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너무 쉽게 믿는 것도 큰 흠이자 죄네요.

이러니 조회수 : 2,310
작성일 : 2015-07-26 11:38:49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그 세모자 사건도 그렇고,
목사랍시고 그 수많은 교회들.........
보이스피싱을 비행기타고 오가며 꾸민 그 일당들도 그렇고......한국사회에서 돈 벌기 얼마나 쉽다고 생각했을까요???
사람들아 사람들아 본인을 믿지 않고 누구를 자꾸 믿으려 하고 그 믿음에 대한 책임을 남에게 떠넘기려 하느뇨? 본인의 나약함도 받아들이고 인정하면 그만인 걸 그걸 부담하기 싫다고 남에게 자꾸 떠넘기는군요. ㅠㅠ

우리 모두는 인간의 나약함과 그로 인한 단점을 가진 불완전한인간인 걸.....거부하려는 사람들이 많나봐요.  공자말대로 삼강오륜 다 지켜야 한다고 생각해서?  어차피 매주 죄 지었다고 자백하러 교회에 가는데 왜 본인의 단점과 문제를 인정하고 받아들이지 않고 남에게 떠넘기려 할까요?
IP : 175.197.xxx.225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7.26 11:42 AM (125.186.xxx.76)

    죄라니.. 진실이 알려져서 다행인거죠.

  • 2. 원글
    '15.7.26 11:48 AM (175.197.xxx.225)

    자기 인생에 대한 죄? 자기 자신에 대한 죄? 이런 의미로요. 사회적 측면에서는 진실은 언제나 알려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3. ㅇㅇ
    '15.7.26 11:49 AM (175.123.xxx.9)

    꼭 그 사건 아니어도...한국이 더 심한지 모르겠지만 자기가 생각한걸 남에게 강요하다시피 계속 이슈화 하는거...
    진짜 문제있다고 생각하고 일상에서도 늘 보는 현상이에요.

  • 4. 믿음
    '15.7.26 11:51 AM (121.141.xxx.129)

    무조건 믿는 것도 안 좋지만
    세모자처럼 요즘 상식을 넘어서는
    말도 안되는 악랄함 치졸함 사기꾼들이 많아서
    경악했어요
    암것도 모르면 동정하는게 맞죠
    인간이라면 모두 측은지심을 가지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이런 일들이 자꾸 벌어지면
    바로 옆에서 누가 쓰러져 살려달라고 해도
    쳐다보지도 않을거 같아요 (이미 그런 사회지만)

    사람들의 측은지심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제일 악질같아요

  • 5. 원글
    '15.7.26 11:56 AM (175.197.xxx.225)

    그 측은지심을 악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니까 하는 얘기죠. 애초 90년초, 80년 말대 폭발적으로 늘어난 교회들도 측은지심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그런 감정들을 이용해서 부를 축적한 거잖아요.


    있었던 일들로부터 배우고 습득해서 재발되지 않도록 개선하고 싶네요.

    측은지심, 한번 접어두고 앞뒤 전후 사실 확인 하고나서 측은지심 발휘해도 늦지 않다고 봐요.

  • 6. 원글
    '15.7.26 12:11 PM (175.197.xxx.225)

    자기가 생각한걸 남에게 강요하다시피 계속 이슈화 하는거------------원래 사람들은 이래요. 강요하지 말라고 말릴 수도 없어요. 다양한 형태로 할테니. 강요하고 계속 말하는 것에 대한 적절한 대책은 무시. 무관심이예요.

    그래서 대중의 반응을 다들 알고 싶어하죠. 노래를 하거나, 영화를 만들거나, 제품을 만들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다들 대중의 반응을 알고 싶어해요. 정치하는 대통령도 예외는 아니예요.

    그래서 대중이 스스로 생각하고 다른 사람들이 하는 말도 듣고 걸러내고 판단해서 자기 의견을 내는 것은 굉장히 중요해요. 본인 인생의 사회적인 역할이자 권리에서 핵심이 아닐까 싶네요.


    남에게 말하지 말라? 강요하지 말라? 무시하고 무관심하면 아무리 강요하려고 해도 소용없죠. 강요하는 사람이 잘못된 게 아니라 강요하는데 제대로 자신의 의사를 표시하지 못하는 사람이 문제인 거예요. 아닌 아니라고 말해야지요. 그런 말도 못하고 살면, 과연....개인생활은, 사회생활은 뭔 재미로, 낙으로 사나요? 아니라고 말하는 게 죄가 아닐진대.

  • 7. ..
    '15.7.26 12:20 PM (211.176.xxx.46)

    누군가의 명예를 훼손하는 허위의 사실을 믿는 건 죄죠.

    살인자인 것과 살인자로 몰리는 건 전혀 다르죠. 후자는 살인자급 비난을 받는 거에다가 억울함이라는 것까지 겪어야 하죠.

    legal mind라는 게 필요하죠.

    그것이 알고싶다도 legal mind에 의거해서 프로그램을 만드는 거고.

  • 8. ..
    '15.7.26 12:25 PM (211.176.xxx.46)

    늘 입증 여부를 따져야 함.

    그렇지 않고 믿기부터하면 본인도 무사하지 못함.

    어느 날 본인이 살인자로 몰렸을 때 사람들이 입증 안된 그 사실을 그대로 믿어도 된다는 뜻이니까.

  • 9. 원글
    '15.7.26 12:31 PM (175.197.xxx.225)

    늘 입증 여부를 따져야 함.

    그렇지 않고 믿기부터하면 본인도 무사하지 못함.

    어느 날 본인이 살인자로 몰렸을 때 사람들이 입증 안된 그 사실을 그대로 믿어도 된다는 뜻이니까.

    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

    좋은 댓글이네요. 사회 내에서 내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그 판단 기준 중에 젤 기본이 이거라고 봐요. 내가 이걸 선택했을 때 남도 같은 걸 선택할테고 그렇다면 나는 손해보지 않겠는가.

    젤 가깝게는 이게 왜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을 차별, 배척하면 안되는가,의 이유잖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3541 블로그에 매번 공감 찍는 심리는 뭘까요 4 쟈쟈 2015/08/17 1,145
473540 좋은 엄마이자 아내의 조건은 뭘까요.. 2 ..... 2015/08/17 1,056
473539 김영호 냉장고 4 ㅉㅉ 2015/08/17 4,761
473538 서울 버스요금 인상가격과 환승에 대해 궁금한데 2 궁금 2015/08/17 732
473537 살을 좀 빼보려는데 6 저녁 2015/08/17 1,915
473536 모델링팩이라고 아세요? 5 하와이 2015/08/17 2,044
473535 이사왔는데 아무래도 유치원 옮기는게 좋을까요 3 유치원 2015/08/17 811
473534 내용 펑 합니다. 53 이해불가 2015/08/17 24,431
473533 사는게 재미없어요 11 허무주의 2015/08/17 2,919
473532 칫솔 목을 휘어보세요.. 5 .. 2015/08/17 3,388
473531 확실히 예뻐 보이는 거울이 있지 않나요? 12 ㅇㅇ 2015/08/17 2,873
473530 병원 주사 유리앰플 파편 겁나요.. 3 유리파편 2015/08/17 2,767
473529 지친저녁엔 뭘해야 행복할까요 6 2015/08/17 1,492
473528 수영을 동영상으로 배우고 워터파크 다녀오겠다는 동생때문에 멘붕이.. 17 정신차리자 2015/08/17 3,122
473527 참기름 어디꺼 쓰세요? 12 .. 2015/08/17 5,394
473526 옛날 선비복을 입고 사진촬영을 해야하는데 6 2015/08/17 621
473525 오나귀팬님들~이거 보셨어요? 꺄! 이거 어디서 구할 수 없나요?.. 9 대본표지!!.. 2015/08/17 3,448
473524 잠실 6억전후 30평대 아파트 없을까요? 여학생 고등학군.. 12 잠실 2015/08/17 4,293
473523 아기 두고 대학원 복학 가능할까요? 7 고민 2015/08/17 980
473522 복층구조 혼자살기 괜찮을까요 8 복층 2015/08/17 4,133
473521 감자밥 의외로 넘 맛있네요~~! 5 자취녀 2015/08/17 2,145
473520 마음고생할때 식욕이 땡기는 82쿡님도 있으세요..??? 4 .. 2015/08/17 747
473519 택배 배달사고가 났어요 3 ... 2015/08/17 1,814
473518 수학한문제만 풀어주세요 10 수학은 어렵.. 2015/08/17 921
473517 미 금리 인상은 9월에 시작 될듯.. 12 시장의 신호.. 2015/08/17 4,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