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017 대선주자 검증 시리즈 Ⅱ - 문재인

산여행 조회수 : 467
작성일 : 2017-04-04 06:56:18

아침부터 검증 원치않았는데요. 친문들이 너무 원해서...


 각종 의혹 논란에 ‘모르쇠’로 일관…안보 불안 가중시켜
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3251

얼마 전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나는 가장 잘 준비되고 검증이 끝난 깨끗한 후보”라고 자화자찬해 정치권 안팎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검증은 국민이 시작하고 끝내는 것인데 다소 후안무치한 자평이라는 비판도 제기됐다. 아들 특혜 채용 의혹, 부산저축은행 수임 비리 의혹, 대북결재 의혹에 대한 모르쇠 일관 등 해명해야 할 말이 산적한 상황임에도 스스로 검증이 끝난 후보라고 주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민은 문 전 대표에 대해 크게 의심하고 매우 불안해하고 있다는 것을 문 전 대표가 간과하는 것 같다.
대권 도전에 나선 문재인 전 대표의 아들 준용 씨가 정부기관 채용과정에서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 논란이 고조되고 있다.

준용 씨는 지난 2006년 12월 고용노동부 산하기관인 한국고용정보원 일반직 5급 공채에 합격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석연치 않은 정황이 속속 드러나면서 특혜 채용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아들 취업 특혜 의혹 논란

첫째, 준용 씨는 12월 6일로 명시된 서류제출 기한을 무려 5일이나 넘겨서 제출했음에도 불구하고 불이익을 받지 않고 서류전형에 무난하게 합격했다.

둘째, 고용정보원은 통상 15일간 채용공고를 하도록 한 규정을 어기고 사흘간만 채용 공고를 냈다가, 준용 씨가 응시했음을 확인한 후 곧바로 홈페이지 채용 공고문을 삭제했다.

셋째, ‘동영상 전문가’를 뽑는다는 것이 외부에 알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준용 씨가 자기소개서에서 ‘동영상 전문가’임을 10여 차례나 언급했다.

넷째, 특수경력직도 아닌 일반직으로 연봉 3450만 원을 받는 공기업 5급직에 자격증이나 실무 경험이 없는 준용 씨만 단독으로 지원하여 합격했다.

다섯째, 권재철 고용정보원장은 민정수석실 행정관으로 문재인 전 대표(당시 민정수석)와 청와대에서 함께 근무하다 고용정보원장에 취임했다.

이와 같은 의혹과 관련 권재철 당시 고용정보원장은 “신생기관이다 보니까 직원들이 인사행정을 잘 몰랐다. 특혜는 아니었지만 행정상의 미묘한 실수로 인해서 오해를 샀다”고 해명한 바 있다.

또한 채용 조기 마감에 대해 “좋은 분이 오셨기 때문에 더 이상 연장할 필요가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극심한 취업난 속에서 명문대 석·박사학위자들도 취업하기가 어려운 정부기관 채용에 문재인 전 대표의 아들은 채용공고 정보를 사전에 혼자만 다 알고, 혼자 지원해서 결국 혼자 합격했다는 것으로 보는 의혹의 시선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부산저축은행 밀어주기식 수임 의혹 논란

문재인 전 대표는 부산저축은행 감사에 압력성 청탁을 넣은 대가로 자신이 설립한 법무법인 ‘부산’이 2004년부터 2007년까지 59억 원 규모의 밀어주기식 사건 수임을 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부산저축은행 사건은 4조5천억 원이 넘는 불법대출과 2조5천억 원 가량의 회계비리 등, 7조 원대 부정이 저질러져 사상 최악의 금융권 부정ㆍ부패사건으로 알려졌다. 부산저축은행의 부정 비리는 규모, 수법, 피해액, 피해자 수 등에서 상상을 초월할 정도여서 언론도 이 사건을 “단군 이래 최대 금융사기 사건”이라 칭한다.

그런데 결정적인 문제는 현재 대권 도전에 나선 문재인 전 대표가 대표로 있던 법무법인 ‘부산’이 2004~2007년(노무현 집권기) 사이에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59억 원의 수임료를 받고 사건 변호를 수임했다는 것이다. 또한 문재인 전 대표는 2003년 청와대 민정수석 당시 금융감독원의 부산저축은행 감사와 관련해 금감원 담당 국장에게 청탁성 전화까지 걸었다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부산의 서민들과 자갈치시장 상인들이 한푼두푼 모은 피 같은 돈을 천문학적으로 사취해간 부산저축은행은 ‘부산의 공동적(敵)’으로 규탄받고 있다. 이 가운데 부산 출신인 문재인 전 대표가 부산저축은행을 변호하기 위해 사건을 수임하고, 사건청탁(?)전화까지 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문재인 전 대표 측은 이러한 의혹이 제기될 때마다 강력하게 부인했다. 그리고 문재인 전 대표가 25%의 지분을 가졌던 법무법인 ‘부산’은,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었던 문 전 대표가 부산저축은행에 대한 금감원 조사를 무마해준 뒤 ‘부산’이 이 은행으로부터 59억 원의 수임료를 받았다는 요지의 주장을 한 새누리당 이종혁 전 의원을 2012년 3월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으로 고소했다.

그러나 이 사건을 담당한 부산지방검찰청은 2012년 8월 30일 피고소인 이종혁에 대해 ‘혐의 없음(증거불충분)’으로 결론 내렸다.

검찰은 문재인 후보가 2003년 청와대 민정수석을 할 당시 부산저축은행 그룹 조사를 담당한 금감원 유모 국장에게 전화해 압력을 행사한 의혹이 있다는 부분에 대해 “유병태(금감원 전 비은행 검사1국장), 박형선(부산저축은행 그룹 대주주)의 진술에 의하면 2003년 문재인 당시 민정수석비서관이 부산저축은행 그룹 검사를 담당하고 있던 유병태에게 ‘철저히 조사하되 예금 대량인출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중히 처리를 해 달라’는 취지로 전화한 사실이 인정되고, 그렇다면 ‘문재인이 금감원 유모 국장에게 전화한 의혹이 있다’는 기자회견 내용은 진실에 부합한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그리고 문재인 전 대표가 지분(25%)을 가진 고소인 법인이 2004~2007년 부산2저축은행으로부터 59억 원의 뇌물, 청탁로비 사례적 성격의 수임료를 받은 의혹이 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부산저축은행 그룹의 부실채권 추심소송 위임내용을 확인한 결과 2004~2007년 사이에 부실채권의 지급명령 신청 등 사건의 수임료로 ‘부산2저축은행’이 고소인 법인에 약 59억 원을 지불한 사실이 인정되고, 그렇다면 이종혁 의원의 ‘고소인 법인이 2004~2007년 약 59억 원의 수임료를 부산2저축은행으로부터 받았다’는 부분은 진실에 부합한다”고 판시했다.

검찰이 이와 같이 결론 내림에 따라 문재인 수석의 전화 이후 부산저축은행은 영업정지를 당하지 않은 채 금융사기를 계속 이어나갔고 법무법인 ‘부산’은 이 은행으로부터 부실채권의 지급명령 신청 등 사건을 수임해 약 59억 원을 벌었다는 사실이 확인된 셈이다. 게다가 부실채권의 독촉이란, 카드 빚 독촉으로서 외부에서 변호사를 따로 선임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간단한 일이라 59억 원이란 너무 큰 액수가 아니냐는 의혹을 낳고 있다.

송민순 ‘회고록’으로 불거진 ‘대북결재’ 의혹

‘최순실 논란’으로 사그라진 문재인 전 대표의 ‘대북결재’ 의혹도 대선주자 검증을 필요로 하는 국민들에게 큰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최근 발간한 회고록 ‘빙하는 움직인다-비핵화와 통일외교의 현장’에서 2007년 11월 15일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 당시 안보정책조정회의 등을 거쳐 기권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송민순 전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비서실장, 이재정 장관, 김만복 원장, 백종천 대통령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이 기권을 주장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16일까지 결론이 나지 않자 김만복 원장이 ‘북한 재가’를 제안했고, 문재인 비서실장이 동조했다고 폭로했다. 송민순 전 장관은 당시 북한인권결의안 찬성을 건의했다. ‘재가’를 요청하자 북한은 “남측 태도를 주시할 것”이라며 한국의 북한인권결의안 표결 참가를 당연히 거부했다. 16일 북한 내각총리 등과 청와대 오찬을 가졌던 노무현 대통령은 결국 기권 입장을 굳혔다.

이에 북한민주화청년학생포럼, 엔케이워치, 자유북한국제네트워크 등 3개 시민단체는 지난해 10월 17일 문재인 전 대표, 김만복 전 국정원장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고발했다.

이들 단체는 성명에서 “송민순 전 장관 회고록대로 문재인 전 대표가 김정일 독재자의 의견을 물었다면 역적 중에서도 대역죄에 해당하는 반국가적 행위”라고 규탄했다.

이에 문재인 전 대표는 “북한인권 문제도 남북 간 직접대화를 통해 개선토록 권고하고 유도하자는 취지였다”며 ‘북한 재가’를 사실상 시인했다. 다만 북한의 자발적 인권개선 요구가 목적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다가 최근에는 “기억이 안 난다”로 말을 바꾸고 대북결재 의혹에 대해 아직도 침묵 중이다.....

개인적으로는 문재인의 페스카마호 조선족 살인범 변호를 이해하기힘듭니다.
변호했을뿐 아니라 감형(?)인가 했던것으로 아는데요.
12명이나 엽기적으로 살인한 조선족을 아직도 따뜻하게품어줘야한다고
생각하는지.. 그에게 살해당한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도 궁금합니다

IP : 211.177.xxx.10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맹ㅇㅇ
    '17.4.4 6:59 AM (67.184.xxx.66)

    산여행님 화팅!

  • 2. ㅇㅇ
    '17.4.4 7:21 AM (58.140.xxx.124) - 삭제된댓글

    이거 다 검증받아야하죠

    대통령후보로서 청렴결백,적폐청산하려면요..'이리 의혹이 많다니,
    문재인 적폐청산하겠어요?'같은 당사람들도 질려하던데

  • 3. 산여행님 화이팅
    '17.4.4 7:22 AM (175.223.xxx.120) - 삭제된댓글

    근데 까도까도 양파인 안허풍은 어쩌스까요
    (외부펌) 안철수 의혹, 검증해야할 목록 http://m.todayhumor.co.kr/view.php?table=sisa&no=881708&page=1
    http://m.todayhumor.co.kr/view.php?table=sisa&no=834761&page=1

  • 4. ...
    '17.4.4 7:25 AM (61.102.xxx.138) - 삭제된댓글

    문지지자는 검증검증 노래를 부르더니
    원문에 대한 반박은 못하고 펌질만 하네요

  • 5. ㅇㅇ
    '17.4.4 7:26 AM (58.140.xxx.124) - 삭제된댓글

    ㄴ 175.223님/
    여기도 추가해요~~~ 문재인 의혹,검증해야할 목록요~
    부산저축은행 밀어주기식 수임 의혹 논란

    문재인 전 대표는 부산저축은행 감사에 압력성 청탁을 넣은 대가로 자신이 설립한 법무법인 ‘부산’이 2004년부터 2007년까지 59억 원 규모의 밀어주기식 사건 수임을 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부산저축은행 사건은 4조5천억 원이 넘는 불법대출과 2조5천억 원 가량의 회계비리 등, 7조 원대 부정이 저질러져 사상 최악의 금융권 부정ㆍ부패사건으로 알려졌다. 부산저축은행의 부정 비리는 규모, 수법, 피해액, 피해자 수 등에서 상상을 초월할 정도여서 언론도 이 사건을 “단군 이래 최대 금융사기 사건”이라 칭한다.

    그런데 결정적인 문제는 현재 대권 도전에 나선 문재인 전 대표가 대표로 있던 법무법인 ‘부산’이 2004~2007년(노무현 집권기) 사이에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59억 원의 수임료를 받고 사건 변호를 수임했다는 것이다. 또한 문재인 전 대표는 2003년 청와대 민정수석 당시 금융감독원의 부산저축은행 감사와 관련해 금감원 담당 국장에게 청탁성 전화까지 걸었다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부산의 서민들과 자갈치시장 상인들이 한푼두푼 모은 피 같은 돈을 천문학적으로 사취해간 부산저축은행은 ‘부산의 공동적(敵)’으로 규탄받고 있다. 이 가운데 부산 출신인 문재인 전 대표가 부산저축은행을 변호하기 위해 사건을 수임하고, 사건청탁(?)전화까지 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문재인 전 대표 측은 이러한 의혹이 제기될 때마다 강력하게 부인했다. 그리고 문재인 전 대표가 25%의 지분을 가졌던 법무법인 ‘부산’은,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었던 문 전 대표가 부산저축은행에 대한 금감원 조사를 무마해준 뒤 ‘부산’이 이 은행으로부터 59억 원의 수임료를 받았다는 요지의 주장을 한 새누리당 이종혁 전 의원을 2012년 3월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으로 고소했다.

    그러나 이 사건을 담당한 부산지방검찰청은 2012년 8월 30일 피고소인 이종혁에 대해 ‘혐의 없음(증거불충분)’으로 결론 내렸다.

    검찰은 문재인 후보가 2003년 청와대 민정수석을 할 당시 부산저축은행 그룹 조사를 담당한 금감원 유모 국장에게 전화해 압력을 행사한 의혹이 있다는 부분에 대해 “유병태(금감원 전 비은행 검사1국장), 박형선(부산저축은행 그룹 대주주)의 진술에 의하면 2003년 문재인 당시 민정수석비서관이 부산저축은행 그룹 검사를 담당하고 있던 유병태에게 ‘철저히 조사하되 예금 대량인출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중히 처리를 해 달라’는 취지로 전화한 사실이 인정되고, 그렇다면 ‘문재인이 금감원 유모 국장에게 전화한 의혹이 있다’는 기자회견 내용은 진실에 부합한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그리고 문재인 전 대표가 지분(25%)을 가진 고소인 법인이 2004~2007년 부산2저축은행으로부터 59억 원의 뇌물, 청탁로비 사례적 성격의 수임료를 받은 의혹이 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부산저축은행 그룹의 부실채권 추심소송 위임내용을 확인한 결과 2004~2007년 사이에 부실채권의 지급명령 신청 등 사건의 수임료로 ‘부산2저축은행’이 고소인 법인에 약 59억 원을 지불한 사실이 인정되고, 그렇다면 이종혁 의원의 ‘고소인 법인이 2004~2007년 약 59억 원의 수임료를 부산2저축은행으로부터 받았다’는 부분은 진실에 부합한다”고 판시했다.

    검찰이 이와 같이 결론 내림에 따라 문재인 수석의 전화 이후 부산저축은행은 영업정지를 당하지 않은 채 금융사기를 계속 이어나갔고 법무법인 ‘부산’은 이 은행으로부터 부실채권의 지급명령 신청 등 사건을 수임해 약 59억 원을 벌었다는 사실이 확인된 셈이다. 게다가 부실채권의 독촉이란, 카드 빚 독촉으로서 외부에서 변호사를 따로 선임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간단한 일이라 59억 원이란 너무 큰 액수가 아니냐는 의혹을 낳고 있다.

  • 6. ㅇㅇ
    '17.4.4 7:28 AM (58.140.xxx.124) - 삭제된댓글

    175.223님
    여기도 문재인 의혹 검증해야할 거네요~

    송민순 ‘회고록’으로 불거진 ‘대북결재’ 의혹

    ‘최순실 논란’으로 사그라진 문재인 전 대표의 ‘대북결재’ 의혹도 대선주자 검증을 필요로 하는 국민들에게 큰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최근 발간한 회고록 ‘빙하는 움직인다-비핵화와 통일외교의 현장’에서 2007년 11월 15일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 당시 안보정책조정회의 등을 거쳐 기권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송민순 전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비서실장, 이재정 장관, 김만복 원장, 백종천 대통령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이 기권을 주장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16일까지 결론이 나지 않자 김만복 원장이 ‘북한 재가’를 제안했고, 문재인 비서실장이 동조했다고 폭로했다. 송민순 전 장관은 당시 북한인권결의안 찬성을 건의했다. ‘재가’를 요청하자 북한은 “남측 태도를 주시할 것”이라며 한국의 북한인권결의안 표결 참가를 당연히 거부했다. 16일 북한 내각총리 등과 청와대 오찬을 가졌던 노무현 대통령은 결국 기권 입장을 굳혔다.

  • 7. ㅇㅇ
    '17.4.4 7:29 AM (58.140.xxx.124) - 삭제된댓글

    네,원글이 길어서 잘 못읽는것같아 제가 아래에 단락을 나눠봤어요.
    원글에 대한 반박 기다립니다

  • 8. 검증목록보고
    '17.4.4 7:32 AM (110.70.xxx.168) - 삭제된댓글

    각자 누굴뽑을지 판단하면되겠네요 ㅎㅎ
    건국절 운운하고 안호인안영모. ....5.18정강정책삭제논란...역사관으로만 전 안땡땡은 안드로메다로 보냈어요

  • 9. 제기준은
    '17.4.4 7:34 AM (175.223.xxx.34) - 삭제된댓글

    종편이 전적으로 미는 후보는 제외하려구요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i_Room/myroom.aspx?MEM_CD=00281576

  • 10. 가나다
    '17.4.4 7:41 AM (175.211.xxx.38)

    잘 봤습니다

  • 11. 산여행
    '17.4.4 7:42 AM (211.177.xxx.10)

    110.70.xxx.168님
    175.223.xxx.34님
    정치는 신앙이 아닙니다.
    본글에 대한 반론 부탁드려요.

  • 12. ㅇㅇㅇ
    '17.4.4 7:58 AM (114.200.xxx.23)

    일본과 친일파 종편이 안철수를 띄워주더군요

  • 13. 산여행
    '17.4.4 8:21 AM (211.177.xxx.10)

    114.200.xxx.23님
    막연하게 말씀 마시고..
    본글 어떻게 생각하세요?
    사실로 믿어져서, 반박이 없으신가요.

    친문들이 반박이 없는데 제가 바빠서
    오후에.. 나누어서 친문들게 질문드리겠습니다

  • 14. 22
    '17.4.4 8:24 AM (114.204.xxx.21)

    산여행 글은
    너무 길고 재미 없어서
    그냥 패스하게 됨

  • 15. 산여행
    '17.4.4 8:25 AM (211.177.xxx.10)

    114.204.xxx.21님
    님은 이중요한 국가지도자 검증을 재미로 아는군요.
    극성친문답네요.
    제가 오후에 시간내서 나누어서
    검증 해드릴께요.

  • 16. 일단은
    '17.4.4 9:32 AM (112.214.xxx.16)

    기사클릭하니 노출이 허용되지 않는
    기사라고 뜨네요.
    저 기사자체에 의심이 가지만,
    기사를 토대로 쓰자면
    부산저축은행은 문재인이 민정수석돼서
    청와대들어간 이후 일이네요?
    법무법인 부산에서 한 일을
    문재인이 한 것처럼 오해하도록 쓴 글이네요.
    지분가지고 있다면 주주정도인데
    주주가 회사일을 직접 하진 안잖아요.
    부산저축은행과 법무법인 부산과의
    사이의 일이죠.

  • 17. 동글네모세모
    '17.4.4 12:20 PM (112.214.xxx.16) - 삭제된댓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69&aid=000...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3918 오늘 보궐선거 투표하고 나오네요.. 3 선인장 2017/04/12 344
673917 해물크로켓 만들어서 냉동실에 두고 튀기면 되나요? 1 크로켓 2017/04/12 248
673916 100세 시대 라는 말좀 않했으면 12 .. 2017/04/12 1,901
673915 서울시 노원구 개표참관인 4 신청 마감 2017/04/12 558
673914 고민정 "단설이든 병설이든 국공립유치원 보내고 싶다&q.. 10 .. 2017/04/12 1,902
673913 요즘은 교복셔츠 속에 반팔티를 입나요? 14 ... 2017/04/12 1,389
673912 국민의당 김경진 "사립유치원이 여기저기 있는데 대형단설.. 37 국물당 2017/04/12 2,211
673911 안철수 새별명 등장~ 21 미쳐 2017/04/12 1,734
673910 독일산 하이라이트 전기렌지 문의 6 우유 2017/04/12 2,853
673909 세상에....이거 일베겠죠? 9 흠.... 2017/04/12 951
673908 밤 10시에 sbs 대선후보 초청토론회 방송합니다 3 내일 2017/04/12 552
673907 문캠이나 민주선대위분 계시면 수개표대책 좀요!! 1 ^^ 2017/04/12 192
673906 이번엔 문이 안에게 양보해라? 24 누리심쿵 2017/04/12 711
673905 문재인 안철수의 충격적인 운전기사,사무보조 인건비 8 ㅇㅇ 2017/04/12 1,314
673904 뇌 mri 급여 비급여가 이해가 안되네요 8 2017/04/12 1,984
673903 대응3팀 오늘 성과 알립니다. 31 자원봉사자 2017/04/12 1,333
673902 성형외과 의사들은 미술 해부학을 공부했으면 좋겠네요 18 ... 2017/04/12 3,945
673901 기무사 출신 장성 대령 22명 문재인 지지 선언, "안.. 16 ".. 2017/04/12 1,055
673900 오늘 점심식사때 직장동료가..... 2 오유펌 2017/04/12 2,209
673899 역사학자 주진오 교수의 페이스북 글.................. 6 ㄷㄷㄷ 2017/04/12 1,123
673898 유치원 이야기 하는데 세금 이야기 하지 맙시다. 없어 보이니까... 16 ........ 2017/04/12 614
673897 한살짜리 아기랑 어떻게 놀아야 하나요? 4 고모 2017/04/12 811
673896 열정페이에 대한 안철수의 자세 4 ㅇㅇ 2017/04/12 1,163
673895 문재인 국회의원 시절 일 많이 하지 않았나요? 1 2017/04/12 319
673894 전세집이 경매되는 경우는? 3 ?? 2017/04/12 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