 쎘었어요.
    집안분 건대축산과 점수가 안되서 서울대축산과 나오셨다고 하심.

  • 41. 참참
    '17.6.9 12:24 PM (110.70.xxx.70)

    후기라 어쩔 수 없이 간 애들이 있었을 뿐이지요
    그옛날 성대가 스카이 다음이라 주장하다니요
    법대정도나 좀 그랬을까요?
    아니피 딱 딱 적어가며 지적하시는게 좋아보진
    않네요

  • 42. 성대는
    '17.6.9 12:32 PM (175.223.xxx.134)

    아무튼 삼성덕에 무지 큰거는 맞아요.
    서성한 고착화되어 내려갈거 같지도 않음.

  • 43. 반면
    '17.6.9 12:34 PM (175.223.xxx.134) - 삭제된댓글

    단대는 몰락.

    성대와 단대 차이가 크지 않았었으니.

  • 44. 뜬금없이
    '17.6.9 12:57 PM (1.225.xxx.50)

    외대까지 호출되었네요.
    이보세요 외대는 전후기 분할모집이었어요.
    외대도 개나 소나 가는 대학은 아니었고
    성대도 마찬가지구요.

  • 45.
    '17.6.9 1:14 PM (223.62.xxx.181) - 삭제된댓글

    왜 이야기가 삼천포로 빠지는지

    쨌든 단국대가 용인으로 안갔다해도
    서성한 뿐만아니라 중경외시에도 일되는 건 물론이고
    건대 따라 갔겠죠
    그러나 건대 단북대 동국대
    삼국대 트로이카는 유지되었을 겁니다
    대학이란게 위치와 대기업과의 산학협력이 중요한데..

  • 46. ...
    '17.6.9 1:20 PM (223.33.xxx.95) - 삭제된댓글

    80년대에 성대 별로 안높았어요.
    지방국립대 수준정도..
    어떤과는 지거국보다 성대가 낮았어요.

  • 47. ...
    '17.6.9 1:23 PM (125.128.xxx.114)

    90학번요....성대는 후기대 중에 톱이었으니까 서울대 떨어진 애도 가고 더 안좋은데 떨어져도 가고 그랬어요...그 시절 성균관대 정말 안 쳐 줬어요..최근에 와서 큰거죠...

  • 48. 대학은
    '17.6.9 1:31 PM (39.7.xxx.155) - 삭제된댓글

    연령대 따라 이미지가 다를수는 있어요.
    아는집 세종ㅡ단국 중에 세종대 갔다는 얘기 들었는데
    제가 놀라듯 (세종대 폄하의도 없어요 ㅠ)
    지금 학생들 옛날 얘기로 들리겠지요.

    2차대.
    전후기분할.
    분할이었다가 다시 백퍼 전기만.

    이런거 따라 위상 급등락한 경우 많죠.

  • 49. 음..
    '17.6.9 2:19 PM (211.36.xxx.232)

    저 94학번인데..그땐 삼국지대학이라고..동국단국건국..
    서성한급은 아닌듯.

  • 50. 기억재소환..
    '17.6.9 3:23 PM (210.97.xxx.247) - 삭제된댓글

    우스개인데 대학역사 누가오래됬나..

    연세대ㅡ일제. 선교사
    성균관ㅡ조선시대
    고려대ㅡ고려시대
    신라대ㅡ삼국...

    단국대ㅡ단군...

  • 51. ...
    '17.6.9 6:09 PM (220.103.xxx.69)

    옛날에는 삼국대라고..
    건 동 단국대.

  • 52. ...
    '17.6.9 6:12 PM (220.103.xxx.69)

    성대 한대는 70년대는 전후기가 있어
    전기 떨어지고 실력있는 애들이 문과는 성대법대
    이과는 한양공대 갔죠. 80년대 후반 한대가 장학금을 많이
    주고 우수한 아이들 뽑아서 키웠죠.
    경희대도 조머시기 총장 재임한 70년대에 장학금과 의대 키우기 많이 했어요.

  • 53. ☆☆☆
    '17.6.10 4:13 PM (210.106.xxx.62)

    허참~서울 안가본 사람이 이긴다고... 70년대 살아본 사람들이 성대법대,한대공대가 유명하고,서울대 연고대 담으로 성대가 좋았다면 그런 줄 알지. 박박 우겨대는것들은 뭔지.
    글보다 열받아서 쓰게 만들고 있네
    동국대도 5,60년대는 서울대만큼 명성을 떨쳤다고 함.
    유명한 문인들이 이때 많이 나왔고
    70년대 성대는 지방 분교라는게 아예 없던 때 공부 잘하는 애들이 갔던 대학 맞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01167 신서유기 베트남편 웃겨요.보세요.^^ 9 ... 2017/06/21 3,033
701166 YTN 사장은 2파전 11 고딩맘 2017/06/21 1,737
701165 소금물에 씻어놓은 매실이 말랑해졌는데 장아찌해도 되나요? 2 매실 2017/06/21 673
701164 지역인재 반대 공무원 수험생 들어오세요. 5 드로와 2017/06/21 872
701163 오늘 뉴스공장 '과학하고 앉아있네' 11 .. 2017/06/21 2,322
701162 지금 서울도 바람 많이 불어요? 2 바람 2017/06/21 1,016
701161 지인이 듣는책을 자주이용한다고 하는데.. 5 ㅇㅇ 2017/06/21 1,242
701160 퇴사 때 아무리 엿같아도 6 플라이 투더.. 2017/06/21 2,964
701159 샌드위치를 만들었는데 맛이 그냥그래요 10 질문 ㅠㅠ 2017/06/21 3,256
701158 최근에 인사동 산타페 가보신 분??? 2 Nn 2017/06/21 611
701157 이 아줌마 대체 뭐죠 13 이 아주머니.. 2017/06/21 4,834
701156 전원책 변호사, TV조선 메인뉴스 앵커 맡는다 14 그렇군요 2017/06/21 2,499
701155 자한당 5행시 이벤트..ㅋㅋ 17 자스민향기 2017/06/21 2,201
701154 간염예방주사 관련 해외 2017/06/21 318
701153 이유없이 습관적으로 머리카락 뽑는거 정상이 아닌건가요? 10 ... 2017/06/21 2,669
701152 6차선 대로변 25층 이상 시끄러울까요? 6 dma 2017/06/21 1,018
701151 요리하는 조선 남자 라는 책 재미있어요 3 .. 2017/06/21 1,199
701150 하루만 못생겨보면 좋겠어요 흑흑 25 몬생김 2017/06/21 6,056
701149 다운 헤어? 여기서 손질하신다는분 말에 혹.. .. 2017/06/21 425
701148 그 얘는 단지 섹스대상이라는 남자 20 왜하필 2017/06/21 9,665
701147 결혼안한 사람에게 결혼하라는 이유가 뭘까요 20 별빛 2017/06/21 3,526
701146 부케받는 사람 결혼식 복장 4 익명 2017/06/21 2,324
701145 어제 심은하글 갑자기 뭐였죠? 14 ... 2017/06/21 17,523
701144 문통령 일자리 일자리 외치는것도 이젠 듣기싫네요!! 91 ^^ 2017/06/21 3,396
701143 국토위,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청문보고서 채택 5 ,, 2017/06/21 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