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시 학생부 종합전형 비율이 늘어난다는데요.

그래서 조회수 : 2,056
작성일 : 2016-02-25 11:06:27
제가 첫아이에 무지한 직장맘이라 조언을 부탁드려요.
아이가 고2되는데 작년에 비교과를 신경쓰긴 했어요. 학교 수상 캠프 동아리 등이요.
그런데 욕심과는 달리 내신이 최고 스펙이라는데 4등급 전후라 쓰겠나하고 올해는 정시위주로 공부해야하나 했는데 주위에서 제 아이때부터 지금보다 훨씬 학종이 늘어난다고 해서 고민입니다.
학교는 선호 학군이긴 하구요.

맞는 소리인가요? 계속 신경 좀 써야 할까요?
정확한건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요?
IP : 110.70.xxx.50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2.25 11:08 AM (101.250.xxx.37)

    특목고 아니면 내신4등급 인서울 안됩니다
    어마무시한 스펙 아님 담에는요
    근데 학교에서 보통 4등급 아이한테 이런 스펙을 쌓을 기회를 잘 안주죠

  • 2. ...
    '16.2.25 11:12 AM (58.230.xxx.110)

    이게 참 어려워요...
    학군좋은데서 내신이 쉬운것도 아니고...
    어쨌든 논술만 봐도
    수능준비 잘해야 하는게 우선인건 맞는듯요...
    근데 가능함 내신에 최선을 다하는게
    현명하죠...

  • 3. ~~````
    '16.2.25 11:16 AM (106.244.xxx.152)

    전국구의 특별한 특이한 스펙아니면 학종도 결국 내신1점대 학생들의 잔치인듯합니다
    인서울 지거국 정도의 학교들은~~~~~~~~~`

  • 4. ..
    '16.2.25 11:16 AM (175.113.xxx.18) - 삭제된댓글

    내신이 우선되고 그다음에 비교과예요.
    학종은 향상되는걸중시하니 내신을 올려야 학종도 써볼수있겠죠

  • 5. ..
    '16.2.25 11:24 AM (221.149.xxx.208)

    아무리 선호학군이라고 해도
    일반고에서 4등급 전후로 학종 쓰기는 어렵습니다.
    선호학군이라고 하시니 내신보다 모의고사가 잘 나오겠죠?
    그러면 일단 논술 전형 준비하시고
    문과라면 겨울 방학 정도부터 논술학원 보내세요.
    저희 애 이번에 논술 전형으로 입학했는데
    같은 과에 내신 좋아서 수시 뚫은 아이들은 거의 등급이 1.0 에 수렴한답니다.
    내신으로는 서울의 다른 구나 지방 아이들을 이길 수가 없더군요.
    저희 애는 내신 2등급 초반이지만 학종 쓸 데가 없었습니다,
    자료 찾아보시면 어마어마한 내신 가진 애들이 의외로 많아요.

  • 6.
    '16.2.25 11:24 AM (221.164.xxx.215) - 삭제된댓글

    교과전형 ᆞ종합전형 모두내신최우선입니다
    정말 특이한스펙이 아닌이상 국영수 잘하는게 장땡입니다
    그리고 대학은 무조건 수시로 간다는 생각으로 해야합니다
    내신 어중간하다고 3학년때부터 정시올인했다 올해 폭망한 경험자입니다=.=

  • 7. 원글
    '16.2.25 11:40 AM (110.70.xxx.50)

    저도 그리 생각했는데 그건 지금 입시 중심의 상황이고 우리때는 아니라는거에요.
    학종이 확 늘어나니 비교과 놓으면 안된다구요.

    중심을 잡아줘야하는데 애한테 미안해집니다.

  • 8. 고3엄마
    '16.2.25 11:53 AM (101.250.xxx.37)

    저 위에 특목고 아니면 어렵다는 덧글썼는데
    작년 고3 엄마예요
    내신4등급이면 학종으로는 지방사립대도 좋은 과는 못가요
    3학년되면 스펙쌓을 기회들 다 내신1~2등급 애들한테 몰아줍니다
    학교는 스카이 하나라도 더 넣는게 중요하지 내신 4등급 이하 개개인 아이들 스펙쌓는데 큰 관심없습니다

    일단 내신은 유지하고 모의등급 잡으세요
    논술 줄어든다고 해도 내신4등급 아이가 그래도 좀 알려진 네임벨류 대학에 가려면 논술이 제일입니다
    그럴려면 최저 맞춰야하니 수능이 중요하구요

  • 9. ㄱㄱㄱ
    '16.2.25 12:35 PM (115.139.xxx.234)

    내신4등급 강남 일뱐고래도 학종 어려워요. 좀더 알아보세요. 정 답답하면 전문가랑 상담해보세요. 사실 논술 유독 잘한다 하면 모를까 낙타 바늘구멍이기도 해요.

  • 10. 학종도
    '16.2.25 12:37 PM (110.8.xxx.3)

    주로 보는게 비교과가 아니고 내신 이예요
    말이 학종이 늘어서 스펙에 뭐가 많으면 들어가는 문 넓어 보일지 몰라도
    우수 특기자 전형에서 정말 학교커리 큘럼부터 학종에 맞춰 운영되는 영재고 민사고 과고
    이런데서 학교 이름 남다른 커리큘럼 ( 에를 들어 영재고나 민사고는 대학 수준 수학이나 과학 미시경제
    식의 공부를 미리 고등에서 합니다 ) .전국 대회 수상 기록 등등 보고 내신 감안해서 뽑아주고요
    학종에서는 예선이 내신이라고 보면 되요
    내신으로 어느 정도 다 추려 낸후 그다음 하나하나 검증하는거죠
    대학에서도 애들을 뽑는 방법이 쉽지 않아요
    가장 모험적인게 애들이 잘하는걸 우선시해서 뽑는건데 무슨 대상 수상자다 해서 뽑아놔도
    오히려 학과에 적응못하고 학점도 안좋고 그런 경우 흔해요
    그래도 취하는 방법이 아닌 애부터 추려 내는 거죠
    고등 스펙이 교내 대회 상타봤자 그거 대단하게 볼것 없구요
    내신 기준점 안되는 애부터 다 추려내고 그다음 다른거 보면 이런식으로 눈에 띄게 못하는애부터
    원서수 줄여가며 심사합니다
    상상이상으로 몇십장되는 생기부부터 자소서 까지 그것 심사도 엄청나게 힘들어요
    10명만 되도 몇백장 분량이고 100명 넘어가면 몇천장 분량인데
    과에 따라 지원자 몇백명 되는 경우 흔하구요
    그러니 숫자로 가장 딱 떨어지며 공인성적인 내신이 일차 기준이 되는 경우가 흔해요
    대학교수들 교대 수상 정도는 그냥 구색 정도로 보지 그거 중점적으로 가산점 줘가며 뽑아줄 정도로 생각안해요
    일단 내신 견교히 쌓는게 중요하구요 그다음 수능입니다
    그거에 빠지지 말게 평소에 신경 좀 쓰라는게 생기부 예요
    그래도 내신은 죽어라 투자하면 업그레이드 가능한거지만 비교과생기부는 독서나 세특 같은 성실성 지표
    다른 애들 다 있는데 혼자 공란 만들지 말고 다 채우는거라도 시작하세요
    그리고 공부는 애가 하는거지 엄마가 하지 않아요
    미안할일은 아니고 애가 먼저 정신 차려 챙겨야지 고등 생기부를 엄마가 채울수는 없어요
    어디 생기부 특강이라도 들어보시고 애랑 상의하세요

  • 11. 그럼
    '16.2.25 1:28 PM (220.118.xxx.171)

    내신 안되는 아이는 수시로 가려면 논술밖에 없나요?
    논술은 최저등급 맞춰야 하고....
    학교가기 참 어렵네요.

  • 12. ~~~~
    '16.2.25 2:26 PM (106.244.xxx.152)

    내신이 안되면 논술과 수능이예요
    여기서 내신 안된다는거는 2점대도 포함이구요
    1점대라도 대학에서 교과나 종합에 선발안해주면 결국 논술과 수능이랍니다

  • 13. ...
    '16.2.25 2:41 PM (58.140.xxx.119)

    수시 학생부 종합전형도 결국 내신과 수능이 관건이에요.

  • 14. 쥬쥬
    '16.2.25 4:11 PM (223.62.xxx.114)

    예비중3엄마에요. 학원설명회만 듣고 고등때 비교과를어떻게 해야하나 막막했는데 결국은 내신이군요. 답긍 달아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 15. 원글
    '16.2.25 5:39 PM (175.223.xxx.191)

    감사합니다.
    학교에서도 내신 좋은 친구들에게 기회를 더 많이 주나보네요.
    특별히 튀지 않는한 내신 3등급 이후는 학종에 공들일 필요 없는..ㅠㅠ
    학종 비율이 무척 커진다해서 흔들렸네요.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7776 회사 첫출근날인데 그냥 왔어요.. 17 .. 2016/03/14 7,785
537775 도와주세요 6 차정리 2016/03/14 1,036
537774 시래기 말린 거 선물받았는데 요리법을 몰라요 16 ???? 2016/03/14 2,624
537773 중등아이들 콘텍트렌즈끼나요? 6 날개 2016/03/14 850
537772 꽃청춘 알몸수영 충격이네요 ㄷㄷㄷ 14 ... 2016/03/14 6,387
537771 구글에서 남편 위치 어떻게 알아보는건가요? 9 저아래 2016/03/14 2,444
537770 요즘 해산물 맛이 예전보다 못해요. 3 새우 2016/03/14 882
537769 집에 가구를 좀 옮기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될지요? 6 .. 2016/03/14 998
537768 너무도 뻔뻔하니까 그 뻔뻔함의 끝이 어디가는지를 구경하게 되는 .. 7 에효 2016/03/14 2,401
537767 오십대 여자 생일 어떻게 보내세요? 11 아름다운 구.. 2016/03/14 2,636
537766 도대체 뭘 먹어야 몸이 건강해 질까요 16 ... 2016/03/14 4,926
537765 40중반에 올림머리~ 12 ㅇㅇ 2016/03/14 3,012
537764 큰 이유 없는데 일이 너무 하기 싫고 사람들이 지긋지긋 7 회사원 2016/03/14 1,646
537763 코스트코에서 초등학생 간식용으로 살 만한 것은 무엇일까요? 6 코스트코 2016/03/14 2,821
537762 제 주위 엄마들은 이혼하면. 45 꽁꽁 2016/03/14 27,112
537761 커피 10 진짜? 2016/03/14 2,532
537760 정청래의원 재심청원 서명 게시판 2 펌 아고라 2016/03/14 484
537759 원영이 사건을 이제 알았네요 ... 2016/03/14 1,077
537758 사탕을 왜 안주는 거니... 4 ㅜㅜ 2016/03/14 1,082
537757 미래에는 범죄 수사나 판결에도 인공지능? 3 .... 2016/03/14 483
537756 논현동 여자 셋이 저녁 먹을 곳 어디가 좋을까요? 7 콩콩이 2016/03/14 1,077
537755 디자이너 김빈씨도 탈락했나봐요..;; 11 더민주영입인.. 2016/03/14 3,083
537754 브러쉬 세척하는 법 알려주세요. 1 ... 2016/03/14 589
537753 김종인 싸이코 패스인듯 3 국썅 영혼의.. 2016/03/14 1,457
537752 동네 할인마트에서 어머니가 다치셨는데 마트 측에서~ 26 어이상실 2016/03/14 5,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