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내가 의도한다고 그런 인간이 되지 않는다. (글 나눔)

깨달음을 나눔 조회수 : 1,315
작성일 : 2017-06-01 22:04:42
이런 저런 책들을 읽고, 삶을 경험하다 보면 가끔 느껴지는 것들이 있는데 이를 여러분들과 나누고자 합니다.
1번은 우리들 각자 모두와..  2번은 부모입장인 사람이나, 어르신들, 회사 등 조직에서의 상사..와 관련이 있을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저는 가끔씩 1번을 생각하면서 소름끼칠때가 있어요
아니 어떻게 어린시절부터 성인이 되어서까지 내내 잘못 알고 있었을까..  생각하면 너무나 끔찍하게 느껴집니다.  

(글이 써지는 대로 쓴 것이고 정리된 글은 아닙니다.. 중언부언이어도 양해바래요 )
==============================================================================


내가 의도한다고 그런 인간이 되지 않는다. 


1. 좋은 사람이 된다는 것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면 좋은 사람이 될 줄 알았다.그래서 온갖 규칙들을 열심히 준수하였으며, 자신의 화, 짜증,., 등 모든 부정적인 감정들을 억제하고 참으며 선한 좋은 사람이 되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결국 본인의 실제 속 마음안에 분출되지 못한 화와 억울함이 가득찬 사람이 되어  버렸으며,  그 정도가 심해지면 결국 자신이 자기자신을 컨트롤하지 못하는 사람이 된다.  즉  선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  자신을 그런 사람으로 만들고자  스스로를 제약하면 할수록 , 선하고 좋은 사람과는 정반대의 사람이 되어 버린다.   선해지려 할수록 억눌리고 피해의식에 가득찬 사람이 되어 정도가 심해지면 폭발하기 일보직전의 사람이 위태로운 사람이 된다.

==> 좋은 사람이 되려고 하기보다는, 자신의 모든 감정, 느낌을 전부 다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상은 선과 악 그 둘다로 이루어져 있고, 흑과 백, 나아가는 힘과 움츠려드는 힘.  즉 상반되는 힘의 운동성 그 자체이다.  그러한 두 요소의 운동성이 신이 만든 완벽한 세상이고 우주만물인데,  그 자체로 이미 완벽한 것을 두고 내 안의 검은색을 쪽 빼내고 흰색의 사람이 되고자 한다는 것은(좋은 사람이 되고자 하는것) 스스로 병신이 되겠다는 것과 다름없다.   우리의 요소중 분노, 짜증, 실망, 우울,.....그 모든것은 다 존재자체로 존중받아야 하는 것이지 제거하거나 억눌러야 할 부정적인 대상은 아니다.  충분히 그 각각을 존중하고 필요한 만큼 느끼고 나면 그것은 저절로 지나가게 되어 있는데.. 그것을 외면하거나 억누르려 하면 영원히 가슴안에 갇혀서 계속 누적해서 쌓이게만 될 것이다.  

우리는 모든  흰색, 검은색의 모든 전 요소가 존재하는 온전한(!) 사람이 되도록 해야지 선한 좋은 사람이 되고자 노력해서는 안될것이다. 그것은 내안에  완벽한 시스템, 즉 신이 만은 흑, 백 두 요소의 운동성을 망쳐버리고 병든사람으로 가는  지름길인 것이다.   이제 내 안에 화가 올라오면 그순간은 오롯이 화를 존중하고 느껴야 할것이며,  내앞의 아이가 화, 짜증을 낸다면 그것을 켤코 나쁜것으로 억제하게끔 하여서는 안된다.  그 또한  건강한 인간의 요소로서 필요하고 존중하여야 하는 요소임을 아이도 느끼게끔 해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좋은 사람, 선한 사람이 되고자 할 것이 아니라, 온전한 인간이 되어야 한다.   이 온전한 인간은 청렴결백한 선하기만 한 인간이 아님을 명심하라.  자신의 모든 요소들(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부정적인 감정까지도 다 포함된)이 전부 다 내안에 존재할 수 있도록 존중하여 주다 보면 어느새 자신은 온전한 사람이 되어 있을 것이다.  반쪽짜리 존재인 선한 사람이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  온전한 존재가 되어 있을것이다


2. 권위 있는 사람 (특히 어르신들)
본인이 권위를 내세우면 권위있는 사람이 된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한마디에 아랫사람들이 착착 따라주어야 하고.  그런것들이 잘되기 위해 좀 더 잔소리를,  야단을 치고.. 압박을 가하게 된다.   그러나 결국 이런식의 강압과 일방적인 지시는  본인의 권위가 세워지는 것이 아니다.   아랫사람들의 실제의 속마음은 일방적으로 자신들의 의지가 꺾인것에 대한 불만과 억울함 이 실제 속마음에 가득차게 된다.  자신들을 존중하지 않고 억지로 휘두르려고 할수록 권위, 존경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그 상관을 대하게 된다.
즉,  어르신들이 자신의 권위를 내세우려고 하면, 자기의지로 권위자가 되려고 하면 할수록 자신의 권위는 땅에 추락한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자신의 권위는 그렇게 내가 의도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드높임을 스스로 내세우지 않고,  내 앞의 존재(아랫사람들, 자녀들 등등) 를 나와 똑 같은 인간으로 함께 존중하여 주다보면 어느새 그들이 자신을 우러러봄에 따라 자신의 권위는 자연스럽게 생격나는 것이다. 그들에 의해.

따라서 권위있는 자가 되고 싶다면,  내가 더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며 그들을 내 의지대로 휘두르려 하고, 나를 그들보다 더 드높이려 할 것이 아니라, 그저 자기앞에 나타나는 모든 인간을 자신과 같은 인간으로서 동등하게 존중하는 마음으로 대해주면 되는 것이다.  그러면 어느새  나의 권위는 저절로 높아져있다.  내가 높아지려고 커지려고 의도하지 않을때 바로 그렇게 된다
IP : 110.70.xxx.19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도대체
    '17.6.1 10:07 PM (210.97.xxx.5)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온전한 사람이 되기를 목표하기.... 발상의 전환이네요.

  • 2. ..
    '17.6.1 10:23 PM (180.70.xxx.142)

    저장해서 다시 차분히 읽어보겠습니다..

    좋은 글 감사드려요

  • 3. 커피믹스
    '17.6.1 10:43 PM (182.222.xxx.212)

    좋은글 감사합니다

  • 4. 아이사완
    '17.6.1 10:49 PM (175.209.xxx.23)

    1.
    사람마다 격이 다르지요.
    안타깝지만...
    상대에 따라 태도가 달라지는 건
    좋은 것은 아니지만
    상대가 나를 어떻게 대하는 지는
    내가 어떻게 가르쳤는지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2.
    서번트 리더쉽.
    조금 다른 이야기인데...
    권위주의, 소유론적 가치관,
    경쟁을 부추기는 사회, 그리고
    속물주의는 모두 연결되어 있더군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재미있게 사세요.
    *^^*

  • 5. ㅁㅁ
    '17.6.1 11:19 PM (58.231.xxx.98)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 합니디

  • 6. 좋은글
    '17.6.1 11:29 PM (114.207.xxx.152) - 삭제된댓글

    감사합니다.
    저는 1,2번처럼 살고 있는데 (어떤 인위적인걸 하려는 자체가 스트레스인지라) 안타깝게도 한국사회는 그러기엔
    아직 미숙한 사회인것 같네요..
    일이십년후엔 달라지리라 생각됩니다.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01064 한번 사용한 프라이팬은 무조건 씻나요? 10 부끄 2017/06/21 3,691
701063 저는 늘 은따인것 같아요^^ 3 내마음 2017/06/21 2,202
701062 어떻게 떨쳐버릴까요, 어떻게 정신 차릴까요. 6 정신차리자,.. 2017/06/21 1,086
701061 다니엘헤니 출세한듯요 45 오우 2017/06/21 19,373
701060 여자 친구는 어떻게 사귀나요? 1 ... 2017/06/21 727
701059 아구찜 살이 원래 쫄깃하지않나요?? 9 .... 2017/06/21 1,030
701058 옛날에는 남자 외모 볼 때 키 잘 안봤나요? 21 .... 2017/06/21 3,033
701057 대만 탈원전 보라..던 청와대, 원전 재가동하자 '머쓱' 24 ........ 2017/06/21 2,022
701056 4,5월데 다이어트 열심히하다가 6월부터 요요오는 중인데 8 ... 2017/06/21 1,490
701055 신협이 그래도 이율이 높은가요? ... 2017/06/21 618
701054 나이들수록 맛있다고 느끼는 음식이 점점 없어지나요? ㅠㅠ 38 타이홀릭 2017/06/21 6,751
701053 시험치러 서울상경 청량리역 3번 출구 숙박시설~~~ 7 11111 2017/06/21 749
701052 에바폴라 퍼스널 에어컨 써 보신 분 계세요? 1 더워요 2017/06/21 1,835
701051 배와 엉덩이에 힘 주다보니 숨이 안쉬어지는데요. 2 걷기 2017/06/21 891
701050 국민의당, 호남 찾아 "우리는 협력하고 있지만 文정부가.. 23 ar 2017/06/21 2,300
701049 위기의주부들 7 주부 2017/06/21 2,260
701048 도종환 장관 ...女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 IOC와 협의하겠다... 3 ........ 2017/06/21 731
701047 여자혼자 전주 한옥마응이랑 속초 여행중 어디가 좋을까요? 13 .... 2017/06/21 2,882
701046 야당들은 왜 세금만 따박따박 받아먹고 9 .. 2017/06/21 679
701045 이번주 인간극장 보신분요 8 대단 2017/06/21 3,866
701044 냉동불고기문의드립니다 살림초보 2017/06/21 238
701043 평소에 만만하고 착하기만 하던 친구 18 ;; 2017/06/21 8,817
701042 최순실재산 어마어마하다 13 우병우구속하.. 2017/06/21 4,010
701041 초간단동치미 -새콤한데 톡 쏘지 않아요 9 초보 2017/06/21 988
701040 릴렉스요가와 하타요가 중 허리 안 좋은데 어느게 나을까요? 3 허리 2017/06/21 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