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모님이라는 호칭 글보고 호칭에 대한 생각

호칭 조회수 : 3,671
작성일 : 2016-07-29 14:04:52
저도 이모님.,.삼촌 이런 호칭 어색해서 안쓴는데
저희집에 오던 도우미 아줌마 굉장히 좋은 사람이었는데 이모라는 호칭을 더 좋아하는 거 같더라구요.
저는 나이차이도 얼마 안나서 이모라고 안 불렀지만..그 아줌마 왈, 다른집에 갔는데 그집 총각이 상냥해서 
꼬박 꼬박 이모라고 부른다는 얘기를 언뜻 들었어요.

아이 친구들이 가끔 절더러 이모라고 부르는데 저는 아줌마나 이모나 별 거부반응은 없지만 
정식은 아줌마가 맞는 거 아닌가요? 우리 아이는 제 친구나 자기 친구 엄마들에게 그냥 아줌마, 아주머니라고 부르는데
아이 친구엄마들 젊은 사람일경우에는 아주머니라 하면 손사래 치면서 이모가 좋다고 부르라고 하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그대신 더 듣기 싫은 건 병원이나 상점에 갔을때 호칭 어머님...아버님...
나이도 별 차이 안나는거 같은데 어머님이라니... 어색해요. 
그냥 손님이라 불러주는게 적합 하다고 생각되구요. 

먼저 살던 아파트에서 경비아저씨가 느물거리며 여사님이라 부르니 확 밥맛 떨어진 적도 
있구요. 여사님은 다 뭔지...

그리고 남편한테 오빠라고 결혼전에 불렀어도 아이 생기면 달리 불러야죠.
친정오빠도 오빠 남편도 오빠이면 헷갈리잖아요.
남자 연하 커플도 누나라 부르다가 사귀게 되면 누나라 부르지는 않는 거죠? 

이건 그냥 일화인데
커피숍에서 우연히 옆자리에 앉은 모자 얘기를 듣게 되었어요.
남 얘기 듣는다고 뭐라하지 마세요. 그냥 바로 옆이라 들렸으니..

젊은 엄마와 사춘기 남자아이인데
엄마가 이혼하고 남친이 생긴거 같은데 엄마 남친과 잘 지내라 그런 얘기인데 
엄마가 그 남친을 아이에게 삼촌이라고 칭하더라구요.
전남편은 아빠고 현 남친은 삼촌이면 촌수 되게 이상한거 아닌가요? 


IP : 116.127.xxx.52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7.29 2:06 PM (110.70.xxx.125)

    전 미혼인데..친구들 자녀들이 저한테 이모라고 안하고 아주머니라고 부르면 싫을것같아요 ㅠㅠ

  • 2. ㅇㅇ
    '16.7.29 2:11 PM (122.45.xxx.219)

    전남편은 아빠고 현남친은 삼촌 ㅋㅋ

    그러게요 아저씨 아줌마 손님이라고 하면
    이상한가요
    남한테
    이모 고모 오빠 어머님 아버님
    온국민의 가족화

    저도 진짜 가족아니면 절대 그렇게 안부르는데
    다들 하도 그렇게 부르니
    나만 야박한가 싶어요

  • 3. 제가 도우미 입장에서
    '16.7.29 2:12 PM (59.27.xxx.43) - 삭제된댓글

    그나마 나은 호칭이 이모일듯 싶네요.

  • 4. ㅇㅇ
    '16.7.29 2:14 PM (122.45.xxx.219)

    전 자매가 넷이나 되서
    제아이들한테 친이모한테만 이모라고 가르쳐주고
    제친구들은 아줌마라고 알려줬어요
    친구마다 이모라고하면 이모가 너무 많고
    헷갈리잖아요

  • 5. ...
    '16.7.29 2:14 PM (160.13.xxx.220)

    언어라는 게 변하기도 하고 이중적 다중적 의미가 생기기기도 하는게 정상인데 왜 이모란 말을 쓰면 안된다는 건지 모르겠네요 . 인간관계를 떠나서 몽땅 다 아주머니라니 ..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사람이
    이모 뜻을 몰라서 이모라고 했을까요
    친근감을 주기 위해 사용했겠죠
    아줌마!! 하는 게 싫었거나 미안했거나

    이모라는 단어가 쓰이게 된 것도 사실
    사회적 배경이나 사회구성원의 심리적 가치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된 거라 흥미로운 점이 많고
    외국인이 한국어 배울 때도 재미있다는 부분인데

    추후 사전에 뜻을 추가등록하면 되지 (이미 된 사전도 있죠)
    현재 많이 쓰고 있는 걸 굳이 다 획일적으로
    아주머니로 통일하라는 건 좀 이상한거 같아요

  • 6. ...
    '16.7.29 2:19 PM (119.64.xxx.92)

    예로부터 이웃사촌이란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죠. 친하면 다 친척 ㅎㅎ
    이모란 말을 왜 쓰는지 몰라서 거부감이 드는게 아니고 아니까 거부감이 드는거죠.
    친하지도 않은데 친한척들...

  • 7. 원글
    '16.7.29 2:20 PM (116.127.xxx.52)

    하긴 그전엔 미용실가서 선생님...간호사 선생님..이런 호칭 자체도 잘 안나왔는데 요즘은 선생님 호칭이 워낙 넓게 쓰이니 젊은 미용사한텐 ~ 쌤....간호사도 ~ 선생님... 요양 보호사도 ~ 선생님 .. 운전 기사님이라고 부르면 좋아하니 선생님 호칭 못 붙일건 없다고 생각드네요.

  • 8. ㅇㅇ
    '16.7.29 2:23 PM (121.168.xxx.41)

    언어의 사회성인가 언어의 역사성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 같아요

    부르는 사람이 전혀 그런 의도가 아니지만
    아줌마, 아주머니로 불렀는데
    듣는 사람이 뭔가 하대를 당한 느낌이 들 수도
    있어서
    이모라고 많이들 부르는 거 같습니다

  • 9. ㅇㅇ
    '16.7.29 2:29 PM (211.237.xxx.105)

    한 15~20년전 얘기지만
    저희 사촌시숙이 바람펴서 이혼했는데 그 상간녀한테 애들이 이모이모 하고 부르더군요..
    시숙이 시켰겠죠. 이모라 부르라고.. 그당시 애들이 초등저학년이였는데 아빠가 시키니 그리 부르고 아놔;;

  • 10. .....
    '16.7.29 2:31 PM (221.164.xxx.72)

    백인백색이라고 그 호칭으로 불리워도 아무렇지도 않은 사람이 있고
    기분 나쁜 사람이 있겠죠.
    그 호칭을 부르는 사람 잘못은 아니라고 봅니다.
    기분 나쁜 사람의 심리상태일 뿐이지...

  • 11. . .
    '16.7.29 4:03 PM (59.9.xxx.205)

    정말 요즘 남편한테 오빠라는 분 많이 만나요.ㅠㅠ 연애때부터 불러서 익숙하다지만... 애가 대학가게 생겼는데 그 긴 시간동안 안고치다니...
    한 번은 분명 그 엄마 분명 오빠가 없다고 알았는데 우리 오빠. 우리 오빠하길래. 오빠가 있었냐고 내가 잘 못 알고 있었나 싶어 묻기도 했었다니까요.ㅠㅠ
    듣는 사람 헷갈려요.ㅜㅜ 오빠 오빠 우리 오빠.

    그리고 친한 사람한테 자기.자기.ㅠㅠ
    저는 왜 이게 오글거릴까요...
    몇 명이 저한테 자기 자기 하는데 아놔...같은 여자끼리지만 듣는 자기 민망하게.ㅎㅎㅎ

  • 12. ...
    '16.7.29 4:19 PM (175.204.xxx.239) - 삭제된댓글

    음... 엄마가 그 남자를 오빠라 부르니
    아이에게는 삼촌 맞는데요 ~ ㅋㅋ
    엄마의 오빠는 외삼촌이니까 아이 친아빠의 동생은 아닌거고 ...
    그럼 우리가 오빠랑 결혼하는 근친교배 국가??
    아~ 진짜 우리나라 사람들 지 맘대로 함부로 불러싸는 호칭은 문제군요 !!

  • 13. 글게요
    '16.7.29 4:22 PM (223.38.xxx.245)

    그냥 다 이름 불렀음 좋겠어요
    이상한 나라에서 태어나서 나이도 한두살씩 빨리먹고 진짜..

  • 14. 00
    '16.7.29 4:58 PM (114.206.xxx.28)

    아주머니 아저씨도 원래 친족 호창입니다. 항렬이 높은 친척이 아주머니 아저씨예요.
    5촌 아저씨 7촌 아저씨 ... 아재 아즈매라는 방언은 여전히 친척 간에 쓰이죠.

    아주머니가 남을 뜻하는 말로 굳어져버리고 썩 좋지 않응 뉘앙스가 붙어버리니
    친근감 표현을 위해 좀더 가까운 친척명 이모를 가져다 쓰는 거죠.

    언어는 변하는 거고 변화하는 용법에 대한 저항도 세대를 막론하고 계속되는 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0071 온 사회에 만연한 일진 놀이 ㅡ 규제법 만들어야 1 ........ 2016/08/25 561
590070 비뇨기과에 왜 간걸까요? 12 궁금 2016/08/25 4,358
590069 남자노인들은 왜그렇게 사람얼굴을 뚫어지게 쳐다볼까요? 6 .. 2016/08/25 3,115
590068 만 세살까지 정말 엉망이다가 이후 순해진 아이 보신 적 있으신가.. 7 궁금 2016/08/25 1,050
590067 늙은건가요??? 아침드라마 5 2016/08/25 1,899
590066 학교폭력.. 그 이후.. 1 .. 2016/08/25 971
590065 인견옷 올이 원래 잘 풀리나요? 3 .... 2016/08/25 857
590064 장사하는 집에 시집가면 좋은건가요? 15 며느리 2016/08/25 6,358
590063 배우 채정안의 가수시절 노래를 듣고 있는데 대박이네요 2 // 2016/08/25 2,097
590062 대형마트 공기순환에 대한 법 만들어주세요 3 ........ 2016/08/25 966
590061 교포영어과외 가격?.. 7 . 2016/08/25 2,399
590060 함틋 이경희 작가가 쓴거 맞나 싶어요 13 함틋은 2016/08/25 4,209
590059 청주맛집 할머니 모시고 갑니다 9 차이라떼 2016/08/25 1,800
590058 조선족들을 왜이리 미워하는지 48 ... 2016/08/25 6,228
590057 더블유 20 ... 2016/08/25 4,510
590056 파전 부추호박전 부칠때 야채영양소는 얼마나 파괴되나요? 해물부추전 2016/08/25 437
590055 아기가 순한아기인거는 어찌 알아요? 22 dkf 2016/08/25 4,060
590054 포도주 담가보려구요..일반소주도 되나요? 7 이밤 2016/08/25 1,733
590053 중3여학생인데요?요즘 하루에 몇번 샤워하나요? 8 샤워 2016/08/25 1,427
590052 질투의 화신도 유치하네요ㅋㅋ 20 노노 2016/08/25 5,403
590051 1억원은 일본이 줄 수 있는 최선 10 위안부 할머.. 2016/08/25 1,063
590050 장어 고추장구이 해보려고 하는데요. 2 장어 2016/08/25 513
590049 어린이비만의 이유가 뭘까요? 2 ... 2016/08/25 823
590048 나주 혁신도시로 이사가는것에 대해 조언구해요.. 22 고민.. 2016/08/25 4,447
590047 요즘 청춘시대에 푹 빠져있네요 8 .. 2016/08/25 2,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