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생고등어 기생충 보고도 요리를 하네요

징그러 조회수 : 5,661
작성일 : 2016-09-26 19:50:57

조림 하는데 익히면 기생충 죽는거 맞죠?

기생충 살아 움직이는 걸 보니 냉동 고등어는 확실히 아닌 것 같은데

참고로 요리책에서 보길  고등어와 닭고기는 처음에 센불로 해서 끓으면

그담부터는 약한 불에서 오래 익히라고 하네요.

고기결 자체가 천천히 익는거라구요.

저 기생충 죽이기 위해서라도 오래 익혀야 할 것 같아요

요리 하다 기생충 보이면 어찌하세요?

버리시나요?

IP : 59.22.xxx.140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으으~~~
    '16.9.26 7:52 PM (39.118.xxx.24)

    기생충 익혀서 드시겠다는거예요??

  • 2. ㅜㅜ
    '16.9.26 7:54 PM (59.22.xxx.140)

    그럼 어떻해요??
    소 돼지 고기도 다 기생충 있고
    오징어도 기생충 있구요.
    그래서 익혀 먹으라고 하죠.
    생선회는 아예 기생충 각오하고 먹잖아요.
    그제 전어회 엄청 맛있게 먹었네요.

  • 3. dd
    '16.9.26 7:55 PM (59.15.xxx.138) - 삭제된댓글

    눈에 안보여 그렇지 기생충없는 생물이
    어디 잇나요? 익혀 드시면 괜찮아요

  • 4. 으으~~~
    '16.9.26 7:58 PM (39.118.xxx.24)

    새댁인가요?
    뭐든 고기생선단백질요리는요 국물로 우려내서 국물을 드실거면 찬물에 처음부터,
    조림같은 국물아닌 고기를 드실거면 양념이 끓을때 넣어서
    단백질을 응고시켜 맛난성분이 국물로 안빠져나오게 요리해요.
    생선살도 흐느적 부서지지않구요
    처음에는 뚜껑열어서 비린내를 휘발시킨후 한소끔 끓이고나서
    나중에 뚜껑닫고 약불요.
    생강은 맨마지막에 넣어야 효과적이구요~

  • 5. 신선하지 않은걸 사셨나봐요..
    '16.9.26 8:01 PM (14.49.xxx.6) - 삭제된댓글

    그 기생충이 내장에 있다가 고기가 죽으면 빠져나가서 살로 들어가는거에요..
    잡아서 재빨리 손질해서 얼마 안된거면 기생충이 없었을텐데요..
    다음에는 신선한 걸 사시구요.
    뭐 기생충이 별건가요. 징그럽지만 끓이면 다 단백질이죠머..
    곤충도 먹던데요..;;

  • 6. ^^
    '16.9.26 8:04 PM (59.22.xxx.140)

    요리도 지식이 필요하네요.
    왜 닭고기가 안익지 했는데 그게 오래 익혀야 하는걸 몰랐었어요.
    생강도 맨마지막에 넣는거 오늘 처음 알았네요. ㅎ

  • 7. 직접
    '16.9.26 8:06 PM (39.118.xxx.24)

    사온 생선이나 고기 손질하면서 기생충을 본적은 없어요

  • 8. 젤징그러운거
    '16.9.26 8:10 PM (112.140.xxx.70) - 삭제된댓글

    고등어에 기생충 박힌거 보고 기절하는줄 알았어요
    절대 무서위서 안사고 안먹습니다
    먹는다니 그저 놀랍네요
    그거 내장에서 기어 나와 박히는 걸로 알고있어요
    관리잘못 된거 아닌가요?

  • 9. 조림
    '16.9.26 8:11 PM (59.22.xxx.140)

    하나 하는 걸 가지고 요리라고 쓰다니.. 부끄럽네요^^

  • 10. 고등어
    '16.9.26 8:14 PM (59.22.xxx.140)

    살때 손질해주니 내장 빼잖아요.
    그때 빠져 나왔거나 살에 붙어 있거나 그런것 같네요

  • 11. 몰라서
    '16.9.26 8:34 PM (121.140.xxx.135) - 삭제된댓글

    갈치.고등어.꽁치.오징어.생태등..
    다 회충있어요.
    돼지고기도요.

    익혀서 드셔야지요.

  • 12. ...
    '16.9.26 8:38 PM (175.211.xxx.218)

    고등어 원래 기생충 있어요. 그거 잘 발리고 떼어내고 요리해야죠.

  • 13. ..
    '16.9.27 12:33 AM (211.178.xxx.205) - 삭제된댓글

    저윗분거꾸로얘기하네요.
    고기육수우려내야할땐 끓는물에고기넣어요,찬물에 첨부터넣음 바로수축응고되니까요.
    참.제대로알고나가르쳐주세요

  • 14.
    '16.9.27 1:01 AM (203.226.xxx.56) - 삭제된댓글

    원래 기생충 있다고 기생충 뻔히 살 파고 들어가있는거
    아는데도 그대로 요리하는 가정 없을 걸요
    거의 마트에서 싱싱한거 손질 잘해서 주기 때문에
    기생충 없구요
    20년동안 고등어 한번, 생태 한번 봤는데 살을 파고 들어간게 너무 많아 버렸어요
    특히 생태는 너무 심해서 그 후유증으로 다시는 생태를 사지 않았네요
    고등어나 생선 사오면 눈에 씻으면서 꼼꼼히 다 보고 만져봐요
    비위가 좋긴 하신가 보네요

  • 15. 저윗분..이라고 지적질하신분
    '16.9.27 9:35 AM (39.118.xxx.24)

    님이나 제대로 알고 댓글다시고
    남한테 지적질하시기전에 검색이라도 해보세요.
    육수나 국물먹는 요리는 찬물에서 시작한다는거 상식이고
    모르시면 조리이론 찾아보시면 나옵니다.

    육류조리이론 검색해드리죠
    http://m.blog.naver.com/serablog/220594004214
    제블러그는 아니니 오해마시길.

    탕국육수는 찬물에서부터 끓이기시작하고~ 보이시나요?

  • 16. 근데요.
    '16.9.27 4:10 PM (121.140.xxx.80) - 삭제된댓글

    탕국 육수를 찬물부터 끓여 보셨나요?
    나는 살림하는 나이 많이 먹은 아줌마인데요...
    찬물부터 끓이면, 거품 많이 나요..
    나도 이론으로는 찬물부터 끓이라고 배웠는데..뜨거운 물에 넣습니다.
    우리 딸들에게도 뜨거운 물에 넣으라고 합니다.
    그 거품 어쩔거야.....요.
    냄비만 지켜 볼 수도 없고, 확 넘쳐서 국물 절반 이하로 되고, 레이지 주변은 어쩔...

    이론과 실제는 조금...달라요.

  • 17. 근데요님
    '16.9.28 2:36 AM (39.118.xxx.24)

    찬물에서 약불로 서서히 끓여야해요
    끓기시작하면 거품 계속 걷어줘야하구요
    거품이 넘쳤다는걸보니 쎈불에서 하신듯요
    서양요리 스톡 우려낼때도 제일 중요한 포인트가
    찬물에 넣고 약불로 서서히 거든요.
    쎈불로하면 스톡이 탁해져서 못써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7236 머릿결 회복 방법중 이 방법 어떤가요 3 머릿결 2016/10/16 2,327
607235 집값 오른거 맞나요? -_- 17 집값 2016/10/16 5,448
607234 휴대용 가스버너에 장시간 곰국 끓여도 되나요? 7 곰국 2016/10/16 2,447
607233 집에 전신 거울 가지고 계시나요? 10 ... 2016/10/16 1,801
607232 여기 돈 걱정 하시는 분들 많으신 것 같은데.. 3 2016/10/16 2,242
607231 10월 15일자 jtbc 손석희 뉴스룸 ---- #그런데.. 1 #그런데최순.. 2016/10/16 466
607230 청와대블랙리스트에 정우성도 있네요 5 ㅁㅈ 2016/10/16 4,582
607229 궁 처럼 예쁜 드라마 또 없나요? 3 .. 2016/10/16 1,485
607228 송윤아 김민희 아깝네요 6 .. 2016/10/16 6,652
607227 어차피 정해져 있는 길인데 왜 유부남은.. ? 12 결혼 2016/10/16 6,337
607226 연애에 실패하는 사람들의 공통점 있을까요? 9 연애 2016/10/16 2,539
607225 연애중에 이런감정이 들면 헤어져야 할때가 온건가요? 2 Pppppp.. 2016/10/16 1,973
607224 고3 이과논술 파이널 수업 수업료가 회당 10만원이라네요 4 .. 2016/10/16 1,673
607223 이케아 작은 편수 냄비가 삭아서 구멍이 나 있네요. 5 쇼크 2016/10/16 2,012
607222 미국이 2차대전에서 나치와 히틀러를 도운 이유 7 악의제국부상.. 2016/10/16 1,330
607221 여자나이 50이면 무엇을 고민해야 할 나이인가요? 8 사추기? 2016/10/16 4,321
607220 엄마한테 욕쓴 중학생 아이 11 엄마한테 2016/10/16 3,331
607219 따질 건 꼭 따지고 넘어가야 직성이 풀리는 성격 16 성격 2016/10/16 4,995
607218 120일 아기가 미열이 있어요 . 4 claire.. 2016/10/16 878
607217 '인생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19 인생 2016/10/16 3,118
607216 학교 공개수업때 옷차림.. 5 학교 2016/10/16 5,509
607215 고딩딸의 생각을 알고 싶어요, 6 ..... 2016/10/16 1,126
607214 호텔에서 식사하고 체크아웃할 때 한번에 계산하면 팁은 어떻게 줘.. 1 ㅇㅇ 2016/10/16 1,263
607213 교포2세 아이들 한국어 교육은 어떻게 하세요? 22 고민 2016/10/16 6,242
607212 콜레스테롤 약 스타틴 안심해도 좋은가? (유투브) 3 큐큐 2016/10/16 1,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