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샤 원피스를 마음에 드는걸 발견했어요.

davidㅁ 조회수 : 4,141
작성일 : 2016-04-17 21:00:16
안녕하세요? 전 20대 후반의 소득이 높지 않은 평범한 여자 입니다.
제가 왜 소득얘기를 하냐면요.. 얼마전 아울렛에서 여름 반팔 원피스를 미샤에서 입어봤는데 보기완 달리(여성스럽고 심플하면서 드레이핑 잡힌 스타일, 파스텔턴) 매우 편하고 훌륭한 재질에, 저와 색이 잘 받는
옷이더라구요

세일가격이 43만원이예요.. 전 원피스를 22만원주고 산거(반값할인할때) 말고는 이렇게 비싼 옷은 입질 않아요. 소득대비
사치라 생각이들고 습관되면 안될 것 같아서요. 그런데 어떤 친구는 22만원짜리 두개 살거 더 맘에드는거 하나라 생각하라고 사라하고, 누군가는 아무리 그래도 비싸다고 그보다 싸고 괜찮은 것도 찾아보면 많다고 그냥 두라고 하기도 해요.

아 갈등입니다. 가치가 있을까요? 물론 제 선택이고 가치관에 따라 결정하면 되지만 너무 고민돼요. 3년후에 안입을까봐 구닥다리 되면 어쩌나 싶기도 하구요
IP : 39.118.xxx.123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건
    '16.4.17 9:11 PM (58.140.xxx.232)

    30대 되면 사입으세요. 소득 그리 높지않은 20대가 입기엔 좀 비싸지 않을까요? 30대도 요즘은 젊고 이쁘던데.

  • 2. ㅇㅇ
    '16.4.17 9:30 PM (58.140.xxx.231)

    여성스런 파스텔톤 원피스.20대에 딱입기좋은건 맞죠.. 사실 30대 중반 넘어서면 저런색 잘받던사람들도 잘 안받아요. 이상하게 그나이엔 왜그런지 촌스러워보이는것도 사실이라. 비싸도 마음에 들면 몇년 열심히 입어보겠다 생각되면 사 입으세요.

  • 3. 아,
    '16.4.17 9:38 PM (58.140.xxx.232)

    제가 말한건 그때 가서 이쁘고 비싼옷 사라는 거였어요. 꼭 그 원피스 안입어도 당장 별일없구 요즘 하두 불경기라는데 오십만원 돈 원피스 사면 후회할 경우가 클 것 같아서요. 저두 비싼옷 사서 후회한적 많아서요.

  • 4. ....
    '16.4.17 9:45 PM (125.178.xxx.147)

    소득이 그리 높지 않고, 1,2년 입고 못입을것 같다면 저는 안산다에 한표. 그 1,2년마져도 여름에 몇번씩 입는거잖아요.. 저도 소득이 높지 않은편인데, 제 분수에 맞는 소비를 해야된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그에 넘치는 소비를 하기 시작하면, 결국 욕심이란 끝이 없고, 그럼 아무리 돈을 잘벌게 되도 늘 같은 상황일거예요... 그러면서 헬조선이니 하는것도 웃기다고 생각해요. 전 중부유럽쪽에서 오래 살다왔는데, 선진국이라도 알려진 나라지만.. 소득에 비해 소비수준이 그렇게 높지 않아요. 40만원.. 유로로 300유로 정도짜리 정도 되는 원피스를 입는 사람, 아마 한달에 최소 5백만원 이상은 번다고 봅니다.(사실 현실에서는 그 수준 버는 사람들도 잘안입을듯) 우리보다 물가수준이 약간 높은 나라지만, 거기서도 5백정도 벌면 여유있는 중산층에 속하거든요. 한 6백 정도부터는 자녀가 대학에 갈경우 학자금대출에 해당되는 지원도 안나옵니다.(이런 경우는 부모가 직접 지원해줘야할 의무가 있습니다.)

    아무튼 얘기가 길었지만, 만약 오래 두고 입을 기본 겨울 코트라던가 그런거면 모르겠지만, 저라면 안살것 같아요.. 그 순간만 넘기면 또 이래저래 다른옷 입으면 되는 거고.. 글쎄요, 그래도 요즘 젊은분들답지 않게 이런 고민을 한다는 자체가 기특하게도 여겨져서, 만약에 옷이 별로 없는 분이고 정말 오랫만에 마음먹고 장만하는 거라면.. 유행안타는거라면... 그리고 다른 저축등이 급하지 않은 분이라면(집안이 여유가 있으시다던가) 한번 사는걸 고려해보시라고도 할것 같은데요. 그런게 아니라면.. 저도 좀더 기다리시라고 말하고 싶어요~

  • 5. 링크
    '16.4.17 9:57 PM (220.85.xxx.192)

    궁금해요...

  • 6. 위에 점네개님
    '16.4.17 11:23 PM (118.46.xxx.181)

    저도 늘 점네개님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그러거든요.
    그런데 그런 생각과 행동이 요새 사람들에겐 매우 이질적인 것처럼 보이나봐요.
    사실 저는 꽤 고소득이지만 젊은 시절에 매우 아껴서(라고 쓰고 거지라고 읽습니다) 살던 습관이 배겨서
    비싼 옷은 절대로 안 입습니다.
    저는 무지무지 비싼 명품도 맘껏 소비할 수 있지만 명품백 하나도 없어요. 그 존재의 이유를 모르기에.
    그런데 제가 입고 걸치는 것을 남들은 매우 비싼 것으로 보더라구요.
    어쨌든 저처럼 생각하는 분이 계셔서 반가운 마음에 썼어요.

  • 7. ...
    '16.4.18 12:25 AM (119.64.xxx.197)

    20대 첨이자 마지막으로 사세요..^^

  • 8. 이쁠때
    '16.4.18 12:32 AM (58.232.xxx.191)

    이쁜옷 입으세요.
    나이먹으니 옷태도 안나네요.

  • 9. wii
    '16.4.18 1:34 AM (222.237.xxx.5) - 삭제된댓글

    한 번 그렇게 사면 아마 기준치가 점점 올라갈 거에요, 거기에 맞게 코트도 좋은거 입고 싶고.
    한달 생활비 정해놓고 사시지 않나요? 거기서 쇼핑이나 기본을 갖춰야 되는 비용도 정해져 있을 거구요. 그 범위 안에서 다른 거 안 사고 살 수 있으면 사는 거고, 아님 안 사는 거죠.
    그리고 저는 오히려 파스텔톤 원피스라는 점이 걸리네요. 좋은 자리에 입고 갈만한 원피스라면 갖춰놔도 되지만 링크를 한번 걸어 보세요. 좀 더 정확한 조언들을 해줄 수 있을 듯 해요.

  • 10. 본인이결정
    '16.4.18 8:10 AM (116.127.xxx.100)

    이런 주관적인 가치를 남한테 묻는게 제 입장에서는 좀 이해가.... 예를들면 소득수준 높지 않지만 애완견 키우는 사람 있고 돈 많지만 동물에게 돈 쓰는게 아까워서 안키우는 사람 있지요. 가난한데 애완동물 키울까요 말까요 물어보는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요. 20만원 더 지불하고도 맘에 들고 잘 입어질것 같고 하면 다른 쪽에서 절약하시고 한번쯤 나를 위해 사는것도 괜찮고 비싼거 샀더니 내 라이프스타일에는 안맞고 막상 값어치 없었다 느끼면 담엔 내 수준에 비싼옷 아무리 맘에 들어도 안사면 되지요. 해보지도 않고서는 후롸할지 만족할지 아무도 알수없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5735 어버이날 생일 없어졌으면 좋겠어요 12 나잇값 2016/05/08 4,975
555734 완전 튼튼한 핸드폰 케이스 추천부탁드려요~ 3 사과 2016/05/08 1,933
555733 사교성과 융통성이 없다보니 사는게 두려워요. 11 답답 2016/05/08 5,869
555732 괌이냐? 세부냐? 머리 터질 것 같아요. 50 사과 2016/05/08 7,289
555731 새 집에 커튼...질문있어요.. 3 알럽3 2016/05/08 1,377
555730 옥중화 재밌나요? 11 긴장 2016/05/08 4,140
555729 약 복용하는데 보험가입에 필요한 것 10 보험고민 2016/05/08 725
555728 인구절벽. 부산 부동산 16 ... 2016/05/08 6,631
555727 셀프페인팅 관심잇는 분들~~ 3 체체 2016/05/08 961
555726 '신 안믿어? 그럼 사형' 무신론자 사형국가 13곳 5 2016/05/08 977
555725 목주름 수술 6 고민 2016/05/08 3,627
555724 전 콩나물국 이렇게 끓여요 18 별거아님 2016/05/08 7,751
555723 포털검색하면 나오는 사람은?? 6 rrr 2016/05/08 1,491
555722 치매 걸리신분들 케어 8 .. 2016/05/08 2,078
555721 82만들어오며ㄴ 3 블루 2016/05/08 739
555720 60대 어머님들 백팩 어떤 브랜드 메세요? 8 dd 2016/05/08 4,733
555719 부산숙박) 씨클라우드와 해운대그랜드호텔 중 선택 도와주세요. 5 nice 2016/05/08 2,174
555718 김앤장과 옥시 11 ........ 2016/05/08 3,409
555717 땀 줄줄 흐르는 아이, 순면양말로 도톰한 것 어디서 살지요 5 // 2016/05/08 1,039
555716 못봐주겠어요, "그래, 그런거야" 19 김수현 작가.. 2016/05/08 7,184
555715 다싯물 이렇게 내니, 비린내 없던데요 10 .. 2016/05/08 4,112
555714 새댁 어버이날 처음 친정에서 보냈어요 2 답답 2016/05/08 1,675
555713 시린이 치약 '이치'가 제일 좋은가요? 6 .... 2016/05/08 4,304
555712 영어 문법 질문이요!(미래완료 대신 쓰는 현재완료) 7 지금은 공부.. 2016/05/08 983
555711 흑..저 반포주공 20평대로 이사가는데... 9 ... 2016/05/08 5,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