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열람실이 없는 시립 도서관이라니..

도서관 조회수 : 4,019
작성일 : 2016-06-14 16:16:16
저희동네에 제법 유명하고 경치도좋고
깔끔한 도서관이 있어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지요
시험기간이나 평소에도 많은 학생들과
일반인들이 공부하러 열람실을 이용하고
시험기간 주말에는 새벽부터 길게 줄서서 열람실 번호표
뽑으려고 기다리기도 하죠
갑자기..이 도서관부터 열람실을 없애고
자료실을 만든다고 합니다
진열할 자료가 그리많은 도시도 아닌듯 합니다만

지금 중,고등학부모들이 난리입니다
개인 독서실 이용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그래도 쾌적한 환경에 시립도서관 열람실
이용하는 사람들이 매우 많은데요
탄원서를 작성하자
일인 시위하자..
도대체 저런 결정은 누가하는건지요
시민들 의견이 조금이라도 반영이 된건지..
사람들이 공부할 열람실이 없는 도서관이라니
저도 가끔 도서관분위기를 즐기러
열람실에 들어가 책 읽고 오곤 합니다

여러분 의견은 어떠세요?
IP : 222.98.xxx.28
9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6.14 4:19 PM (58.120.xxx.136)

    서울도서관이 열람실이 따로 없는거 같은데요.
    도서관 자체가 협소하면 따로 만들기 힘들기는 하죠.
    시립도서관이라면 도서관에 청원 넣으면 되지 않을까요? 시립이면 시쪽으로 민원 넣어보는건 어떨까 싶고요.

  • 2. 미친
    '16.6.14 4:22 PM (182.209.xxx.107)

    어느 시에요?
    시장이 누구에요?
    시민을 위한 도서관에 열람실을 없앤다니요;;;;
    이용하는 주민들 의견은 들어보고 결정한건가요?

  • 3. ㅠ.ㅠ
    '16.6.14 4:24 PM (222.98.xxx.28) - 삭제된댓글

    이름이
    땡땡시 중앙 도서관입니다
    학교 알림장으로 전체 공지가 떴더라구요
    7월부터 4개월간 공사들어간다~
    굳이 열람실 없애지 않고 기존공간을
    활용하여 자료실 증축해도 충분할듯..
    도서과 시청 전화해보니
    죄송합니다~이러네요

  • 4. 도서관
    '16.6.14 4:25 PM (222.98.xxx.28)

    이름이
    땡땡시 중앙 도서관입니다
    학교 알림장으로 전체 공지가 떴더라구요
    7월부터 4개월간 공사들어간다~
    굳이 열람실 없애지 않고 기존공간을
    활용하여 자료실 증축해도 충분할듯..
    도서관과 시청에 전화해보니
    죄송합니다~이러네요

  • 5. 원래
    '16.6.14 4:43 PM (211.244.xxx.52)

    도서관의 목적이 공부가 아닌 독서 자료 검색 이기때문에 열람실이 없는게 맞아요.
    열람실 있는 도서관도 자료실엔 여기서 개인 공부하지말라고 써있고요.
    법대로 해도 그게 옳은거라 항의해야 소용없어요.

  • 6. ㅇㅇ
    '16.6.14 4:47 PM (220.83.xxx.250)

    지역 신문에 제보하고 기사좀 실어 달라고 항의 전화도 하고 지역민 부모님 함께 움직이세요
    보기만 좋게 하려고 열람실 없애기도 한다더라고요
    하루종일 앉아 있는 사람들이 많다나 어쨋다나 말도 안되는 핑계 ㅡㅡ
    가만히 있으면 그래도 되는줄 알아요 알려줘야해요 머리가 좋은 사람들이 아닌 윗대가리들이 많아서요

  • 7. 도서관
    '16.6.14 4:49 PM (222.98.xxx.28)

    취업준비생이나 학생들이 앉아서
    공부하는 칸막이 쳐진 책상,의자에서
    개인 공부하면..안되는거였어요?

  • 8. ....
    '16.6.14 4:52 PM (211.114.xxx.105)

    국회도서관에는 개인책 들고도 못가게 되있을텐데요. 열람실 없애는게 요새 분위기.

  • 9.
    '16.6.14 4:54 PM (211.244.xxx.52)

    칸막이가 있는곳이 바로 열람실이죠
    열람실을 없애려면 제일 먼저 칸막이 책상부터 치웁니다.
    테이블과 의자 ,서가 옆에 스툴, 벤치나 소파 그런걸 둡니다.
    근데 열람실 없애도 어차피 자료실에서 다 공부해요.

  • 10. ;;;;;;;;;;;;;;
    '16.6.14 4:56 PM (121.139.xxx.71)

    군포 중앙 도서관이예요. 저희집 바로 앞
    무려 10억 들여서 공사를 무려 4개월이나 하는데 문제는
    이미 공간도 충분한데 시장이 개인 치적을 위해서
    군포 한국 문학관 을 유치하려고 도서관의 열람실폐쇄 하고
    자료실로 늘린다는 명분인데 기존이있던 휴게실에 군포 역사 박물관 만들겠다고
    저난리

    이근방 거의 모든 수험생들이 열람실이용하는데
    열람실이용이 미비하면 없애도 되지만
    기존에 거의 사용안하는 세미나 실도 많고
    지하에도 사용 미미한 극장 까지있는 규모큰 도서관이예요

    시장이 4연임이라 미친건지 시청에 자기 동상도 세우겠다는데
    지금 이 공사 말고도
    필요 이상으로 엄청난(몇백억 규모)의 공사들 진행중이고
    지자체가 아니라 시장 일인 공화국같이 전행을 일삼는 중이라 더 문제죠

  • 11. ...
    '16.6.14 5:00 PM (110.47.xxx.64)

    추세는 무슨..
    도서관에 열람실은 있어야죠.
    독서실 갈 형편 안되는 사람은 열람실이라도 있어야지 어디서 공부하나요
    이건 학부모 지역주민이 지속적으로 민원 넣어야합니다.
    주민의견 수렴없이 독단적으로 정시행정 하는것들은 퇴임운동이라도 했으면 좋겠네요.

  • 12. 군포시 시민이 멍청한거죠.
    '16.6.14 5:06 PM (211.36.xxx.91)

    군포시 신도시임에도 존재감도 없는 지역이죠.
    능력없는 시장 또 뽑아주고 또 뽑아주고..
    자업자득이죠.
    군포시 금정역 한번 보세요.
    더블 역세권 환승역인데 얼마나 노후화되고
    좁아서 이용이 불편한데도 수십년 째 그대로~
    그 시장 몇번 연임했는데 뭐 발전한 거 있나요?

  • 13. ............
    '16.6.14 5:09 PM (121.150.xxx.86)

    이런걸로 정치얘기 하기는 그렇지만 ㅅㄴㄹ 시장.교육감 있는곳은 거의 이래요.
    겉보기 번지르르하게 유아 열람실 늘리고. 편안히 공부할 분위기는 개나 줘버려요.

  • 14. 에이
    '16.6.14 5:09 PM (222.98.xxx.28)

    에이~~
    그래도 지역욕은 하지마세요
    살기좋은 몇안되는 도시예요

  • 15. 123
    '16.6.14 5:13 PM (211.244.xxx.52)

    원칙상 공부는 자기집이나 학교에서 하는거죠.
    국가에서 국민의 교육을 위해 학교 지어주고 독서 교양 위한 도서관 지어주면 할 일 다한겁니다.
    공부는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일, 도서관엔 열람실이 없는게 원칙입니다.

  • 16. 211.244.xxx.52
    '16.6.14 5:16 PM (110.47.xxx.64)

    이 사람은 도서관직원 알바인가.
    도서관에 열람실 없으면 팥없는 찐빵이지..
    법적으로 맞다고만 하지 말고 법적 근거라도 대보던가요

  • 17. ㄴㄴ
    '16.6.14 5:16 PM (221.140.xxx.231)

    새누리 시장이 아니구요. 민주당이었다 이번 대선때 탈당해서 국민당으로 옮긴 시장이에요.

  • 18. 헐~
    '16.6.14 5:16 PM (211.214.xxx.229)

    우리 도서관도 공사한다던데~라며 들어왔더니, 맞네요 ㅠㅠ
    시설 깔끔하고 정말 좋은데, 왜 또 공사야..했더니.. 이런 쓸데없는 짓을 하고 있었군요
    윗윗님. ㅅㄴㄹ도 아닌 ㄱㅁㅇㄷ 소속 시장이라는게 에러랄까요?
    독서, 책의 도시를 나름 슬로건으로 하고 있어서 도서관들도 참 좋고, 희망도서도 참 잘사주는 좋은 동네인데
    이거 너무 실망스럽네요 ㅜㅜ 이러기전까지는 좋았는데

    세금 아까워요 --;

  • 19. ㅋㅋ
    '16.6.14 5:17 PM (211.244.xxx.52) - 삭제된댓글

    도서관 직원 알바도 있어요?ㅋㅋㅋㅋㅋ

  • 20. ㅋㅋ
    '16.6.14 5:20 PM (211.244.xxx.52) - 삭제된댓글

    도서관 직원 알바도 있어요?ㅋㅋㅋㅋㅋ
    도서관에 책이 없어야 팥없는 찐빵이죠.
    독서실엔 책이 없구요.
    도서관은 공공 독서실이 아닙니다.
    법규는 댁이 찾아보슈

  • 21. ㅋㅋ
    '16.6.14 5:22 PM (211.244.xxx.52)

    도서관 직원 알바도 있어요?자원봉사는 많지만 ㅋㅋㅋㅋㅋ
    도서관에 책이 없어야 팥없는 찐빵이죠.
    독서실엔 책이 없구요.
    도서관은 공공 독서실이 아닙니다.
    법규는 댁이 찾아보슈

  • 22. ...
    '16.6.14 5:23 PM (110.47.xxx.64)

    211.244
    바보인증하나
    법적으로 맞다고 본인이 먼저 지껄여놓고 법적 근거 대라니까 나보고 찾으래 ㅋㅋ

  • 23. ..
    '16.6.14 5:25 PM (121.124.xxx.153)

    우리 동네 도서관도 공사 중이던데...
    원래 열람실이 없던 도서관이라 어떻게 바뀔지 궁금하네요.
    집근처 도서관이랑 집에서 꽤 떨어진 도서관이랑
    설립년도는 같은데, 시설물 낡은 정도가 어마무지 차이나요.
    열람실이 있고 없고의 차이가 있는데
    그 때문인가보다라고 혼자 생각하고 있었어요.
    열람실 있는 곳은 낙서도 곳곳에 있고,
    음식물흘린 자국, 냄새 등등 관리가 좀 더 힘들겠다는 생각은
    들더라구요.
    물론 열람실이 필요하긴 하지만요.

  • 24. 110.47
    '16.6.14 5:27 PM (211.244.xxx.52) - 삭제된댓글

    그럼 바보호 좌회전이 맞다 말하려면 교통법규 조항 들고 와야하니?
    법적근거 운운한 니가 찾으라구 멍청아

  • 25. yy
    '16.6.14 5:28 PM (1.210.xxx.30)

    우리나라는 필기시험위주 사회에요
    공무원시험.대입시험.사시.행시.외시등등
    지역공공도서관은 꼭 열람실 있어야 합니다
    대학도서관도 사실 열람실이 주기능입니다
    중고교는 뭐 말할 필요도 없어요.

  • 26. 110.47
    '16.6.14 5:28 PM (211.244.xxx.52)

    그럼그런경우에 비보호 좌회전이 맞다 -이런식으로 말하려면 교통법규 조항 들고 와야하니?
    법적근거 운운한 니가 법규 찾으라구 멍청아~

  • 27. ...
    '16.6.14 5:28 PM (39.7.xxx.228) - 삭제된댓글

    진짜 동네 발전 너무 없어요
    집값 보세요
    명색이 1 기 신도시인데 어쩔
    서민정책만 쓰다 다같이 하향평준하

  • 28. ...
    '16.6.14 5:29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211.244.
    열람실 없는게 법적으로 맞다고 니가 우겼는데 우긴 ㅄ이 증명해야지
    몰라서 묻는 내가 찾아주리?

  • 29. ...
    '16.6.14 5:31 PM (110.47.xxx.64)

    211.244.
    열람실 없는게 법적으로 맞다고 니가 우겼는데 우긴 ㅄ이 증명해야지
    몰라서 묻는 내가 찾아주리?
    근거 없어서 못찾겠다고 해
    등시나

  • 30. 으이구
    '16.6.14 5:34 PM (211.244.xxx.52)

    첨부터 다짜고짜 반말로 덤벼드는 인간하고 말섞은 게 잘못.

  • 31. ...
    '16.6.14 5:35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211.244.
    모르면 가만히나 있어.
    시건방떨면서 열람실없는게 맞니 그르니 가르치려 들지 말고

  • 32. ...
    '16.6.14 5:37 PM (110.47.xxx.64)

    211.244.
    열람실 없는게 법적으로 옳다는 얘기는 생전 처음 듣는다
    법적 근거 대라니까 대지도 못하는 주제에.,
    모르면 가만히나 있어.
    시건방떨면서 열람실없는게 맞니 어쩌니 가르치려 들지 말고

  • 33.
    '16.6.14 5:59 PM (223.62.xxx.24)

    군포시 중앙도서관이에요?
    거기 진짜 좋아요 옆에는 수리산있고
    열람실도 넓고 중고생은 물론 일반인들도 정말 잘 이용하는 곳이였는데요
    그걸 왜 없애요? 세상에

    한때 거기이용하다가 지금은 못가고 있는데

    가끔 생각나던곳인데
    산옆에 있고 넓고 산책하고 책보고 공부하고
    좋은곳인데

    제가 학부모여도 거기로 보냈을걸요
    교육지원으로 생각하고 거기 유지하지 참나
    독서실비도 다달이 무시못할거고
    돈도 돈이지만 공부하기 좋은곳인데

    저는 군포시민이 이젠 아니지만 계속살았다면
    무슨 운동을 하든 적극 동참하긴했을거에요

  • 34. 댁이나
    '16.6.14 6:01 PM (211.244.xxx.52)

    모르면 가만계세요.무식인증 고만 하시구요 ㅋㅋㅋ도서관 가서 책 좀 보시던가요.

  • 35.
    '16.6.14 6:01 PM (223.62.xxx.24)

    아 그리고 거기 무지 넓어요 굳이 열람실 없애는 공사할필요 없어보이던데

  • 36.
    '16.6.14 6:03 PM (223.62.xxx.24)

    그 중앙도서관때문에 다시 그근처로 이사가고 싶단 생각할정돈데 참나 이사고민 덜어줘서 고맙다해야할지

  • 37. 울 동네
    '16.6.14 6:31 PM (1.235.xxx.71)

    택지지구인데 기다리던 도서관이 문을 열렀는데 열람실이 아예 없어요.

  • 38. ㅇㅇ
    '16.6.14 6:34 PM (222.238.xxx.125)

    도서관은 말 그대로 책을 읽는 곳입니다.
    열람실은 개인 공부하는 공부방이고요.
    책을 보러 가는 사람을 위한 공간이 훨씬 확보되야하는 곳이지
    다른 곳도 이용 가능한 분들을 위한 공간확보는 2차 문제에요.
    책은 나날이 늘어나지 공간 부족해서 서고를 더 늘일수도 없고...
    도서관의 원래 기능으로 돌이키는 거겠죠.

  • 39. ...
    '16.6.14 6:40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211.244
    말섞지 않겠다더니 장문으로..ㅋㅋ
    첫줄만 읽고 패스했고,
    잡소리 집어치우고. 열람실 없애는게 법적으로 맞자고 한 근거나 갖고와

  • 40. ...
    '16.6.14 6:40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211.244
    더이상 말섞지 않겠다더니 장문으로..ㅋㅋ
    첫줄만 읽고 패스했고,
    잡소리 집어치우고. 열람실 없애는게 법적으로 맞자고 한 근거나 갖고와

  • 41. ...
    '16.6.14 6:41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211.244
    더이상 말섞지 않겠다더니 아예 장문으로..ㅋㅋ
    첫줄만 읽고 패스했고,
    잡소리 집어치우고. 열람실 없애는게 법적으로 맞자고 한 근거나 갖고와

  • 42. ...
    '16.6.14 6:42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211.244
    더이상 말섞지 않겠다더니 ..ㅋㅋ
    잡소리 집어치우고. 열람실 없애는게 법적으로 맞자고 한 근거나 갖고와

  • 43. ...
    '16.6.14 6:42 PM (110.47.xxx.64)

    211.244
    더이상 말섞지 않겠다더니 ..ㅋㅋ
    잡소리 집어치우고. 열람실 없애는게 법적으로 맞다고 한 근거나 대라니까

  • 44. 거기
    '16.6.14 6:48 PM (223.62.xxx.24)

    공간 많아요 넓어서 거의 방치되는 공간도 많고
    휴게실도 넓고
    자료실도 넓고 자료실 안에 책보는 공간도 넓게 잘되어 있어요
    사실 시민위주 행정을 한다면 공사 안하는게 맞지요
    시민들은 자료실 열람실 잘 이용하고 있는데
    저 위 댓글보니 휴게실 자리에 박물관 넣고 열람실없애고 문학관 유치하기 위한거라니 자기치적 위한거지 시민위한게 맞나요?
    시민들이 낸 세금으로 시설 활용 못하게되니 거꾸로 아닌가요?
    동상짓는다는거 정말이에요? 그건 아닌것 같은데 정말이면 야 진짜

  • 45. **
    '16.6.14 6:53 PM (124.54.xxx.166)

    책만 읽는 곳이면 도서관에 박물관은 왜 필요할까요? 군포는 작은 동네라 책 읽으러 오는 사람이 국회도서관이니 서울시립도서관들과는 비교도 안됩니다. 그리고 요즘 수험생이 얼마나 많습니까? 지나치지 않은 정도에서 우리 현실에 맞춰서 운영하면 되지 명분없는 공사한다고 공공기관이 사개월을 기능을 안한다니. . .진짜 어이없네요.

  • 46. 필요
    '16.6.14 6:59 PM (110.8.xxx.113)

    시민들이 그만큼 필요로 하는 열람실인데 더 늘리지는 못하고 없애려하다니 이상해요

  • 47. .....
    '16.6.14 7:38 PM (61.83.xxx.61) - 삭제된댓글

    시민들 입장에선 도서관에 열람실 이용하러 가는 사람들이 대다수인데...저희 집 근처에도 규모가 큰 도서관 새로 짓고 있는데 열람실 없어요...

  • 48. 근데
    '16.6.14 7:39 PM (121.143.xxx.199)

    원래 도서관의 기능은 공부하는곳이라기보다
    책을 읽는 곳이란 목적으로 세워진거예요.
    시민들의 요구와 또 필요로 열람실을 만들게 된건데
    이젠 꼭 있어야는 곳이 됐죠.
    게다가 규모도 그렇게 큰데..
    민원이 많아지면 아마 무산될 수 있지 않을까요.

  • 49. ...
    '16.6.14 7:49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갈수록 서민들이 이용할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네요.
    쓸데없는 꽃축제니 콘서트니 경연대회 대외적으로 광고만 하는 이벤트성 행정에 돈쓰기 바쁘고 열람실같이 필요한 공간은 줄이거나 없애다니.
    신규도서관 짓는데 열람실 없다면 시민들의 의견을 전혀 반영안한거라고 보네요.
    학생뿐 아니라 각종 시험에 시달리는 성인에게도 꼭 필요한 곳이 도서관인데, 주민의견을 수렴했다면 반대의견이 많으니 열람실 없는 도서관짓기 밀어부치기 한거겠죠.
    독단적이고 전시행정만 일삼으면서 시민들의 세금 축내는 지자체장들은 낙선운동이라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생색내려면 사비 털어서 하라고 시민들은 갈 일없는 장소 만드는데 피같은 세부 퍼붓지 말라구요.

  • 50. ...
    '16.6.14 7:50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갈수록 서민들이 이용할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네요.
    쓸데없는 꽃축제니 콘서트니 경연대회 대외적으로 광고만 하는 이벤트성 행정에 돈쓰기 바쁘고 열람실같이 필요한 공간은 줄이거나 없애다니.
    신규도서관 짓는데 열람실 없다면 시민들의 의견을 전혀 반영안한거라고 봐요.
    학생뿐 아니라 각종 시험에 시달리는 성인에게도 꼭 필요한 곳이 도서관인데, 주민의견을 수렴했다면 반대의견이 많으니 열람실 없는 도서관짓기 밀어부치기 한거겠죠.
    독단적이고 전시행정만 일삼으면서 시민들의 세금 축내는 지자체장들은 낙선운동이라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생색내려면 사비 털어서 하라고 시민들은 갈 일없는 장소 만드는데 피같은 세부 퍼붓지 말라구요.

  • 51. ...
    '16.6.14 7:50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갈수록 서민들이 이용할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네요.
    쓸데없는 꽃축제니 콘서트니 경연대회 대외적으로 광고만 하는 이벤트성 행정에 돈쓰기 바쁘고 열람실같이 필요한 공간은 줄이거나 없애다니.
    신규도서관 짓는데 열람실 없다면 시민들의 의견을 전혀 반영안한거라고 봐요.
    학생뿐 아니라 각종 시험에 시달리는 성인에게도 꼭 필요한 곳이 열람실인데, 주민의견을 수렴했다면 반대의견이 많으니 열람실 없는 도서관짓기 밀어부치기 한거겠죠.
    독단적이고 전시행정만 일삼으면서 시민들의 세금 축내는 지자체장들은 낙선운동이라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생색내려면 사비 털어서 하라고 시민들은 갈 일없는 장소 만드는데 피같은 세부 퍼붓지 말라구요.

  • 52. ...
    '16.6.14 7:51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갈수록 서민들이 이용할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네요.
    쓸데없는 꽃축제니 콘서트니 경연대회 대외적으로 치적 광고만 하는 이벤트성 행정에 돈쓰기 바쁘고 열람실같이 필요한 공간은 줄이거나 없애다니.
    신규도서관 짓는데 열람실 없다면 시민들의 의견을 전혀 반영안한거라고 봐요.
    학생뿐 아니라 각종 시험에 시달리는 성인에게도 꼭 필요한 곳이 열람실인데, 주민의견을 수렴했다면 반대의견이 많으니 열람실 없는 도서관짓기 밀어부치기 한거겠죠.
    독단적이고 전시행정만 일삼으면서 시민들의 세금 축내는 지자체장들은 낙선운동이라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생색내려면 사비 털어서 하라고 시민들은 갈 일없는 장소 만드는데 피같은 세부 퍼붓지 말라구요.

  • 53. ...
    '16.6.14 7:52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갈수록 서민들이 이용할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네요.
    쓸데없는 꽃축제니 콘서트니 경연대회 대외적으로 치적PR만 하는 이벤트성 행정에 돈쓰기 바쁘고 열람실같이 필요한 공간은 줄이거나 없애다니.
    신규도서관 짓는데 열람실 없다면 시민들의 의견을 전혀 반영안한거라고 봐요.
    학생뿐 아니라 각종 시험에 시달리는 성인에게도 꼭 필요한 곳이 열람실인데, 주민의견을 수렴했다면 반대의견이 많으니 열람실 없는 도서관짓기 밀어부치기 한거겠죠.
    독단적이고 전시행정만 일삼으면서 시민들의 세금 축내는 지자체장들은 낙선운동이라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생색내려면 사비 털어서 하라고, 시민들은 갈 일없는 장소 만드는데 피같은 세부 퍼붓지 말라구요.

  • 54. ...
    '16.6.14 7:53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갈수록 서민들이 이용할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네요.
    쓸데없는 꽃축제니 콘서트니 경연대회 대외적으로 치적PR만 하는 이벤트성 행정에 돈쓰기 바쁘고 열람실같이 필요한 공간은 줄이거나 없애다니.
    신규도서관 짓는데 열람실 없다면 시민들의 의견을 전혀 반영안한거라고 봐요.
    학생뿐 아니라 각종 시험에 시달리는 성인에게도 꼭 필요한 곳이 열람실인데, 주민의견을 수렴했다면 반대의견이 많으니 열람실 없는 도서관짓기 밀어부치기 한거겠죠.
    독단적이고 전시행정만 일삼으면서 시민들의 세금 축내는 지자체장들은 낙선운동이라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생색내려면 사비 털어서 하라고, 시민들은 갈 일없는 장소 만드는데 피같은 세비 퍼붓지 말라구요.

  • 55. ...
    '16.6.14 7:54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갈수록 서민들이 이용할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네요.
    쓸데없는 꽃축제니 콘서트니 경연대회 대외적으로 치적PR만 하는 이벤트성 행정에 돈쓰기 바쁘고 열람실같이 필요한 공간은 줄이거나 없애다니.
    신규도서관 짓는데 열람실 없다면 시민들의 의견을 전혀 반영안한거라고 봐요.
    학생뿐 아니라 각종 시험에 시달리는 성인에게도 꼭 필요한 곳이 열람실인데, 주민의견을 수렴했다면 반대의견이 많으니 열람실 없는 도서관짓기는 불가능하겠죠.
    독단적이고 전시행정만 일삼으면서 시민들의 세금 축내는 지자체장들은 낙선운동이라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생색내려면 사비 털어서 하라고, 시민들은 갈 일없는 장소 만드는데 피같은 세비 퍼붓지 말라고 말이죠.

  • 56. ...
    '16.6.14 7:56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갈수록 서민들이 이용할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네요.
    쓸데없는 꽃축제니 콘서트니 경연대회 대외적으로 치적PR만 하는 이벤트성 행정에 돈쓰기 바쁘고 열람실같이 필요한 공간은 줄이거나 없애다니.
    신규도서관 짓는데 열람실 없다면 시민들의 의견을 전혀 반영안한거라고 봐요.
    학생뿐 아니라 각종 시험에 시달리는 성인에게도 꼭 필요한 곳이 열람실인데, 주민의견을 수렴했다면 반대의견이 많으니 열람실 없는 도서관짓기는 불가능하겠죠.
    열람실 없는 도서관 개관하면 지속적으로 민원넣어야 합니다.
    주민들이 가만히 있으면 가마니로 암.
    독단적이고 전시행정만 일삼으면서 시민들의 세금 축내는 지자체장들은 낙선운동이라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생색내려면 사비 털어서 하라고, 시민들은 갈 일없는 장소 만드는데 피같은 세비 퍼붓지 말라고 말이죠.

  • 57. ...
    '16.6.14 7:58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갈수록 서민들이 이용할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네요.
    쓸데없는 꽃축제니 콘서트니 경연대회니 00한류센타니 대외적으로 치적PR만 하는 이벤트성 행정에 돈쓰기 바쁘고 열람실같이 필요한 공간은 줄이거나 없애다니.
    신규도서관 짓는데 열람실 없다면 시민들의 의견을 전혀 반영안한거라고 봐요.
    학생뿐 아니라 각종 시험에 시달리는 성인에게도 꼭 필요한 곳이 열람실인데, 주민의견을 수렴했다면 반대의견이 많으니 열람실 없는 도서관짓기는 불가능하겠죠.
    열람실 없는 도서관 개관하면 지속적으로 민원넣어야 합니다.
    주민들이 가만히 있으면 가마니로 암.
    독단적이고 전시행정만 일삼으면서 시민들의 세금 축내는 지자체장들은 낙선운동이라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생색내려면 사비 털어서 하라고, 시민들은 갈 일없는 장소 만드는데 피같은 세비 퍼붓지 말라고 말이죠.

  • 58. ...
    '16.6.14 8:00 PM (110.47.xxx.64)

    갈수록 서민들이 이용할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네요.
    쓸데없는 꽃축제니 콘서트니 경연대회니 00한류센타니 대외적으로 치적PR만 하는 이벤트성 행정에 돈쓰기 바쁘고 열람실같이 필요한 공간은 줄이거나 없애다니.
    신규도서관 짓는데 열람실 없다면 시민들의 의견을 전혀 반영안한거라고 봐요.
    학생뿐 아니라 각종 시험에 시달리는 성인에게도 꼭 필요한 곳이 열람실인데, 주민의견을 수렴했다면 반대의견이 많으니 열람실 없는 도서관짓기는 불가능하겠죠.
    열람실 없는 도서관 개관하면 지속적으로 민원넣어야 합니다.
    시민들이 가만히 있으면 가마니로 암.
    독단적이고 전시행정만 일삼으며 시민들의 세금 축내는 지자체장들에 대해서는 낙선운동이라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생색내려면 사비 털어서 하라고, 시민들은 갈 일없는 장소 만드는데 피같은 세비 퍼붓지 말라고 말이죠.

  • 59. 뭐...
    '16.6.14 8:04 PM (121.175.xxx.150)

    예전에야 집에 혼자 공부할 만한 공간이 부족하고 독서실 가는 비용이 부담되는 서민들이 많아서 복지 차원에서 필요했지만 현재는 아니잖아요.
    열람실 공간 때문에 정작 자료구비 공간, 자료를 이용할 사람들에게 제공할 공간이 부족한 건 본말전도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도서관에선 중고등학생들은 공부 안하죠; 공무원 시험 공부하는 성인들이나 열공하지...
    그 학부모님들 애만 보내지 말고 본인도 방문해보시지 싶네요.

  • 60. ...
    '16.6.14 8:08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는 님 생각이구요, 도서관에 열람실이 필요한지 안 필요한지 주민들 의견 수렴 과정이나 거쳤으면 좋겠네요.

  • 61. ...
    '16.6.14 8:08 PM (110.47.xxx.64)

    (예전에야 집에 혼자 공부할 만한 공간이 부족하고 독서실 가는 비용이 부담되는 서민들이 많아서 복지 차원에서 필요했지만 현재는 아니잖아요.)

    는 님 생각이구요, 도서관에 열람실이 필요한지 안 필요한지 주민들 의견 수렴 과정이나 거쳤으면 좋겠네요.

  • 62. 뭐...
    '16.6.14 8:11 PM (121.175.xxx.150) - 삭제된댓글

    과거야 집에서 혼자 공부할만한 공간도 없고 독서실 비용도 부담되어 복지차원에서 필요했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은걸요.
    도서관법에 정해진 도서관의 목적에서 벗어난 열람실 때문에 자료보관 장소, 자료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공간이 부족해진 건 본말전도가 아닌가 싶네요.

    그리고 성인들이야 열공하지만 중고등학생들은 책만 던져놓고 친구끼리 모여 노는 애들이 다수에요.
    어머님들 애만 보내놓고 눈 앞에 안보이니, 도서관에 갔으니 공부하고 있으려니 하지 마시고 한 번씩 방문해보세요.

  • 63. ...
    '16.6.14 8:13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저 어머님 아니예요.
    짬내서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직장인입니다.
    애들 안 놀아요. 공부하느라 정신없지.

  • 64. ...
    '16.6.14 8:16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열람실을 짓자는게 본말의 전도인지를 님이 판단할게 아니라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라는거예요,
    저 어머님 아니예요.
    짬내서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직장인입니다.
    애들 안 놀아요. 공부하느라 정신없지.
    오늘 휴관이라 여유생겨서 댓글다네요

  • 65. ...
    '16.6.14 8:16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열람실을 짓자는게 본말의 전도인지를 님이 판단할게 아니라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라는거예요,
    애들 안 놀아요. 공부하느라 정신없지.
    자꾸 어머님 어머님 하는데 저 어머님 아니예요.
    짬내서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직장인입니다.
    오늘 휴관이라 여유생겨서 댓글다네요

  • 66. ...
    '16.6.14 8:16 PM (110.47.xxx.64)

    열람실을 짓자는게 본말의 전도인지를 당신이 판단할게 아니라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라는거예요,
    애들 안 놀아요. 공부하느라 정신없지.
    자꾸 어머님 어머님 하는데 저 어머님 아니예요.
    짬내서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직장인입니다.
    오늘 휴관이라 여유생겨서 댓글다네요

  • 67. ...
    '16.6.14 8:19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121.175.님이 열람실 지어봤자 애들만 논다는 댓글 삭제한 바람에
    제글만 붕 떴네요.

  • 68. ...
    '16.6.14 8:20 PM (110.47.xxx.64)

    121.175.님이 (열람실 지어봤자 애들만 논다)는 댓글 삭제한 바람에
    제글만 붕 떴네요.

  • 69. 열람실의 기능
    '16.6.14 9:09 PM (119.25.xxx.249)

    원글님이 말씀하신 도서관의 구체적인 상황을 확실히 알 수 없으니...

    하지만 열람실은 필요하지만 관내 도서 열람을 위해서 필요한 정도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도서관은 독서실이 아니니까요 일부의 공간은 관내 도서 열람 이외의 목적으로도, 예를 들면 개인 공부라던가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에는 찬성합니다.

  • 70. ㅇㅇㅇ
    '16.6.14 9:38 PM (116.38.xxx.236)

    군포 시장의 공 세우기 용도라면 언짢은 일이긴 한데, 도서관엔 책이 우선인 게 맞아요. 그리고 책 둘 곳은 항상 부족한 곳이 도서관이구요. 잘 쓰이지 않는 세미나실과 공연 공간, 그런 건 정말 없어지면 안 되죠. 대체 공간이 없으니까요. 하지만 열람실은 무료 독서실이잖아요. 그 중 집에 책상 없어서 나와서 공부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하구요.
    공공도서관 = 무료독서실이라는 인식이 팽배하고 정작 도서 이용률은 낮은 현실에서 저런 선택이 필요하다고 봐요. 좋은 도서관이라면 장서가 많아야죠.

  • 71. 음..
    '16.6.14 9:58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이용율이 낮긴요.
    시험 시즌이든 아니든 새벽마다 줄 서야 하는데.
    열람실 조차도 천덕꾸러기 공간 취급받는게 씁쓸하네요.
    공부라도 편하게 할 공공 시설을 바라는 건 일반시민 입장에서 과한걸 바라는건가요.
    저는 유학생활을 했는데 제가 유학하던 나라의 공공도서관에 대학도서관은 시민에게 열려있어서 편안하게 책도 고르고 앚아서 공부할 수 있었어요.
    이나라는 열람실을 줄이고 자료실로 변한다니..
    82만 해도 도서관의 용도 운운하면서 시의 입장을 대변하는 사람들이 자꾸 댓글을 다네요
    과연 시민의 관점일까 관계자일까 의문이지만.
    도서관이라는 곳이 공부도 하고 책도 보는 곳이지, 언제부터 도서관이 용도 따져가며 머물며 책보는 사람 내치는 공간이 됐나요
    댓글을 보니 언젠가는 열람실 열어서 자릿세도 받아도 쉴드 칠 기세.

  • 72. 음..
    '16.6.14 9:59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이용율이 낮긴요.
    시험 시즌이든 아니든 새벽마다 줄 서야 하는데.
    열람실 조차도 천덕꾸러기 공간 취급받는게 씁쓸하네요.
    공부라도 편하게 할 공공 시설을 바라는 건 일반시민 입장에서 과한걸 바라는건가요.
    저는 유학생활을 했는데 제가 유학하던 나라의 공공도서관에 대학도서관은 시민에게 열려있어서 편안하게 책도 고르고 앚아서 공부할 수 있었어요.
    이 나라는 열람실을 줄이고 자료실로 변한다니..복지공간 노래나 부르지 말것이지.
    82만 해도 도서관의 용도 운운하면서 시의 입장을 대변하는 사람들이 자꾸 댓글을 다네요
    과연 시민의 관점일까 관계자일까 의문이지만.
    도서관이라는 곳이 공부도 하고 책도 보는 곳이지, 언제부터 도서관이 용도 따져가며 머물며 책보는 사람 내치는 공간이 됐나요
    댓글을 보니 언젠가는 열람실 열어서 자릿세도 받아도 쉴드 칠 기세.

  • 73. ...
    '16.6.14 10:01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이용율이 낮긴요.
    시험 시즌이든 아니든 새벽마다 줄 서야 하는데.
    열람실 조차도 천덕꾸러기 공간 취급받는게 씁쓸하네요.
    공부라도 편하게 할 공공 시설을 바라는 건 일반시민 입장에서 과한걸 바라는건가요.
    저는 유학생활을 했는데 제가 유학하던 나라의 공공도서관에 대학도서관은 시민에게 열려있어서 편안하게 책도 고르고 앚아서 공부할 수 있었어요.
    이 나라는 열람실을 줄이고 자료실로 변한다니..복지공간 노래나 부르지 말것이지.
    82만 해도 도서관의 용도 운운하면서 시의 입장을 대변하는 사람들이 자꾸 댓글을 다네요
    과연 시민의 관점일까 관계자일까 의문이지만.
    도서관이라는 곳이 공부도 하고 책도 보는 곳이지, 언제부터 도서관이 용도 따져가며 머물며 책보는 사람 내치는 공간이 됐나요
    댓글을 보니 언젠가는 열람실 열어서 자릿세도 받아도 쉴드 칠 기세.
    이러다 갈곳도 없는 공부족 난민들 늘어나겠네요
    커피숖도 안되, 집은 집중이 안되, 시민 세비로 운영하는 공공 도서관 이용에 용도 운운 단서를 다는지.

  • 74. ...
    '16.6.14 10:02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이용율이 낮긴요.
    시험 시즌이든 아니든 새벽마다 줄 서야 하는데.
    열람실 조차도 천덕꾸러기 공간 취급받는게 씁쓸하네요.
    공부라도 편하게 할 공공 시설을 바라는 건 일반시민 입장에서 과한걸 바라는건가요.
    저는 유학생활을 했는데 제가 유학하던 나라의 공공도서관에 대학도서관은 시민에게 열려있어서 편안하게 책도 고르고 앚아서 공부할 수 있었어요.
    이 나라는 열람실을 줄이고 자료실로 변한다니..복지공간 노래나 부르지 말것이지.
    82만 해도 도서관의 용도 운운하면서 시의 입장을 대변하는 사람들이 자꾸 댓글을 다네요
    과연 시민의 관점일까 관계자일까 의문이지만.
    도서관이라는 곳이 공부도 하고 책도 보는 곳이지, 언제부터 도서관이 용도 따져가며 머물며 책보는 사람 내치는 공간이 됐나요
    댓글을 보니 언젠가는 열람실 열어서 자릿세도 받아도 쉴드 칠 기세.
    이러다 갈곳도 없는 공부족 난민들 늘어나겠네요, 커피숖은 안되고, 집은 집중이 안되고(층간소음이나 기타)..
    시민 세비로 운영하는 공공 도서관 이용에 용도 운운 단서를 다는지.

  • 75. ...
    '16.6.14 10:04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이용율이 낮긴요.
    시험 시즌이든 아니든 새벽마다 줄 서야 하는데.
    열람실 조차도 천덕꾸러기 공간 취급받는게 씁쓸하네요.
    공부라도 편하게 할 공공 시설을 바라는 건 일반시민 입장에서 과한걸 바라는건가요.
    저는 유학생활을 했는데 제가 유학하던 나라의 공공도서관에 대학도서관은 시민에게 열려있어서 편안하게 책도 고르고 앚아서 공부할 수 있었어요.
    이 나라는 열람실을 줄이고 자료실로 변한다니..복지공간 노래나 부르지 말것이지.
    82만 해도 도서관의 용도 운운하면서 시의 입장을 대변하는 사람들이 자꾸 댓글을 다네요
    과연 시민의 관점일까 관계자일까 의문이지만.
    도서관이라는 곳이 공부도 하고 책도 보는 곳이지, 언제부터 도서관이 용도 따져가며 머물며 책보는 사람 내치는 공간이 됐나요
    댓글을 보니 언젠가는 열람실 열어서 자릿세도 받아도 쉴드 칠 기세.
    이러다 갈곳도 없는 공부족 난민들 늘어나겠네요, 커피숖은 안되고, 집은 집중이 안되고(층간소음이나 기타)..그나마 공부하면서 시간 보낼만한 건전한 공간이 도서관인데
    시민 세비로 운영하는 공공 도서관 이용에 용도 운운 단서를 다는지.

  • 76. ...
    '16.6.14 10:05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이용율이 낮긴요.
    시험 시즌이든 아니든 새벽마다 줄 서야 하는데.
    열람실 조차도 천덕꾸러기 공간 취급받는게 씁쓸하네요.
    공부라도 편하게 할 공공 시설을 바라는 건 일반시민 입장에서 과한걸 바라는건가요.
    저는 유학생활을 했는데 제가 유학하던 나라의 공공도서관에 대학도서관은 시민에게 열려있어서 편안하게 책도 고르고 앚아서 공부할 수 있었어요.
    이 나라는 열람실을 줄이고 자료실로 변한다니..복지공간 노래나 부르지 말것이지.
    82만 해도 도서관의 용도 운운하면서 시의 입장을 대변하는 사람들이 자꾸 댓글을 다네요
    과연 시민의 관점일까 관계자일까 의문이지만.
    도서관이라는 곳이 공부도 하고 책도 보는 곳이지, 언제부터 도서관이 용도 따져가며 머물며 책보는 사람 내치는 공간이 됐나요
    댓글을 보니 언젠가는 열람실 열어서 자릿세도 받아도 쉴드 칠 기세.
    이러다 갈곳도 없는 공부족 난민들 늘어나겠네요, 커피숖은 안되고, 집은 집중이 안되고(층간소음이나 기타)..그나마 공부하면서 시간 보낼만한 건전한 공간이 도서관인데
    시민 세비로 운영하는 공공 도서관 이용에 본래 용도 운운 단서를 다는지.

  • 77. ...
    '16.6.14 10:08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이용율이 낮긴요.
    시험 시즌이든 아니든 새벽마다 줄 서야 하는데.
    열람실 조차도 천덕꾸러기 공간 취급받는게 씁쓸하네요.
    공부라도 편하게 할 공공 시설을 바라는 건 일반시민 입장에서 과한걸 바라는건가요.
    저는 유학생활을 했는데 제가 유학하던 나라의 공공도서관에 대학도서관은 시민에게 열려있어서 편안하게 책도 고르고 앚아서 공부할 수 있었어요.
    이 나라는 열람실을 줄이고 자료실로 변한다니..복지공간 노래나 부르지 말것이지.
    82만 해도 도서관의 용도 운운하면서 시의 입장을 대변하는 사람들이 자꾸 댓글을 다네요
    과연 시민의 관점일까 관계자일까 의문이지만.
    도서관이라는 곳이 공부도 하고 책도 보는 곳이지, 언제부터 도서관이 용도 따져가며 머물며 책보는 사람 내치는 공간이 됐나요
    댓글을 보니 언젠가는 열람실 열어서 자릿세도 받아도 쉴드 칠 기세.
    이러다 갈곳도 없는 공부족 난민들 늘어나겠네요, 커피숖은 안되고, 집은 집중이 안되고(층간소음이나 기타)..그나마 공부하면서 시간 보낼만한 건전한 공간이 도서관인데
    시민 세비로 운영하는 공공 도서관 이용에 본래 용도에 맞니 안 맞니 단서를 다는지.

  • 78. ...
    '16.6.14 10:51 PM (110.47.xxx.64) - 삭제된댓글

    이용율이 낮긴요.
    시험 시즌이든 아니든 새벽마다 줄 서야 하는데.
    열람실 조차도 천덕꾸러기 공간 취급받는게 씁쓸하네요.
    공부라도 편하게 할 공공 시설을 바라는 게 일반시민 입장에서 과한걸 바라는건가요.
    저는 외국유학을 했는데 제가 유학하던 나라의 공공도서관에 대학도서관은 시민에게 열려있어서 편안하게 책도 고르고 앚아서 공부할 수 있었어요.
    이 나라는 열람실을 줄이고 자료실로 변한다니..복지공간 노래나 부르지 말것이지.
    82만 해도 도서관의 용도 운운하면서 시의 입장을 대변하는 사람들이 자꾸 댓글을 다네요
    과연 시민의 관점일까 관계자일까 의문이지만.
    도서관이라는 곳이 공부도 하고 책도 보는 곳이지, 언제부터 도서관이 용도 따져가며 머물며 책보는 사람 내치는 공간이 됐나요
    댓글을 보니 언젠가는 열람실 열어서 자릿세도 받아도 쉴드 칠 기세.
    이러다 갈곳도 없는 공부족 난민들 늘어나겠네요, 커피숖은 안되고, 집은 집중이 안되고(층간소음이나 기타)..그나마 공부하면서 시간 보낼만한 건전한 공간이 도서관인데
    시민 세비로 운영하는 공공 도서관 이용에 본래 용도에 맞니 안 맞니 단서를 다는지.

  • 79. ...
    '16.6.14 10:51 PM (110.47.xxx.64)

    이용율이 낮긴요.
    시험 시즌이든 아니든 새벽마다 줄 서야 하는데.
    열람실 조차도 천덕꾸러기 공간 취급받는게 씁쓸하네요.
    공부라도 편하게 할 공공 시설을 바라는 게 일반시민 입장에서 과한걸 바라는건가요.
    저는 외국유학을 했는데 제가 유학하던 나라의 공공도서관에 대학도서관은 시민에게 열려있어서 편안하게 책도 고르고 앚아서 공부할 수 있었어요.
    이 나라는 열람실을 줄이고 자료실로 변한다니..복지공간 늘린다고 노래나 부르지 말것이지.
    82만 해도 도서관의 용도 운운하면서 시의 입장을 대변하는 사람들이 자꾸 댓글을 다네요
    과연 시민의 관점일까 관계자일까 의문이지만.
    도서관이라는 곳이 공부도 하고 책도 보는 곳이지, 언제부터 도서관이 용도 따져가며 머물며 책보는 사람 내치는 공간이 됐나요
    댓글을 보니 언젠가는 열람실 열어서 자릿세도 받아도 쉴드 칠 기세.
    이러다 갈곳도 없는 공부족 난민들 늘어나겠네요, 커피숖은 안되고, 집은 집중이 안되고(층간소음이나 기타)..그나마 공부하면서 시간 보낼만한 건전한 공간이 도서관인데
    시민 세비로 운영하는 공공 도서관 이용에 본래 용도에 맞니 안 맞니 단서를 다는지.

  • 80. 아~~~
    '16.6.16 12:32 PM (175.115.xxx.19) - 삭제된댓글

    저도 너무 애용하고 있는 도서관인데..
    안 그래도 지역카페에서도 말이 많더라구요..

  • 81. 근데
    '16.6.16 12:43 PM (175.115.xxx.19) - 삭제된댓글

    위에 어떤분 . 군포시민이 멍청하다고 하신 분은 좀 그렇네요.댓글로 싸우시는 분들도ㅠㅠ
    전 이 곳에 산지 3년이 되어가는 사람으로 시장에 관해서는 잘 모르지만,이 곳 자체는 참 좋거든요

  • 82. ///
    '16.6.17 10:15 AM (61.102.xxx.80) - 삭제된댓글

    공부는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일, 도서관엔 열람실이 없는게 원칙입니다. 라고 쓴 사람이 문제 아닌가요

    따지는 사람까지 도매급으로 싸우는 사람 만들어 버리는 님댓글이 더 웃기네요
    아닌것은 아니라고 말하고 민원이라도 넣는 사람들이 불구경만 하도 있고 있다가 싸움은 나빠 라고 말하는 님보다는 훨 나은 사람들인듯.

  • 83. ㅁㅁ
    '16.6.17 10:16 AM (61.102.xxx.80) - 삭제된댓글

    공부는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일, 도서관엔 열람실이 없는게 원칙입니다. 라고 쓴 사람이 문제 아닌가요

    따지는 사람까지 도매급으로 싸우는 사람 만들어 버리는 님댓글이 더 웃기네요
    아닌것은 아니라고 말하고 민원이라도 넣는 사람들이 불구경만 하도 있고 있다가 싸움은 나빠 라고 말하는 님보다는 훨 나은 사람들인듯.

  • 84. ㅁㅁ
    '16.6.17 10:17 AM (61.102.xxx.80) - 삭제된댓글

    공부는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일, 도서관엔 열람실이 없는게 원칙입니다. 라고 쓴 사람이 문제 아닌가요

    불합리한것을 따지는 사람까지 도매급으로 싸우는 사람 만들어 버리는 님이 더 웃기네요
    아닌것은 아니라고 말하고 민원이라도 넣는 사람들이 불구경만 하도 있고 있다가 싸움은 나빠 라고 말하는 님보다는 훨 나은 사람들인듯.

  • 85. ㅁㅁ
    '16.6.17 10:18 AM (61.102.xxx.80) - 삭제된댓글

    공부는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일, 도서관엔 열람실이 없는게 원칙입니다. 라고 쓴 사람이 문제 아닌가요

    불합리한것을 따지는 사람까지 도매급으로 싸우는 사람 만들어 버리는 님이 더 웃기네요
    아닌것은 아니라고 하고 민원이라도 넣는 사람들이 불구경만 하도 있고 있다가 싸움은 나빠 라고 말하는 님보다는 훨 나은 사람들인듯.

  • 86. ㅁㅁ
    '16.6.17 10:20 AM (61.102.xxx.80) - 삭제된댓글

    공부는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일, 도서관엔 열람실이 없는게 원칙입니다. 라고 쓴 사람이 문제 아닌가요

    불합리한것을 따지는 사람까지 도매급으로 싸우는 사람 만들어 버리는 윗님이 더 웃기네요
    아닌것은 아니라고 하고 민원이라도 넣는 사람들이 불구경만 하도 있고 있다가 싸움은 나빠 라고 말하는 님보다는 훨 나은 사람들인듯.

  • 87. ㅁㅁ
    '16.6.17 10:40 AM (61.102.xxx.80) - 삭제된댓글

    공부는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일, 도서관엔 열람실이 없는게 원칙입니다. 라고 쓴 사람이 문제 아닌가요

    불합리한것을 따지는 사람까지 도매급으로 싸우는 사람 만들어 버리는 윗님이 더 웃기네요
    아닌것은 아니라고 하고 민원이라도 넣는 사람들이 불구경만 하다가 싸움은 나빠 라고 말하는 님보다는 훨 나은 사람들인듯.

  • 88. ㅁㅁ
    '16.6.17 10:41 AM (61.102.xxx.80) - 삭제된댓글

    공부는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일, 도서관엔 열람실이 없는게 원칙입니다. 라고 쓴 사람이 문제 아닌가요

    불합리한것을 따지는 사람까지 도매급으로 싸우는 사람 만들어 버리는 윗님이 더 웃기네요
    아닌것은 아니라고 하고 민원이라도 넣는 사람들이 싸움은 나쁘다고 관전평만 하는 님보다는 훨 나은 사람들인듯.

  • 89. ㅁㅁ
    '16.6.17 11:00 AM (61.102.xxx.80)

    공부는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일, 도서관엔 열람실이 없는게 원칙입니다. 라고 쓴 사람이 문제 아닌가요

    불합리한것을 따지는 사람까지 도매급으로 싸우는 사람 만들어 버리는 윗님이 더 웃기네요
    아닌것은 아니라고 하고 민원이라도 넣는 사람들이 싸움은 나쁘다고 관전평만 하는 님보다는 훨 나은 사람들인듯.

  • 90. ....
    '16.7.25 5:31 PM (175.115.xxx.19) - 삭제된댓글

    이미 시간이 지났지만,ㅁㅁ님은 제가 뭐가 그리 웃기시다는건지.... 댓글에 반말로 싸우시는 분들과 군포시민이 멍청하다고 하신 분이 좀 그렇다고 한 건데요..
    저도 충분히 도서관에 관심있는 사람이고 사태를 안타깝게 여기고 있는 사림으로 참 불쾌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3246 외국에서 학원강사할때 들은 학부형 아버지 얘기 2 ㅇㅇ 2016/07/04 2,528
573245 회비? 문화 어떻게 생각하세요? 1 젊은이 2016/07/04 966
573244 혹시 디마프에서 못헤어나신 분계신가요? 6 디마프 2016/07/04 1,832
573243 윗층이 발도끼 안 찍네요 5 2016/07/04 3,648
573242 돈 많으면 한국이 최고다 라는 말 맞나요? 30 돈... 2016/07/04 6,401
573241 가스건조기에 관심 있으나 망설이시는 분들 보세요. 13 화성행궁 2016/07/04 5,094
573240 아랫층에서 또 올라왔네요(층간소음) 11 ***** 2016/07/04 4,664
573239 세월호811일) 미수습자님들이 꼭 가족분들과 만나게되시기를. ... 6 bluebe.. 2016/07/04 340
573238 고현정은 별로인데 디마프는 재밌게 보신 분 계시나요? 19 ,,,, 2016/07/04 3,315
573237 gs편의점에서 교통카드 충전 거부당했는데 9 ... 2016/07/04 4,026
573236 40대에 사각턱 보톡스 맞아보신분 계세요? 5 ... 2016/07/04 2,946
573235 미역줄기..데쳐서 볶으시나요? 7 초보 2016/07/04 1,961
573234 언제가 가장 더운가요? 8 ... 2016/07/04 1,911
573233 노희경 작가님은 기혼인가요 16 이서진 2016/07/04 8,107
573232 아놔 진짜 그것이알고싶다 2 너무하네 2016/07/04 1,535
573231 엄마는 엄마가 되어야지 집이 태릉선수촌이 아니잖아요. 16 ㅇㅇ 2016/07/04 5,638
573230 퇴직금을 계속 미루고 안 주세요 3 ... 2016/07/04 1,337
573229 외동은외롭겠어요 72 sh 2016/07/04 11,150
573228 보르미올리 유리병 뚜껑이요 2 ㅇㅇ 2016/07/04 2,661
573227 1979년 버스 65번 종점(성수동) 지금의 어디인지 아시는 분.. 7 궁금 2016/07/04 866
573226 공부하던 말던 놔두는 집들은 36 조용 2016/07/04 16,615
573225 쓰레기 봉투 뒤지는 경비원 아저씨들.. 20 2016/07/04 9,207
573224 시댁식구들이 아침을 안먹고 나는 아침을 먹는 사람이라면....... 21 체크 2016/07/04 4,741
573223 등쪽 통증? 17 걱정 2016/07/04 3,585
573222 무쌈말이를 내일 저녁에 먹을껀대요~~ 1 ^^ 2016/07/04 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