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밥 기본 좀 알려주셔요

비밀이야요 조회수 : 2,970
작성일 : 2016-04-16 02:08:18

요리맹입니다.ㅠㅠ

 

그간 사다 나른 요리책만 수십권이지만 이상하게도 아무리 그대로 따라해도

하나도 맛이 없기 신공을 발휘하고 있어요.

결론은, 그대로 따라하고 있는 게 아니다,라는 건데요.

 

제 생각에

1. 재료를 잘 못 고름

2. 재료 손질을 잘 못함 (이거 자세히 잘 나온 요리책은 거의 없더라구요.

그냥 디폴트로 다 알겠거니, 하고 넘어가거나 설명이 나와도 제가 원하는만큼 자세하지가 않아요)

이게 기본 문제인데다가,,

 

3. 너무 끓임

제가 뭘 만들다가 안 익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게 참 싫어요.

그래서 다 익혀야지,,하면서 끓이다보면, 직후에는 잘 모르겠는데

그릇에 담고 나면 너무 익혀서 재료가 볼품이 없고 맛도, 식감도 떨어져요.

 

근데 요리책을 보면 몇 분 끓여라,이렇게 나오는데

이게 또 딱 요리책의 재료만큼 요리하게 되지는 않잖아요.

그래서 더 끓이다보면 또 볼품 없음.;;;

도대체 언제 끓이는 걸 멈춰야 하나요?

 

4. 간 못맞춤

제가 음식이 너무 짜지는 거에 대한 무서움;;이 좀 있어서

간장, 소금을 과감하게 넣지를 못하는데요.

제 입에는 그래도 간이 맞다 싶게 넣었는데, 국이 좀 식으면 이게 늘 싱거워요.

그래서 짜게 맞추면,,식으면 짬.ㅠㅠ

간 맞추는 요령 좀 알려주셔요.

 

5.된장국이 써요.

이거 된장 문제인가요,아니면 너무 끓여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마늘, 국멸치 등 재료 문제인가요?

 

6. 멸치 육수 낼 때 언제 불끄나요?;;;

 

7. 나물을 만들고 나면 나물이 생기가 없어요.

왜 다른 분들이 만드는 나물처럼 맛깔스럽지가 않은걸까요?

이거 너무 데쳐서 그런건가요?

 

아,,너무 기본 질문 던지고 나니 민망합니다.

그래도 답변 기다립니다.

 

IP : 115.161.xxx.171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4.16 2:18 AM (115.143.xxx.186)

    1,2재료- 요리 고수는 재료가 중요하다고 하는데 사실 초보는 큰 상관 없음
    3- 너무 끓이면 죽이 돼요 적당히 센불에 끓이고 불 끄고 남은 열 이용
    4- 간맞추는건 넘 중요...싱거우면 특히 나물같은것 니맛도 내맛도 아니게 됨... 국은 굵은 소금과 간장을 섞어서 사용하세요
    5- 된장국이 쓴건 된장의 문제...멸치육수를 넘 오래끓이면 그러기도 함
    6- 저는 보통 15-20분 끓입니다
    7-나물 윤기 참기름 이용..참기름 넉넉하게 넣으셔야 윤기있어보여요

  • 2. ....
    '16.4.16 2:38 AM (211.197.xxx.148) - 삭제된댓글

    된장국은 된장을 넣고 오래 끓이면 써져요.
    특히 시중 된장 멸치육수는 10분정도로 해요
    나물은 꼭 소금물에 데쳐야 색이 선명하고 먹음직스러워요.
    보통 나물은 살짝만 데치는 걸로요
    음식은 여러번 해 보면 감이 생겨요.
    할 때마다 메모해 보세요.~

  • 3. .......
    '16.4.16 2:38 AM (211.197.xxx.148)

    된장국은 된장을 넣고 오래 끓이면 써져요.
    특히 시중 된장
    멸치육수는 10분정도로 해요
    나물은 꼭 소금물에 데쳐야 색이 선명하고 먹음직스러워요.
    보통 나물은 살짝만 데치는 걸로요
    음식은 여러번 해 보면 감이 생겨요.
    할 때마다 메모해 보세요.~

  • 4. 우선 5.6.7번만...
    '16.4.16 3:05 AM (116.41.xxx.227) - 삭제된댓글

    5번 - 멸치 내장 손질 안하고 끓이면 써요
    6번 - 끓이던 멸치를 한마리 집어서 먹어보세요. 맛이 다 빠져서 아무 맛도 없으면 건져내세요. 보통 15분 정도면 그리 됩니다
    7번 - 너무 오래 데치지 마시고 데칠때 끓는 물에 소금을 좀 넣고 데치세요. 윗분 말씀처럼 참기름도 넉넉히 써서 무치구요.

    집밥 백선생을 시즌1부터 쭉 잘 보시기 바랍니다.
    그 프로에 대해 비판도 많지만 그래도 요리 전혀 못하는 사람한테는 딱 맞는 프로에요. 그래서 남자들이 더 좋아했구요.

  • 5. 우선 5.6.7번만
    '16.4.16 3:08 AM (116.41.xxx.227) - 삭제된댓글

    설탕 너무 넣는다지만 간이나 설탕은 원글님 입맛에 맞춰 가감하시고 그 프로에선 멸치 다듬는 법이라든가 나물 손질 및 데치는 법 같은 아주 기초적인 부분 설명이 잘 나옵니다

  • 6. 우선 5.6.7번만
    '16.4.16 3:10 AM (116.41.xxx.227) - 삭제된댓글

    백선생이 설탕 소금 좀 많이 넣는건 사실이니 간이나 설탕은 원글님 입맛에 맞춰 가감하시구요.
    이 프로에선 멸치 다듬는 법이라든가 나물 손질 및 데치는 법 같은 아주 기초적인 부분 설명이 잘 나옵니다.

  • 7. wii
    '16.4.16 3:35 AM (222.237.xxx.5) - 삭제된댓글

    1.2.3 - 슈퍼레시피라는 요리잡지 - 2년 정도 정기구독했어요. 요새도 나오는지 모르겠는데, 제철 재료 소개와 다듬기 기본양 가늠 같은 정보가 나와요. 시간도 정확하게 나와있어요. 그리고 요즘 집밥 백선생 보면 재료 손질부터 알려줘서 너무 좋던데요?

    4. 간은 맞춰보시되 싱거우면 저는 먹을 때 소금 좀 넣어 먹어요. 그리고 간을 볼 때 집밥 백선생에서도 접시에 담아 간보잖아요, 그게 위생도 위생이지만 식혀서 간 보는 거 아닌가 싶어요, 그래야 비교적 정확할 듯.

    5. 모름

    6. 15분 정도요.

    요리책 자꾸 사는 것보다 쿠킹 클래스 다니는 걸 추천드려요. 주1회에 3가지 정도 가르쳐주는 곳 있어요. 사찰 요리는 재료 손질부터 가르쳐줘서 좋았어요

  • 8. wii
    '16.4.16 3:36 AM (222.237.xxx.5) - 삭제된댓글

    1.2.3 - 슈퍼레시피라는 요리잡지 - 2년 정도 정기구독했어요. 요새도 나오는지 모르겠는데, 제철 재료 소개와 다듬기 기본양 가늠 같은 정보가 나와요. 시간도 정확하게 나와있어요. 그리고 요즘 집밥 백선생 보면 재료 손질부터 알려줘서 너무 좋던데요?

    4. 간은 맞춰보시되 싱거우면 저는 먹을 때 소금 좀 넣어 먹어요. 그리고 간을 볼 때 집밥 백선생에서도 접시에 담아 간보잖아요, 그게 위생도 위생이지만 식혀서 간 보는 거 아닌가 싶어요, 그래야 비교적 정확할 듯.

    5. 모름

    6. 15분 정도요.

    요리책 자꾸 사는 것보다 쿠킹 클래스 다니는 걸 추천드려요. 주1회에 3가지 정도 가르쳐주는 곳 있어요. 사찰 요리는 재료 손질부터 가르쳐줘서 좋았어요. 이렇게 적었지만 저도 요리는 잘 못해요 ~

  • 9. 토토
    '16.4.16 3:59 AM (110.12.xxx.14)

    원글님에게 숟가락 얹고 싶은 1인 입니다
    특히 4번 보통은 식으면 짜지니까 간조절 하라고 하던데 딱 원글님이랑 똑같아요ㅜ.ㅜ

  • 10. 나루
    '16.4.16 6:27 AM (122.45.xxx.116) - 삭제된댓글

    저도 요리 맹~~~

    그러다 우연히 요리 한가지 성공한뒤
    없던 자신감으로 모든 요리에 도전중~~

    저 윗님 말씀대로 백선생님 프로 주위깊게
    보시고요

    요리는 각 요리에 따른 불조절, 시간등이
    중요한듯해요.

    요리 책에도 계량스푼, 계량컵..

    책에 따라서 한컵이 200ml 또는 240ml

    한 스푼도 요리사에 따라 넘치게 한가득
    또는 약간 모자르게 또는 계량스푼으로
    자르듯 한스푼 등등....

    요리책은 지면의 한계로....

    요리 블로거도 많으니 자신에 맞는
    블로거를 찾아 보는것도
    좋아요.

    제가 자신을 얻도록 도와준
    블로거는 '김진옥 요리가 좋다'예요

    이 블로거 덕분에 감자탕까지 끓일줄
    알게되서...

    주위에 이 블로거소개를 해주면
    공구일삼는 블로거 땜에 거부반응
    일으키는 친구도 있더군요

    허나 내가 워낙 많은 도움을 받고
    자주 애용하는 블로거라....

    도움이 되었으며 하는 바램으로

    여기 보면 재료 손질은 물론,
    씻는거, 불세기, 끓이는 시간까지...

    암튼 좋았어요.

  • 11. 나루
    '16.4.16 6:32 AM (122.45.xxx.116) - 삭제된댓글

    저도 요리 맹~~~

    그러다 우연히 요리 한가지 성공한뒤
    없던 자신감으로 모든 요리에 도전중~~

    저 윗님 말씀대로 백선생님 프로 주위깊게
    보시고요

    요리는 각 요리에 따른 불조절, 시간등이
    중요한듯해요.

    요리 책에도 계량스푼, 계량컵.. 

    책에 따라서 한컵이 200ml 또는 240ml

    한 스푼도 요리사에 따라 넘치게 한가득
    또는 약간 모자르게 또는 계량스푼으로
    자르듯 한스푼 등등....

    요리책은 지면의 한계로....

    요리 블로거도 많으니 자신에 맞는
    블로거를 찾아 보는것도
    좋아요.

    제가 자신을 얻도록 도와준
    블로거는 '김진옥 요리가 좋다'예요

    이 블로거 덕분에 감자탕까지 끓일줄
    알게되서...

    주위에 이 블로거소개를 해주면
    공구일삼는 블로거 땜에 거부반응
    일으키는 친구도 있더군요

    허나 내가 워낙 많은 도움을 받고
    자주 애용하는 블로거라....

    도움이 되었으며 하는 바램으로

    여기 보면 재료 손질은 물론,
    씻는거, 불세기, 끓이는 시간까지...

    암튼 좋았어요.

    그런데 이 블로거는 그렇게 공구를 업으로
    삼지 않은듯해요...

  • 12.
    '16.4.16 9:08 AM (112.152.xxx.96)

    읽으니 저와 같은 총체적 난국 이네요 시간되시면 ebs 최고 요리비결 레시피라도 보시고 해보셔요..시행착오 없이 되는건 없는데 실패확률 줄여줍니다

  • 13.
    '16.4.16 9:17 AM (223.62.xxx.183)

    집밥백선상 요즘에하는거 님질문답 있었는데, 다시보기나매주화욜에 보세요

  • 14. 간볼때
    '16.4.16 9:52 AM (211.198.xxx.67) - 삭제된댓글

    국 간 볼때
    소금이나 국간장을 넣고 바로 간을 보지 말고
    좀 끓이다가 간보는 작은 그릇에 덜어 너무 뜨겁지 않게 해서 간을 보세요.
    대개는 국간장을 넣고 나서 모자란 간을 소금으로 보충합니다.

    재료는 희귀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잘 모르겠으면
    그냥 마트에서 파는 것으로 사시면 대강 무난합니다.
    그리고 대체로 모르겠으면 비싼 것 사면 대개는 괜찮습니다.
    예를들어 소고기 누린내 싫으면 한우 사시는 거죠.

    너무 끓이게 되는 건 그냥 끓이다 눈으로 보고 맛을 보아 내가 생각하는 그 맛이 나면 불을 끄면 되죠.

    된장국이 쓴 이유는 된장을 너무 끓여서일 가능성이 높아요.
    된장국에 단단한 재료를 넣고 끓인다음
    호박, 두부 파 넣고 된장 넣고 살짝만 끓이면 괜찮아요.
    이때 호박이나 파는 덜 익었어도 남은 열로 익으니까
    푹 익을때까지 안끓여도 됩니다.

    그리고 기초가 많이 부족하시면
    돈내고 학원에 가서 선생님에게 배우시는 것도 좋습니다.

  • 15. 간볼때
    '16.4.16 9:56 AM (211.198.xxx.67) - 삭제된댓글

    참 나물 데칠때엔
    소금물을 팔팔 끓여서
    넣어다 바로 건져내세요.
    바로 건져내도 남은 열로 익어버리니까
    바로 찬물로 식혀주시고요.

    나물무칠때 간을 보아 좀 짜게 되었으면
    과감히 나물을 물로 씻어주고 다시 간을 하세요.
    그게 나무 더 데쳐서 섞어주는 것 보다는 나아요.

    그리고 나무 무칠때 미리 양념할 재료를 섞어 두는데
    그걸 조리법대로 한번에 다 넣지 마시고
    반이나 2/3정도만 넣어서 맛을 본 다음
    모자라면 나머지 더 넣으세요.

    글고 잘 모르겠으면 무조건 좀 싱겁다 싶게 하는 겁니다.
    짠 거 보다 100배 나아요.

  • 16. ..
    '16.4.16 10:49 AM (114.204.xxx.212)

    간보는게 요리의 반인거 같아요
    특히 김치는 익고나면 또 다르고 ㅜㅜ 어려워요

  • 17. 저도
    '16.4.16 4:28 PM (221.167.xxx.150)

    저도 요리 팁 얻어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5528 남편에게 대꾸할 방법 171 ... 2016/05/07 20,366
555527 이 엄마 뭐죠? 3 dma 2016/05/07 2,405
555526 육아스타일 안맞는 친구..제가 유난떠는건가요? 4 .... 2016/05/07 2,299
555525 남들 의식되고 남의말에 위축되는것 고치는법 있나요? 5 ... 2016/05/07 2,359
555524 정신적 바람과 육체적 바람중에 16 ㅇㅇ 2016/05/07 12,810
555523 홈쇼핑 브래지어 괜찮은가요? 10 ... 2016/05/07 7,312
555522 견과류 뭐 젤 좋아하세요? 22 싱글뒹굴 2016/05/07 3,993
555521 슬픈 감정과 가슴통증 12 원글이 2016/05/07 3,380
555520 대화가 잘되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4 대화가 잘 .. 2016/05/07 1,818
555519 화장실 청소를 못하겠어요. 5 비위.. 2016/05/07 3,525
555518 하나마나한 얘기들,,,,, 22 drawer.. 2016/05/07 6,910
555517 가톨릭 신자분들..성지 추천해주세요! 8 서울 2016/05/07 1,262
555516 오늘 제사 모셨습니다 34 어이 상실 2016/05/07 6,040
555515 페북 댓글에... just the tip of the icebe.. 000 2016/05/07 757
555514 버스에서 뒤에 앉은사람들이 왜 제옆자리 창문을 여는걸까요 6 2016/05/07 2,177
555513 남원칼 같은 대장간에서 만든거 쓰기 편하던가요? 4 2016/05/07 2,774
555512 근데 쉐프의 기준이 뭔가요? 15 너도 나도 .. 2016/05/07 3,099
555511 100% 마 자켓 - 집에서 울샴푸로 세탁해도 될까요? 7 세탁 2016/05/07 13,814
555510 예단비와 신랑측 처신에 대해 선배맘들의 고견을듣고싶어요 10 초보 시모 2016/05/07 3,879
555509 남자 연애 초보인데요 연애 초보일 때 무얼해야 할까요? 3 .. 2016/05/07 1,344
555508 정장 물빨래 후 말릴때 흰오물 어떻게 지우나요 3 2016/05/07 868
555507 파운데이션 추천해주세요 예쁘게 무너지고 자연스러운 9 .... 2016/05/07 4,243
555506 오십초반부터 죽는날까지 무엇을 하면 후회없이 잘 살았다 .. 10 Oooooo.. 2016/05/07 4,852
555505 공감을 잘하는 사람들은 뭘까요? 22 공감대 2016/05/07 6,717
555504 무가 너무 시들었는데. 무국 끓여도 되나요? 11 .. 2016/05/07 1,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