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축은 계속 하지만 그래도 부족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 조회수 : 2,602
작성일 : 2017-03-27 14:15:17
처음으로 소득의 70%를 저축했습니다
옷도 안 사고 외식도 안 하고 외출도 안 하고
대신 주말에 집에만 틀어박히고 사람들 안 만났어요

그랬더니 
내집 마련을 위한 적금 150만원
연금저축 10만원
청약 10만원
미래 차 살돈 10만원
미래 내 건강을 위해 쓸 돈 10만원
어머니 향후 병원비 30만원 
신협출자금 33만원 등 총 253만원 저축했습니다

물론 삶이 피폐해지긴 했습니다만....

그런데 생각해보니 저축을 저만큼해도 부족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쩝....

직장이 수도권이라 부득이하게 수도권에 집사려고 해도
한달 150만원 저축해봐야 1년 1800만원, 10년 1억 8천만원이구요

연금저축 10만원해봐야 나중에 푼돈
미래 차 살돈 10년뒤 해봐야 1200만원
미래 아프면 병원가야 해서 쓸 돈 1200만원
어머니 아프시면 병원이라도 모셔야 하지만 언제 돌아가실지도 모르고

신협 출자금은 퇴직할 때 찾으려 하는데
금액도 얼마 안 될듯....

쩝....

열심히 모아도 많이 부족하네요

미래에 여유있게 살려면 더 저축을 해야 하네요 ㅠㅠ
IP : 203.237.xxx.73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3.27 2:20 PM (114.203.xxx.133) - 삭제된댓글

    10년 후에는 저축안할 건가요.
    10년 후에 모은 돈에 대출 끼고, 지금하는 저축을 대출금 갚는데 쓰겠죠.
    20~30년 후에 수도권에 집한채.. 나쁘지 않은데요. 사실 좋은 정도죠.
    지금 저축액도 평균에 비해 월등히 높구요.

    10년 모아 수도권에 집을 살 수 있어야 정상이라는 생각이 드는 거..
    그 부분이 콕 집어 고민이 좀 필요하죠. 남들이 참 부러운데, 고민을 사서 하는 형국.

  • 2. ..
    '17.3.27 2:21 PM (114.203.xxx.133) - 삭제된댓글

    10년 후에는 저축안할 건가요.
    10년 후에 모은 돈에 대출 끼고 집 사고, 지금하는 저축을 대출금 갚는데 쓰겠죠.
    20~30년 후에 수도권에 집한채.. 나쁘지 않은데요. 사실 좋은 정도죠.
    지금 저축액도 평균에 비해 월등히 높구요.

    10년 모아 수도권에 집을 살 수 있어야 정상이라는 생각이 드는 거..
    그 부분이 콕 집어 고민이 좀 필요하죠. 남들이 참 부러운데, 뭐땀시 그런 생각을.

  • 3. ...
    '17.3.27 2:21 PM (58.121.xxx.183)

    월 250만원으로 생각하면 3년 3개월이면 1억입니다. 10년이면 3억이죠.
    중간에 2억 됐을 때 전세끼고 집을 사거나, 수익성에 투자해서 월 30만원 정도 받아 저축에 합하고 시세차익도 생기면
    10년 됐을 때 5억이 될 수도 있어요.
    돈 모으기 초반에는 보험이나 다른 거 다 하지 말고, 적금으로만 몰아서 모아야 돈이 돼요.
    그래야 돈 모으는 재미가 생기고 보람도 있어서 꾸준히 유지 가능해요.

  • 4. 그냥
    '17.3.27 2:21 PM (114.203.xxx.133) - 삭제된댓글

    10년 후에는 저축안할 건가요.
    10년 후에 모은 돈에 대출 끼고 집 사고, 지금하는 저축을 대출금 갚는데 쓰겠죠.
    20~30년 후에 수도권에 집한채.. 나쁘지 않은데요. 사실 좋은 정도죠.
    지금 저축액도 평균에 비해 월등히 높구요.

    10년 모아 수도권에 집을 살 수 있어야 정상이라는 생각이 드는 거..
    그 부분이 콕 집어 고민이 좀 필요하죠. 남들이 보면 참 부러운데, 뭐땀시 그런 생각을.

  • 5. ..
    '17.3.27 2:26 PM (114.203.xxx.133) - 삭제된댓글

    첫댓글님 말처럼, 부동산 구입 시기를 당기는 것이 훨 낫죠.
    현금은 부동산의 속도를 못 따라가요.
    현금의 가치는 빠르게 하락하고, 부동산은 유지 또는 상승하니까요.
    돈은 몽땅 모아서 현금이 늘어나는 속도를 높이고, 부동산으로 재산을 증식하면서
    나머지들 차, 병원비, 기타 등등을 하는 게 낫죠.
    보험도 유사시 현금으로 하겟다.. 하면 되고요. 보험은 다른 용도로 못 써도 현금은 보험이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죠.

  • 6. ..
    '17.3.27 2:29 PM (114.203.xxx.133) - 삭제된댓글

    첫댓글님 말처럼, 부동산 구입 시기를 당기는 것이 훨 낫죠.
    현금은 부동산의 속도를 못 따라가요.
    현금의 가치는 빠르게 하락하고, 부동산은 유지 또는 상승하니까요.
    돈은 몽땅 모아서 현금이 늘어나는 속도를 높이고, 부동산으로 재산을 증식하면서
    나머지들 차, 병원비, 기타 등등을 하는 게 낫죠.
    보험도 유사시 현금으로 하겟다.. 하면 되고요. 보험은 다른 용도로 못 써도 현금은 보험이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죠.
    현금이 10년 동안 모여서 이자 합치면 돈이 불어난 것 같잖아요. 실제로는 엄청 추락하죠.
    포드 자동차 가격이 290달라, 890달러.. 이랬다고 해요.
    그게 불과 100년 넘으니.. 저 돈이면 가방 하나 가격이죠.

  • 7. 첫댓글
    '17.3.27 2:33 PM (58.121.xxx.183)

    월 250만원씩 적금 들고, 만기 후 첫 한 달 250만원, 또는 이자는 자신을 위해서 쓰세요.
    그러면 적금이 즐거워지고, 그리 피폐한 마음이 안들어요.
    자신에게도 보상을 줘야 합니다. 결국 나를 위한 돈 모으기니까요.

  • 8. ..
    '17.3.27 2:36 PM (210.217.xxx.81)

    심리적인 안정감? 충족감을 주기위해서 적금을 단기간으로 하라더라구요
    너무 길게 하면(장기..보험저축 등) 급할때 유지하기 힘들고 손해보고 깨야하고..

    여튼 대단하시긴 하세요

  • 9. ...
    '17.3.27 2:44 PM (211.59.xxx.176)

    그래서 전 적금을 다 집 마련으로 올인했어요
    청약도 2만원으로 최소한 넣었고
    부울때는 왕창 수십년뒤 쪼금 받는 개인연금은 당연 없고 집을 구입한 현재도 앞으로도 생각 없어요
    그외 병원비 따로 준비할 필요 없어 도움되었구요
    차도 집마련 뒤로 미뤄야죠
    친구도 얼마 없으니 경조사비도 따로 들어가는거 거의 없었어요
    목적을 다양하게 분산 적금하면 힘들죠

  • 10.
    '17.3.27 2:47 PM (211.49.xxx.218)

    70프로 저축 대단하시네요
    50프로라도 저축해봤으면 좋겠네요.
    할때는 힘들어도 지나면 뿌듯할 듯요.

  • 11. ...
    '17.3.27 2:52 PM (203.228.xxx.3)

    세후 360정도 버시는군요..그정도 저축액이면 놀라운 거예요..저는 410정도 버는데 강제로 200적금하고 있는데 마이너스달이 많아요..있는 돈으로 메꿔요..저는 사람도 많나고 술도마시고 합니다. 저는 집값 싼 지방에 살아도 200모아서 언제 집사나 싶어요..대출을 받아도 1억은 있어야 집을 사는데 1억모으기도 힘들고 ㅜㅜ

  • 12. ..
    '17.3.27 3:44 PM (114.203.xxx.133) - 삭제된댓글

    윗님 4년이면 사겠는데요. 4년 후딱 갑니다.

  • 13. ...
    '17.3.27 5:06 PM (175.223.xxx.182)

    저같으면 전세끼고 역세권 소형 아파트 사둬요.
    현금만 모으는 건 정말 인플레이션을 온 몸으로 부딪히겠다는거에요.
    부동산이 훨씬 올라요...이건 만고의 진리에요.

  • 14. ...
    '17.3.27 8:07 PM (125.176.xxx.76)

    현금은 정말 인플레이션을 못 따라가는건 맞는것 같아요.
    그런데 또 집값 폭락이 올까도 싶고해서 사는것도 어려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2467 계약직인데, 유급휴가(월차 등)는 원래 안되는건가요? 4 .. 2017/04/09 1,337
672466 문재인 후보, 따라한다고 대통합, 대탕평이 되는 게 아니다 9 안철수 대탕.. 2017/04/09 355
672465 피아노 치시는 분들 조언~ 3 2017/04/09 1,004
672464 재산이 많으면 7 내맘깉지 않.. 2017/04/09 1,788
672463 알파카페 뉴트라 라는 커피다이어트 1 커피 2017/04/09 747
672462 이래서 문재인이 역전당한거군요.ㅠㅠ 31 실체 2017/04/09 3,875
672461 문재인·안철수, 다자대결서 37.7% 첫 ‘동률’ - 유선 54.. 11 힘내라 2017/04/09 725
672460 박주민 트윗-지금 마지막 M/T까지 모두 뭍으로 나왔습니다. 5 고딩맘 2017/04/09 1,040
672459 고등 담임에게 하루중 언제 전화하면 될까요 5 .. 2017/04/09 1,312
672458 안철수 후보님 지지선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21 와우 2017/04/09 1,353
672457 유선54%면 거꾸로 문재인이 승리한다는 결론이네요? 9 ㅇㅇㅇ 2017/04/09 846
672456 어제 택시기사님이 문재인 여론조사는 북한의 해킹이라더군요 14 아홉시 2017/04/09 1,107
672455 김영애라 하면 빙점이 가장 떠올라요 12 명복을 빕니.. 2017/04/09 3,601
672454 문재인 도시재생 뉴딜정책 '동네마다 마을주차장, 어린이집, 무인.. 13 정권교체로 .. 2017/04/09 1,580
672453 호구도 상종할 인간이 못되네요 4 ... 2017/04/09 1,723
672452 교정만 10년 했는데 교정한거 후회해요..ㅠㅠ 49 .... 2017/04/09 35,075
672451 네거티브 덕분에 안철수 지지율이 더 올랐네요 35 네거티브 덕.. 2017/04/09 1,113
672450 연애할때 주의해야할 점 4 Asdl 2017/04/09 2,300
672449 돌아가신 아버지가 또 돌아가시는 꿈 2 2017/04/09 6,562
672448 문재인, 5.18 민주묘지 앞에서 부른 '임을 위한 행진곡' 18 앞서서 나가.. 2017/04/09 824
672447 유가족 내쫓고 찍은 면상 보세요. 16 .. 2017/04/09 3,550
672446 안철수 세월호 법 반드시 통과 시키겠다 13 예원맘 2017/04/09 639
672445 이 남자 직원은 왜 이러는 건가요? 15 헷갈려요 2017/04/09 1,991
672444 국민의당 "문재인, 경선 '폰떼기' 동원 해명하라 12 폰떼기 2017/04/09 639
672443 아줌마들 남 핸드폰 훔쳐보는거 넘 싫어요.. 13 ... 2017/04/09 3,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