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3 이과 수시 쓰는데..

수시 조회수 : 3,526
작성일 : 2015-07-21 21:36:43
이과 수시에 대해 여쭤보려고요.
강남권 자사고에서 내신은 안 좋아서 4~5등급이고
모의는 영어 과탐은 1등급 나오고 수학 국어는 2등급일 때 연고대 논술전형에 아예 시도도 못하나요?
연고대 논술 들어보자고 하니 선생님이 생각도 말라고 했다면서 아예 안들을려고 해요.
제가 영어 과탐으로 등급합 4등급 맞추고 논술만 잘보면 되지 않냐(수리는 못해도 과학 논술은 가능성 있어서) 했더니 선생님이 엄마들이 늘 그렇게 말하는데 아니래요. 그러면서 한양대, 성대 쪽만 듣겠다고 하는데 어떤게 맞는지 모르겠네요.
등급합만 맞추면 되는 거 아닌가요? 논술 잘봐도 수능 전체로 등수 세워 끊는 거 아니죠?
전문가나 선배맘들 계시면 한 마디씩 부탁드릴게요.
IP : 121.167.xxx.114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5.7.21 9:47 PM (58.145.xxx.34)

    논술전형을 왜 지원 못하나요? 할 수 있어요.
    단지 논술전형은 "붙은 사람도 왜 붙은지 모르고 떨어진 사람도 왜 떨어진지 모른다"고 할 정도로 예측불허...
    성대논술이 쉽다고 해도 경쟁률이 장난아니고 논술 채점 기준을 알 수 없어서 성대가 연고대보다 쉬울 것도 없네요..
    대학다니는 우리 아들 왈 "우리과에 논술 붙은 애가 말야..... 글씨가 완전 한석봉이야.난 그렇게 글씨 잘 쓰는 애 처음 봐...역시 논술은 글씨를 잘 쓰고봐야하나봐"라는 말은 하더군요.
    특모고나 강남쪽 아이들은 수시 쓸 게 논술 밖에 없잖아요....
    모의 저 정도 나오면 최저는 맞출 수 있지 않을까요? 논술은 최저 맞추더라고 합격 여부 당최 알 수 없지만....

  • 2. ㄴㄴ
    '15.7.21 9:57 PM (221.140.xxx.231)

    문과 논술은 몰라도 이과 논술은 답이 있어요.
    쓰세요. 선생님이 무슨 상관인가요.
    다만 논술 준비를 해야하는데 연대는 수능전이라 논술준비 과정이 부담이라
    성적이 애매한 아이들
    시간 뺏길까 만류하긴 하더군요.
    어차피 내신이 안좋으면 논술밖에 답이 없는데
    연고서성 이런 라인으로 쓸수 밖에없는거니 쓴다고 이상할 것도 없다 싶어요.
    그리고 최저 기준만 넘기면 논술만으로 평가해요.
    과탐보다는 수리논술을 잘 쓰야 가능성이 있다고는 하더군요.

  • 3. 오늘
    '15.7.21 9:59 PM (175.208.xxx.91)

    매경에 논술에 대해서 나왔어요.
    5등급도 합격했다고
    참고 하세요

  • 4. 묻어서 질문요
    '15.7.21 10:00 PM (211.109.xxx.34)

    저희도 강남 자율고 문과생인에 내신 5등급인데 국영수 모의고사는 121, 122정도 평균 나오는데
    선생님께서 수능으로 올인하라고 하셨다던데 저도 논술쓸수 있으면 써보고 싶거든요

  • 5.
    '15.7.21 10:00 PM (223.62.xxx.6)

    논술 붙은애들이 거의 수능 잘본애들이던데요.
    성대는 특별히 논술공부 할필요없고 수능정도의 실력이면 다 풀수있는 문제가 나와요.

  • 6. ㅇㅇ
    '15.7.21 10:04 PM (58.145.xxx.34)

    앞서 논술시험 본 학부모로서 추가하자면요,(논술 다 떨어지고 결국 정시로 입학)
    논술은 성대, 한양대가 연고대보다 쉬울거 없는거 같아요... 성대는 좀 쉽다는 평가로 인해 경쟁률 장난 아니고, 한양대의 경우 최저 없지 않나요?(작년엔 그랬는데) 그래서 이 학교 또한 경쟁률 어마어마할 거라고 예측되었는데 작년에 다들 이리 예상해서 지원 안했는지 생각보다 지원률 낮았던 걸로 기억.... 올핸 어찌될지 모르지요..
    연대는 수능 전에 보니까 웬만한 수험생들 다 가서 보고.....
    제 경험상 오히려 고대가 논술은 경쟁률이나 결과 등등이 심플했던 걸로 기억해요..
    이왕 논술로 쓸거면 내 논술 실력과 최저등급 여부를 봐야지 지레 겁먹고 학교 낮출 이유는 없다고 봐요

  • 7. ...
    '15.7.21 10:06 PM (220.76.xxx.234)

    쓰세요
    선생님이 접수했는지 안했는지도 모르는데...
    그리고 수능은 최저만 맞추고 논술합격점 받으면 합격이라는게 정설이던데요
    화이팅!
    수능 너무 잘봐서 혹 서울대 갈 건데 납치될 걱정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쓰지마시구요

  • 8. dd
    '15.7.21 10:33 PM (118.220.xxx.196)

    이과 논술은 일단 수학이 대부분을 차지하고요. 논술이 좀 쉬워졌다 해도 그건 원래 수학, 과학 잘하는 애들 얘기고, 그래서 논술 문제를 일단은 다 풀어야 합격 가능성이 있으니, 연고대 작년 기출 찾아보고 어느 정도나 할 수 있는지 가능성 타진해보세요. 문제를 손도 못댄다면 논술 학원 다닌다 해도 아예 가망 없구요. 또하나, 이과 논술이 답을 맞춘다고 되는 게 아니라는 건 아시겠죠? 글고 과탐 물리, 화학, 생물, 지학 중 하나를 2까지 충분히 공부했어야 합니다.

  • 9. 지원은 할 수 있어요
    '15.7.22 1:43 AM (121.145.xxx.49)

    불이익도 없어요.
    다만, 이과 논술에서 변별력은 수학이 거의 압도적입니다.
    과학은 반영비율은 30%라고 하지만 점수차가 크게 안납니다.
    대체로 비슷한 수준에서 쓰니까요.

  • 10. ..
    '15.7.22 8:33 AM (1.235.xxx.118)

    수시논술은 컴퓨터로 접수하는 거라어디를 쓰든 상관없어요
    다만 지금 수학 모의가 2등급인데 윗쪽인지 아래쪽인지 모르지만 수리논술보다 수능수학에 올인하셔야할 거 같네요.
    연대논술은 심지어 10월인데요.과학논술도 2까지 했어도 된다는 보장없구요.
    고대논술은 써도 무방.
    그리고 성대.한대술 올해는 같은 날 봐요.
    과나 계열선택을 나눠서 하 면 시간 차로 볼수는 있을 듯.
    잘 보고 원서 쓰시구요.

    역대로 보면 연대논술이 제일 어려워요.해마다 난이도 차이가 있지만..
    논술에 너무 집중하지말고 수능수학.과학에 몰입하는 게 좋을 듯.

  • 11. 원글
    '15.7.22 9:37 AM (121.167.xxx.114)

    답변 감사합니다. 댓글 주신 분들 그냥 지나치지 않고 현실적 조언 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두고두고 보면서 곱씹어 보겠습니다.

  • 12. ..
    '15.7.22 10:22 AM (121.157.xxx.2)

    논술은 최저만 맞출수 있으면 쓰셔도 됩니다.,
    그리고 상위권 대학들은 내신 크게 작용 안합니다.
    등급간 점수차가 거의 없어요.

  • 13. ...
    '15.8.3 9:43 PM (211.243.xxx.218)

    수시. 저도 참고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4057 주식대회 나가보려고요 토이맘 2015/08/19 809
474056 자이언티 부모님은 좋겠어요. 4 000 2015/08/19 3,670
474055 아이허브 카드 취소하면 얼마만에 되던가요? 오배송 2015/08/19 534
474054 부동산 전산망이랑 국토부 실거래 홈페이지에 등록 안된 집 6 괜찮은가요?.. 2015/08/19 1,375
474053 기념일 문제요...... 5 -- 2015/08/19 618
474052 북한올케가 애기를 낳았는데요 ㅜㅜ 83 로즈 2015/08/19 25,858
474051 남자 손목시계 5 선물 2015/08/19 1,215
474050 신축빌라사면 앞으로 오를까요? 9 질문 2015/08/19 3,179
474049 전 소녀시대 제시카 측 "단독 회사 설립 가능성 有, 연예·사업.. 7 공식입장 2015/08/19 3,588
474048 손석희 사장 집무실 언론사 최대크기 논란 28 조작국가 2015/08/19 4,620
474047 2달간 성당을 안나갔고 다시 가고싶은데, 고해성사가 부담스럽습니.. 12 궁금이 2015/08/19 2,442
474046 깨진 거울 종이에 잘 싸고 마대자루에 넣어 테잎으로 1 운수 2015/08/19 733
474045 장준하와 박정희의 ‘70년 전쟁’ 3 40주기 2015/08/19 595
474044 성악가 연광철씨 기사를 읽다가 4 dsg 2015/08/19 1,386
474043 세상이 급격하게 험해진건가요? 애들끼리 집에 있는 문제 30 2015/08/19 6,264
474042 머리 조금이라도 덜 빠지는 샴푸는? 2 ..... 2015/08/19 1,644
474041 이해할 수 없었던 친구였던 인간의 심리 2 시원하네요 .. 2015/08/19 1,515
474040 직업군인 -공군부사관 (현 중사) 라는 직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 16 ㅇㅇㅇ 2015/08/19 10,185
474039 초등학교 혼자 1km 통학하려면 몇살이 되야할까요? 4 혼자 2015/08/19 1,104
474038 부동산 복비 부가세까지 붙여 받는거 정상인가요? 14 oo 2015/08/19 4,747
474037 미국에서는 집에 혼자 아이를 둘 수 없나요 8 궁금 2015/08/19 2,644
474036 헤어진후 딱한달후에 전화온 남자 6 ........ 2015/08/19 4,537
474035 굿바이 미스터 블랙 드라마로 한데요. 5 000 2015/08/19 2,048
474034 영재발굴단 보면서 생긴 의문.. 4 돌돌엄마 2015/08/19 3,389
474033 저혈압인데 체력좋은분 있나요? 7 고민 2015/08/19 4,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