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발 잘 모르면 댓글 좀 삼가했으면 좋겠습니다.

플리즈 조회수 : 3,384
작성일 : 2016-07-27 11:39:48
뒤 은행 OTP관련 글 일부 댓글님들 왜 그러시나요? ㅜㅜ

타행OTP 온라인에서 새 걸로 변경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인인증서처럼요.

새 글로까지 안 쓰려 하다가요...
비단 저 글만의 문제가 아닌 듯 해서요.

잘 모르는 부분은 원글자에게 혼돈을 줄 수 있으니 댓글 안 다는 게 도움주는 것일 듯 해요.

아, 물론, 최초의 의도는 순수하게 도움주려는 것이겠죠.
저도 마찬가지고...인간이 원래 완벽할 순 없으니 착각하거나 실수할 수 있고요.

그런데, 다른 댓글들이 그게 아니라 하면 우기고 싶더라도 최소한 찾아보고서라도 우기든지 해야죠.
댓글 여러 개 올릴 시간에 검색 한 번이라도 해보시고요.

그런 댓글님들때문에 배는 산으로 갈 뿐이고...ㅜㅜ

물론, 온라인 정보를 백프로 신뢰하는 것은 바보같은 짓인 걸 알지만, 아니라 하는데도 박박 우기는 건 왜일까요?

본인이 틀릴 수 있다는 걸 죽어도 인정하기 싫은 걸까요?
IP : 119.14.xxx.20
3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러게요
    '16.7.27 11:43 AM (222.239.xxx.38)

    처음엔 몰라서 그럴 수 있지만..
    달라졌다는데두,바득바득 우기네요..그시간에 찾아보면 알텐데.

  • 2. 동의
    '16.7.27 11:44 AM (219.248.xxx.167)

    진짜 모르면 아는척 말았으면 좋겠어요. 직접 경험한 것도 아니고 건너건너 들은 말을 사실인양 말하고 우기는거 안그러길 바랍니다.

  • 3.
    '16.7.27 11:45 AM (117.123.xxx.19)

    원글님 의견에 공감합니다..
    묻는 사람은 필요해서인데
    전문지식도 없는 사람이
    상식으로 판단해서 댓글다는건
    아니라고 봐요

  • 4. 작년에
    '16.7.27 11:53 AM (125.176.xxx.90) - 삭제된댓글

    파손등으로 재발급 받으면
    각 은행 지점 방문해서 시리얼 넘버를 창구를 통해 입력하고
    집에 와서 인터넷 뱅킹을 통해 온라인 등록해야 사용 가능했는데
    바뀌었나요?

  • 5. -_-
    '16.7.27 11:57 AM (211.212.xxx.236)

    작년에님-
    파손은 아니었는데
    저도 배터리때문에 재발급 받아 등록했는데요
    발급받은 은행에서만 창구에서 등록하면(주면서 등록해줘요) 타은행은 온라인에서 다 변경 가능해요

  • 6. 고려
    '16.7.27 11:57 AM (121.100.xxx.25) - 삭제된댓글

    1. 자기 주장도 있으면 남도 다른 주장이 있는 다른 것을 인정 안하려고 할 때
    2. 주는 정보가 정확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정보를 구하이가 다른 곳에서도 정보를 재확인 해야 함
    3. 남이 본인에게 막말하거나 폄훼하는 소리로 기분이 상한 경험을 다른이에게 풀려 할 때

  • 7. .....
    '16.7.27 11:59 AM (125.176.xxx.90) - 삭제된댓글

    아..바뀌었군요..
    세상 좋아졌네요
    전 거래은행이 수십개라 그거 등록시키러 수십개 은행 방문하면
    하루가 모자랐거든요

  • 8. otp 아니고 O..P..T
    '16.7.27 12:01 PM (110.9.xxx.37) - 삭제된댓글

    ..............................

  • 9. 고려
    '16.7.27 12:03 PM (121.100.xxx.25) - 삭제된댓글

    4. 중요한 것은 본인만이 전문적인 답변을 달 수 있다 자만 하는 것도 매우 위험
    5. 전문적인 답변도 시와 때에 따라 정보가 변경되거나 사례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도 생김
    6. 다른 사람이 댓글을 달면 저런 경험치도 있구나 인정하되 그 사례가 부적절하면 부연 설명 하면 됨

  • 10. -_-
    '16.7.27 12:04 PM (211.212.xxx.236)

    ㅋㅋ
    윗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80773&cid=40942&categoryId=32854

    otp가 맞아요ㅎㅎ

  • 11.
    '16.7.27 12:05 PM (211.252.xxx.1)

    otp가 맞아요,,,

    제목을 이렇게 단 글에서도
    저런 댓글이 나오는군요,,,,,

  • 12. ㅋㅋ
    '16.7.27 12:08 PM (125.176.xxx.90) - 삭제된댓글

    TPO 가 맞다는 댓글 안나오는게 다행이네요

  • 13. ..
    '16.7.27 12:08 PM (222.100.xxx.210)

    otp 맞아요 모르면 제발 가만히나 있지

  • 14. 고려
    '16.7.27 12:09 PM (121.100.xxx.25) - 삭제된댓글

    7. 상식과 전문적인 판단 사이에도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자만하지 말고 타인의 말도 경청 필요

  • 15. -_-
    '16.7.27 12:09 PM (211.212.xxx.236)

    ㅎㅎ며칠전 냉부에서 김성주씨가 tpo랑 top를 바꿔말해서
    남편이랑 엄청 웃었는데
    (윗분 댓글보니 급 생각나서 또 웃었습니다.ㅎㅎ)

  • 16.
    '16.7.27 12:09 PM (223.62.xxx.186)

    동의

    잘 모르면서 떼거지로 우기는거
    그만 해
    소중한 82 물 흐리지말고!!!!

  • 17. 아아악. 죄송합니다
    '16.7.27 12:10 PM (110.9.xxx.37) - 삭제된댓글

    순간적으로 Optional Practical Training (OPT) 카드 ㅇ이것과 혼동했나봐요...허걱............

    왜지???? 허거거거거.. 죄송합니다 ㅠㅠㅠㅠ

  • 18. 고려
    '16.7.27 12:10 PM (121.100.xxx.25) - 삭제된댓글

    1. 자기 주장도 있으면 남도 다른 주장이 있는 다른 것을 인정 안하려고 할 때
    2. 주는 정보가 정확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정보를 구하이가 다른 곳에서도 정보를 재확인 해야 함
    3. 남이 본인에게 막말하거나 폄훼하는 소리로 기분이 상한 경험을 다른이에게 풀려 할 때

    4. 중요한 것은 본인만이 전문적인 답변을 달 수 있다 자만 하는 것도 매우 위험
    5. 전문적인 답변도 시와 때에 따라 정보가 변경되거나 사례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도 생김
    6. 다른 사람이 댓글을 달면 저런 경험치도 있구나 인정하되 그 사례가 부적절하면 부연 설명 하면 됨

    7. 상식과 전문적인 판단 사이에도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자만하지 말고 타인의 말도 경청 필요

  • 19. 원글이
    '16.7.27 12:33 PM (119.14.xxx.20)

    110님, 아니오... 원글에도 썼듯이 착각하실 수 있죠.
    하지만, 님은 바로 오류를 수긍하시잖아요.

    제가 격정토로ㅎㅎ한 부분은 여러 사람이 아니라 해도 끝까지 우기는 경우를 말씀드린 겁니다.

    본의 아닌 저격이 될 진 모르겠는데...
    반복적으로 우기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그러셨는지 무려 회사 재무 담당이란 얘기까지...ㅜㅜ

    저도 마찬가지고요...
    우리 모두는 틀릴 수 있어요. ㅜㅜ

  • 20. 원글이
    '16.7.27 12:37 PM (119.14.xxx.20) - 삭제된댓글

    그런데, 급화제전환 같지만, 말나온 김에...ㅎㅎ

    카드형OTP 기기가 있더군요.
    예전 보안카드처럼 생긴거요.

    그게 더 편리할지, 기존의 것이 더 나을지 모르겠군요.

  • 21. 원글이
    '16.7.27 12:38 PM (119.14.xxx.20)

    그런데, 급화제전환 같지만, 말나온 김에...ㅎㅎ

    카드형OTP 기기가 있더군요.
    예전 보안카드처럼 생긴 것이요.

    그게 더 편리할지, 기존의 것이 더 나을지 모르겠군요.

  • 22. ...
    '16.7.27 12:49 PM (125.129.xxx.29) - 삭제된댓글

    공감해요! 남편 직장 다니는거 옆에서 보고 직장 조언하고 아는 사람 어떤 분야에서 일하는거 얘기 좀 듣고 업계 조언하고 그런 글 보면 참 어쩔땐 실소가 나와요.

  • 23. ...
    '16.7.27 1:04 PM (223.62.xxx.148)

    어제 입시글에 삼수생 논술보다
    학생부종합 써보란글.
    아휴~정말.
    좀 아닌거 같아요.

  • 24. 맞아요
    '16.7.27 1:14 PM (121.140.xxx.47) - 삭제된댓글

    여기 글 읽다보면...정확치도 않은 댓글 많이 봅니다.

    잘 모를 때는, 그냥 조용히 읽기만 했으면 좋겠어요.

    정말 도움이 되는 주옥 같은 글들도 같이 묻힐 수 있어요.

    어떤 때는, 맞는 댓글 하나에 틀린 댓글이 많다보면...다수결로 결정되는 때도 있어요.

  • 25. 카드형태
    '16.7.27 2:40 PM (203.254.xxx.24)

    카드형태가 소지하기는 더 좋아요,.,.지갑에 넣으면 되니까
    그런데 컴에 꽂을때 낭창거린달까?? 좀 덜렁 거린달까 그게 좀 불안해요

    카드형이 더 비싸죠... usb 형태보다는

  • 26. ㄴㄱ
    '16.7.27 2:40 PM (218.39.xxx.246)

    전 응답88 댓글들보고 놀랐어요
    분명 본인이 그시절 그리 살았다는댓글 있는데도
    나포함 내주변은 그리 안살았다
    말도 안된다 틀리다란 댓글들 많았죠

  • 27. ....
    '16.7.27 8:21 PM (182.209.xxx.131) - 삭제된댓글

    어제 입시글에 삼수생 논술보다 학생부 종합 써 보라는 글 쓴 사람인데요!
    왜 아니죠?
    논술을 삼수하는 동안 따로 공부하지 않았으면 학생부 종합이 더 유리한대요! 당연히...
    논술을 따로 공부한 적 없으면 자소서 들어 가는 종합이 더 유리하다고 댓글 단 건데 뭐가 틀렸다는 건지...
    참 내원...
    정시로 가는 게 원칙이고 삼수생이라 수시를 다 안 쓸 수는 없으니 내신은 고칠 수 없고 논술도 준비안했으면 자소서 잘 써서 종합으로 가란 말 쓴겁니다. 좀 제대로 읽어 보고 비판하세요!

  • 28. ....
    '16.7.27 8:22 PM (182.209.xxx.131) - 삭제된댓글

    어제 입시글에 삼수하면서 논술 따로 공부한 적 없으면 논술보단 자소서 쓰는 학생부 종합 써 보라는 글 쓴 사람인데요!
    왜 아니죠?
    논술을 삼수하는 동안 따로 공부하지 않았으면 학생부 종합이 더 유리한대요! 당연히...
    논술을 따로 공부한 적 없으면 자소서 들어 가는 종합이 더 유리하다고 댓글 단 건데 뭐가 틀렸다는 건지...
    참 내원...
    정시로 가는 게 원칙이고 삼수생이라 수시를 다 안 쓸 수는 없으니 내신은 고칠 수 없고 논술도 준비안했으면 자소서 잘 써서 종합으로 가란 말 쓴겁니다. 좀 제대로 읽어 보고 비판하세요!

  • 29. 피트맘
    '16.7.27 8:24 PM (182.209.xxx.131) - 삭제된댓글

    어제 입시글에 삼수하면서 논술 따로 공부한 적 없으면 논술보단 자소서 쓰는 학생부 종합 써 보라는 글 쓴 사람인데요!
    왜 아니죠?
    삼수하는 동안 수능만 공부하고 논술을 따로 공부하지 않았으면 학생부 종합이 더 유리하죠! 당연히...
    논술을 따로 공부한 적 없으면 자소서 들어 가는 종합이 더 유리하다고 댓글 단 건데 뭐가 틀렸다는 건지...
    참 내원... 자소서에 삼수하면서 더 깊어진 자신의 내면도 쓰고... 그러면 유리할 수 있어요! 충분히...
    정시로 가는 게 원칙이고 삼수생이라 수시를 다 안 쓸 수는 없으니 내신은 고칠 수 없고 논술도 준비안했으면 자소서 잘 써서 종합으로 가란 말 쓴겁니다. 좀 제대로 읽어 보고 비판하세요!

  • 30. ...
    '16.7.27 8:24 PM (182.209.xxx.131) - 삭제된댓글

    어제 입시글에 삼수하면서 논술 따로 공부한 적 없으면 논술보단 자소서 쓰는 학생부 종합 써 보라는 글 쓴 사람인데요!
    왜 아니죠?
    삼수하는 동안 수능만 공부하고 논술을 따로 공부하지 않았으면 학생부 종합이 더 유리하죠! 당연히...
    논술을 따로 공부한 적 없으면 자소서 들어 가는 종합이 더 유리하다고 댓글 단 건데 뭐가 틀렸다는 건지...
    참 내원... 자소서에 삼수하면서 더 깊어진 자신의 내면도 쓰고... 그러면 유리할 수 있어요! 충분히...
    정시로 가는 게 원칙이고 삼수생이라 수시를 다 안 쓸 수는 없으니 내신은 고칠 수 없고 논술도 준비안했으면 자소서 잘 써서 종합으로 가란 말 쓴겁니다. 좀 제대로 읽어 보고 비판하세요!

  • 31. ...
    '16.7.27 8:26 PM (182.209.xxx.131) - 삭제된댓글

    어제 입시글에 삼수하면서 논술 따로 공부한 적 없으면 논술보단 자소서 쓰는 학생부 종합 써 보라는 글 쓴 사람인데요!
    왜 아니죠?
    삼수하는 동안 수능만 공부하고 논술을 따로 공부하지 않았으면 학생부 종합이 더 유리하죠! 당연히...
    논술을 따로 공부한 적 없으면 자소서 들어 가는 종합이 더 유리하다고 댓글 단 건데 뭐가 틀렸다는 건지...
    참 내원... 자소서에 삼수하면서 더 깊어진 자신의 내면도 쓰고 대학 가서 어떻해 전공공부를 할 건지 달라진 식견을 쓰고... 진솔한 자소서가 더 유리할 수 있어요! 충분히...
    정시로 가는 게 원칙이고 삼수생이라 수시를 다 안 쓸 수는 없으니 내신은 고칠 수 없고 논술도 준비안했으면 자소서 잘 써서 종합으로 가란 말 쓴겁니다. 좀 제대로 읽어 보고 비판하세요!

  • 32. ...
    '16.7.27 8:27 PM (182.209.xxx.131) - 삭제된댓글

    어제 입시글에 삼수하면서 논술 따로 공부한 적 없으면 논술보단 자소서 쓰는 학생부 종합 써 보라는 글 쓴 사람인데요!
    왜 아니죠?
    삼수하는 동안 수능만 공부하고 논술을 따로 공부하지 않았으면 학생부 종합이 더 유리하죠! 당연히...
    논술을 따로 공부한 적 없으면 자소서 들어 가는 종합이 더 유리하다고 댓글 단 건데 뭐가 틀렸다는 건지...
    참 내원... 자소서에 삼수하면서 더 깊어진 자신의 내면도 쓰고 대학 가서 어떻해 전공공부를 할 건지 달라진 식견을 쓰고... 진솔한 자소서가 더 유리할 수 있어요! 충분히...
    정시로 가는 게 원칙이고 삼수생이라 수시를 다 안 쓸 수는 없으니 내신은 고칠 수 없고 논술도 준비안했으면 자소서 잘 써서 수시도 포기하지 말고 여섯번의 기회를 이용해 보란 겁니다. 좀 제대로 읽어 보고 비판하세요!

  • 33. ...
    '16.7.27 8:29 PM (182.209.xxx.131)

    어제 입시글에 삼수하면서 논술 따로 공부한 적 없으면 논술보단 자소서 쓰는 학생부 종합 써 보라는 글 쓴 사람인데요!
    왜 아니죠?
    삼수하는 동안 수능만 공부하고 논술을 따로 공부하지 않았으면 학생부 종합이 더 유리하죠! 당연히...
    논술을 따로 공부한 적 없으면 자소서 들어 가는 종합이 더 유리하다고 댓글 단 건데 뭐가 틀렸다는 건지...
    참 내원... 자소서에 삼수하면서 더 깊어진 자신의 내면도 쓰고 대학 가서 어떻해 전공공부를 할 건지 달라진 식견을 쓰고... 진솔한 자소서가 더 유리할 수 있어요! 충분히...
    정시로 가는 게 원칙이고 삼수생이래도 여섯번의 수시기회를 다 안 쓸 수는 없으니 내신은 고칠 수 없고 논술도 준비 안했으면 자소서 잘 써서 수시도 포기하지 말고 잘 이용해 보란 겁니다. 좀 제대로 읽어 보고 비판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6627 여자나이 언제쯤 성욕이 사그러 들까요? 20 리스부부 2016/08/15 19,404
586626 부모님이 나이가 들어가며 사이가 나빠진 경우 7 답답하다 2016/08/15 1,882
586625 주기적으로 이대를 까네요 21 ??? 2016/08/15 1,950
586624 지역까페올라온글..무식해보이네요. 15 에혖 2016/08/15 5,811
586623 사립초&공립초 13 공부맘 2016/08/15 3,272
586622 쓰레기 분리수거..과연 할만한 가치가 있나요? 23 ... 2016/08/15 5,829
586621 혹시 부산에 ㄱㄹ병원아세요?~ 5 협착증 2016/08/15 1,493
586620 처신을 가르쳐주세요.. 2 난감합니다 2016/08/15 972
586619 3살부터 6살아이와 일본여행.. 갈 수있을까요 34 초보 2016/08/15 3,869
586618 [조언절실] 붕산으로 바퀴 잡으면요... 7 지나가다 2016/08/15 1,422
586617 티파니 일본 활동 계획 있나요? 8 ........ 2016/08/15 2,562
586616 50대 중반 청력 질문 있어요 4 소리 2016/08/15 1,412
586615 싱크대에 아무것도 안나오게 하는분들 도마는 어디에?? 12 2016/08/15 5,230
586614 흰머리 어찌 하세요ㅠㅠ 9 .... 2016/08/15 5,056
586613 이 시간에 짜파게티 2개 먹고 있어요. 8 .. 2016/08/15 1,595
586612 목동 오목교쪽에 갑상선검사 병원 ? 1 후리지아 2016/08/15 952
586611 외동들 강아지나 고양이 기르시나요 17 어휴 2016/08/15 2,526
586610 국가 비하 발언한 과거 연예인들 16 오이 2016/08/15 3,123
586609 노래방 화면의 성시경 5 왕자 2016/08/15 2,119
586608 오메가3 불면증에 직빵이네요. 20 망이엄마 2016/08/15 14,194
586607 일본 언론들은 박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에 박수쳤다 3 815 2016/08/15 818
586606 게으른 주부는 어떻게 부지런해지나요?ㅡ 8 ... 2016/08/15 3,848
586605 초1 아이가 너무 화나게 해요 13 분노조절장애.. 2016/08/15 3,714
586604 비듬이 너무 많아요 샴푸 뭐써야하나요? 11 슬쩍껴서 2016/08/15 4,091
586603 자라바지 크게나오나요? 8 2016/08/15 6,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