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립대 교직원에 대해 아시는 분 계신가요?

스트릭랜드. 조회수 : 12,344
작성일 : 2016-06-11 17:44:21
공무원 시험 준비하고 있는 20대 중반 학생입니다.

사는 곳은 지방 광역시구요. 학교도 지방 국립대 다니고 있습니다.

현재는 휴학 중이구요.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게 된 건 합격하면 안정적인 고용이 보장되고

집에서 다닐 수 있다는 점 때문인데요. 그런 점에 있어서

일반 행정직 공무원 보다 대학 교직원이 더 나을 것 같기도 해서요.

사촌 중에 대학교 교직원 하면서 동대학 역사 박사까지 땄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그 정도로 여유가 있으면 돈은 조금 작더라도

도전해 볼 가치가 있는 것 같아서요. 저도 철학 공부를 하고 싶은

마음이 있거든요.

유유자적 웰빙 삶의 여유를 추구하는 사람이 하기에

국립대학 교직원 어떻게 보시나요?
IP : 211.201.xxx.221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학생
    '16.6.11 5:51 PM (175.223.xxx.138)

    요새 인터넷은 좀 봐요?
    북한에서 어제 내려오지 않은 이상 인터넷만 해도
    아는 내용을 물어보니 교직원 준비한다는 사람 맞아요?
    돈이 조금 적다고요? 어디가요?
    교직원이 무슨 대단한 창조적인 일을 한다고
    지금 받는 것도 조금 적다 하는지?
    지방 아주 이름없는 전문대 교직원이면 혹시
    모르겠네요. 서울 Y대 교직원 월급
    아주 훌륭해요. 거기다 복지며 시간여유며.
    오히려 국립대 교직원이 더 일이 많죠.

  • 2. 그리고
    '16.6.11 5:55 PM (175.223.xxx.138)

    ㅛ새 대학교마다 진로센타나
    취업지원팀 있으니 우물 안 개구리 같은 소리말고
    세상물정 좀 알아봐요.
    어우

  • 3. 글쓴이.
    '16.6.11 5:58 PM (211.201.xxx.221)

    하는 일에 비해 액수가 작지 않다고 한다면.. 저도 일을 안해봐서 잘 모르겠네요ㅎㅎ. 하는 일이 편하다면 월급 좀 작아도 괜찮을거 같아요ㅎㅎ.

  • 4. 글쓴이.
    '16.6.11 5:59 PM (211.201.xxx.221)

    참고로 저는 사립대가 아니라 국립대 교직원을 생각하고 있어요. 이 둘은 들어가는 방식이 다르더라구요.

  • 5.
    '16.6.11 6:00 PM (91.113.xxx.206)

    물어볼 수도 있지, 왜 정보도 주지 않으면서 발끈하시나요?
    인터넷보다 여기 정보가 더 실속있는 경우가 많아요.

  • 6. 아니
    '16.6.11 6:04 PM (175.223.xxx.138)

    인터넷에 조금만 찾아보면 교직원이 신의
    직장이라느니 신이 숨겨둔 직장이라느니
    경쟁률하며 엄청 스펙 좋은 사람들 어쩌고
    나오는데 써 논 글이 하도 한심해서 하는 말이죠.
    웰빙 , 유유자적하며.. 그게 다른 사람은 안 원할까요?

  • 7. 글쓴이.
    '16.6.11 6:09 PM (211.201.xxx.221)

    개인적으로 82쿡 이용하시는 분들이 대게 사회 경험도 많으신 것 같고 내공이 느껴지는 답변이 많아서 올려봤습니다ㅎㅎ. 자유 게시판인데ㅜㅜ

  • 8. ....
    '16.6.11 6:29 PM (220.70.xxx.131)

    저 위에 국립대교직원과 일반 사립대 교직원 구분 못하고 쓸데없이 발끈하는 사람 얘기는 한 귀로 흘리세요.

    일반행정직에서 국립대로 전입 간 지인이, 비교를 하자면 후자가 일이나 생활면에서 훨씬 만족스럽다고 합니다. 그런데 또 한 사람은 이전이 훨씬 좋았다고 해요.

  • 9.
    '16.6.11 6:35 PM (223.62.xxx.81)

    국립대 교직원 공무원입니다. 댓글쓰신분은 사립대교직원 얘기하는데 전혀 달라요.
    국립대는 국가직공무원이라 경쟁이 쎕니다. 우선 지방교행으로 들어갔다 국가직으로 전출은 가능하긴해요
    그런데 된다고 해도 티오가 있는곳으로 발령나기 때문에 전국 어다가 걸릴지 모릅니다
    대학원도 주간 못갑니다 일해야죠
    암튼 그렇다는거

  • 10. ...
    '16.6.11 6:37 PM (203.226.xxx.91)

    공무원연금법때문에 예전같지 않다고 하던데요
    거의 계약직만 뽑을꺼구요
    정직원은 아마티오자체가 안난다는거 같아요
    아무튼 예전만 못해요
    그래도 되면좋죠

  • 11. 큐큐
    '16.6.11 6:51 PM (220.89.xxx.24) - 삭제된댓글

    다음 카페 " 공공기관을 준비하는 사람들의 모임" 카페에 들어가보세요

  • 12. 국립대
    '16.6.11 7:00 PM (211.244.xxx.154)

    교직원도 다 다릅니다.

    일반 행정직 교육행정직이 전입해서 오는 공무원들도 있고요.

    대학에서 자체 채용하는 대학회계직이 있어요. 예전에는 기성회직이라고 불렀죠.

    여기까지는 정규직이고요.

    나머지는 계약직입니다. 학교마다 계약직 2년 근무 이후 무기계약직을 거쳐 대학회계직으로 전환시켜주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고 2년에서 몇달남기고 계약해지하는 경우도 있어요.

    물론 사기업보다는 업무강도 세다고 할 수 없겠죠.

    그러나 능력없다고 판단되어 변방 부속기관으로 돌지 않는 한 요즘 대학 교직원 업무 힘듭니다. 야근 많고요. 기획력없으면 업무 감당하기 힘든 부서 많아요.

  • 13. ,,,
    '16.6.11 7:18 PM (110.70.xxx.233)

    교육행정고시 보면 국립대교직원, 교육청, 조등학교 항정실장, 중등학교 행정실 차석으로 시작해요. 교육청 산하 도서관 근무도 있을 걸요.

  • 14. rudrleh
    '16.6.11 8:00 PM (116.39.xxx.173)

    4월에 국가직공무원 시험에서 교육행정 직렬로 시험보는 방법 지방직 일반행정이나 교육행정으로 들어가서 전입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국가직 교육행정의 경우 저 때는 수백대 일이었어요 워낙 조금 뽑아서. . 부서별로 업무강도의 차이가 많다고 들었어요 그리고 어딜가나 공무원 조직은 나이어리거나 789급일 경우 일이 아주 많아요 ㅜㅡ

  • 15. 저두 국립대직원인데
    '16.6.11 8:58 PM (14.49.xxx.193)

    요새도 교행 따로 뽑나요?? 요샌 일반직에서 일부 국립대로 가는것 같은데 제가 휴직중이라 가물하네요
    일단 지방교행보다 나은건 거의 순환근무를 하지 않아요
    보통 거점대 들어가면 6급까지는 거기서 근무한다 보시면 되고 사무관부터는 전국 어디 발령 받을지 모르는데 그래도 결국 해당지역에 가요
    객관적으로 일반 지방직보다 민원이 적은건 맞지만 한가하지만은 않아요
    심지어 방학때 노는줄 아는데 방학때 더 바쁘구요
    요새 대학사정등 어려워지면서 예전보다 다른직렬에서 오려는거 많이 줄었다해요
    대학안에서 몇십년 근무하다보니 말도 많고 그렇긴해요
    여자분이라면 다른직렬보다 괜찮을것 같구요
    남자분이면 다른직렬이 나은듯 왠지 우물안 개구리 느낌
    그리고 박사학위 받으셨다는데 그거 자기 연가 다 땡겨 쓴거아님 말이 안돼요
    특수대학원 석사야 야간이니 가능하지만 일반대학원 박사는 불가능할덧 같은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0611 EBS 방송 재미있는 거 많아요 4 좋아요 2016/06/26 2,542
570610 전주 왔어요.. 뭘 하는게 좋을까요? 6 ........ 2016/06/26 2,068
570609 생활비안주고 장봐다주는 남자 9 이런경우 2016/06/26 5,266
570608 교양이 얼굴에 나타나기도 하나요 14 ㅇㅇ 2016/06/26 6,785
570607 손톱이 자꾸 금이 가는데 6 아에 2016/06/26 1,477
570606 인테리어 하기싫어서 새아파트로 이사하고 싶네요 6 ㅇㅇ 2016/06/26 3,513
570605 아이를 혼내는 포인트 24 동네엄마 2016/06/26 3,912
570604 세월호 유가족, 다시 풍찬노숙에 나섰다 -오마이뉴스 7 좋은날오길 2016/06/26 625
570603 직업소개소 운영방식잘아시는분 계신가요? 2 .. 2016/06/26 951
570602 디어마이프렌즈 16 어제 2016/06/26 5,354
570601 여기 영국인데ㅠ 연애 질문 18 ........ 2016/06/26 6,917
570600 서양 여성들은 노브라가 일반적인 가요 12 2016/06/26 8,758
570599 운동선수 부인 강남패치 인스타 무슨내용인가요? 35 ㅇㅇ 2016/06/26 202,783
570598 젤네일 한달째 고민중인데....할까요 말까요 14 제목없음 2016/06/26 4,270
570597 강원도 처음으로 여행가봐요.. 8 처음 2016/06/26 1,507
570596 동네엄마들끼리 싸우는 건 주로 어떤 일인가요... 10 궁금 2016/06/26 5,124
570595 자식들이 정말 부모 유전자를 9 ㅇㅇ 2016/06/26 4,060
570594 방금 학교에 아는엄마 0명이라는글.. 4 ddd 2016/06/26 1,884
570593 자궁근종수술- 간병인 몇일 필요할까요? 11 굼벵이 2016/06/26 5,090
570592 아이 열감기 무슨 방법이 있을까요? 4 ... 2016/06/26 838
570591 로더럼 집단 성학대 사태 보니 브렉시트 투표 결과가 이해 가네요.. 8 브렉시트 2016/06/26 2,476
570590 유럽 자유여행 가는데 도움 좀 주세요 10 여행 2016/06/26 1,599
570589 워크샵 이런거 왜가나요..누구좋으라고.. 5 000 2016/06/26 1,867
570588 돌반지 인터넷으로 사도 괜찮을까요? 5 돌반지 2016/06/26 1,430
570587 일을 갑자기 그만두고나니 6 힘들다 2016/06/26 2,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