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백화점이 비쌀 수 밖에 없는 이유(수수료편)

칼안든도둑 조회수 : 3,520
작성일 : 2014-10-18 13:39:47

왜? 백화점을 선호 하십니까? 라고 물으면..

많은 분들이

 

1. 쾌적한 쇼핑

2. 친절한 서비스 - 반품, 환불이 서비스가 좋다.

3. 다양한 제품을 한 곳에서 쇼핑할 수 있다.

4. 믿을 수 있다 등등...


하지만 백화점의 가격이 합리적일까요?

 

유통업에 몸담은지 10년이 훌쩍 넘어가고 있는 제가 요즘의 백화점 유통에 대해서 말한다면....

 

유통 업자는 돈을 벌기에 불가능에 가까운 구조를 가지고 있고..

소비자는 비싼 가격에 상품을 살 수 밖에 없고 ...

오로지 백화점만 배를 불리고 있다라고 말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해외든 국내든 ... 수입 및 제조 업체들은 제품 가격을 백화점에 판매할 수 있는 가격대로

책정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유는 백화점에 입점해 있다는 것이 브랜드 광고와 홍보의 수단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만큼 소비자의 신뢰와 선호도가 높은 유통라인이 백화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백화점 때문에 가격에 거품이 생길 수 밖에 없다는 걸 아시나요?

 

백화점이 비싼 이유는 첫 번째로 높은 수수료 구조에 있습니다.

 

품목과 업종에 따라서 다르지만... 평균 30%대의 높은 수수료가 문제입니다.


 

연일 방송에서도 높은 백화점 수수료에 대한 문제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만...

공정위가 움직일때만  백화점은 생색내기 1~2% 정도의 수수료만 인하하는 척하고 맙니다.

 

그리고 그 수수료라는 것이 힘있는 업체에게만 조금 저렴하지..

 

힘없는 브랜드 업체는 부르는게 수수료입니다.

 

위의 자료에서 보이듯이 공정위에서 조사한 자료와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조사한 자료에서도 6~7%의

 

차이를 보입니다. 같은 품목에서도 여성 정장류에서는 심지어 17%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힘의 논리는 명품과 비 명품과의 차이에도 있습니다.


해외 명품의 경우 소희 똥이라고 불리는 루이비통의 경우를 예를 들면...

평균 9.6%의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신세계 죽전의 경우는 2~6%의 아주 저렴한

수수료를 백화점에 지불하면 됩니다. 국내 브랜드에 비하면 거저입니다.


하지만 국내 유명 브랜드는 20~30%의 수수료를 지불해야만 하지요..


비싼 배화점 수수료는 곧 소비자 가격의 거품을 초래합니다.

 

제품 원가대비해서 5~7배 이상의 가격을 붙여야지만 백화점에서 판매를 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예를 들자면...

 

원가가 20만원이라고 정해보지요..

그럼 백화점 판매가격은 100만원을 정합니다.

이 가격중에 백화점 수수료 35만원을 제하고 나면 65만원이 됩니다.

업체는 45만원의 막대한 이익을 취하는 듯하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보통 제값 주고 상품을 구입하는 소비자는 일부입니다.

보통 20% 정도 세일을 하지요....

그래서 판매가는 80만원으로 떨어집니다.

이중에서 백화점 수수료 24만원을 제하고 나면...

이익은 36만원으로 줄어 듭니다...그래도 많이 남는 듯 보이지만..

의류나 신발같은 경우 재고율이 20%이상 ,마케팅 및 광고비용, 로스율등을 감안하면 25%이상의

관리 비용이 들어갑니다. 결국 이익은 17만원 정도로 줄어듭니다.

따지고 보면 1백만원짜리 팔아서 5배의 마진을 붙였음에도 17%정도의 수익이 발생하는 것이지요.

백화점은  어떠한 조건에서도 수수료는 변함이 없습니다.

 

그런데 위의 경우는 그나마 좋은 경우입니다. 백화점에 입점한 업체의 대부분은

제조 업체가 아니라 소희 밴더라고 지칭되는 유통 업체입니다.

보통 40% 정도로 제품을 수입원이나 다른 공급원으로 부터 제품을 공급받는 업체입니다.

결과적으로 말하면 이 밴더업체는 백화점보다도 휠씬 터무니 없는 10%정도의 비용으로

판매사원과 재고관리를 해야 하지요...

 

결과적으로 일부 품목의 경우 공급원과 백화점만 배를 불리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제조원이나 공급원은 백화점에 직접 입점하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백화점 측의 무리한 광고, 사은품, 세일등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어..

 

수익율이 조금 줄더라도 밴더업체를 선호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설명드린 것은 백화점 가격 형성의 빙산의 일각입니다.

 

더 많은 이유가 있지요..

 

다음번에는 MD개편 -백화점 인테리어 및 집기 비용은 어느 정도가 들며 누가 부담하는가에 대해서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잠깐...

 

한국이 명품 비싼거는 다들 아시지요?

국내 제품보다도 휠씬 저렴한 수수료를 부담함에도 불구하고..

명품 업체들은 왜 가격이 상대적으로 외국에 비해서도 터무니 없이 비싼 걸까요?

다음편에 백화점 인테리어(MD개편)에 대해서 다시 말씀드리겠지만..

해외 명품 브랜드 매장은 인테리어까지 백화점에서 다 부담합니다.

 

명품에 대한 합리적인 선호 - 비싸야 잘 팔린다..

 

그리고 명품 하나쯤 들고 다녀야 뽀대가 난다..

 

몇달치 월급을 가져다 바쳐도 명품 구입하는 건 안아깝다..

 

우리의 비뚤어진 소비 행태가 해외 명품 브랜드의 배룰 불려 주고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gonggigoa/286

IP : 77.245.xxx.35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10.18 2:08 PM (180.230.xxx.129)

    쭉- 연재부탁드립니다. 매우 흥미로워요.

  • 2. ..
    '14.10.18 2:36 PM (119.69.xxx.42)

    다 아는 사실 아닌가요?
    보통 소매마진이 30~35% 정도인데 백화점 수수료 자체는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외국브랜드에 대한 헐값 수수료가 문제라면 문제지...

  • 3. 수수료가
    '14.10.18 2:44 PM (88.150.xxx.139)

    매출의 30-40%인데 정말 문제가 없다고 보나요?
    순이익의 30%가 아니라 총매출의 30-40프로인데도요? 우왕~~ 신기하네요.
    나는 진짜 순이익당 몇프로로 생각했었거든요.

    백화점 뿐만이 아니라 롯데마트같은데 입점된 음식점도 떡볶이 오천원이면 1500-2000원이 수수료로 나가더라고요. 그럼 그 주인은 뭐먹고 살까요?

  • 4. to be continued
    '14.10.18 2:55 PM (125.177.xxx.27)

    좋은 글 감사..
    이렇게 딱딱 설명해주시니 더 소비에 대한 마음을 가다듬게 되네요.
    또 연재 해주실거지요?
    돈이 많아서..또 쾌적함이 주는 특별한 기분을 느끼고 싶은 사람은 계속 백화점을 이용하는 것이고..
    이렇게 합리적인 사람들은 합리적 소비를 하는 것이지요.
    저도 백화점 가기는 가지만..세일 많이 해서 ... 충분히 설득력 있는 가격에는 사오지만, 알고 바가지 쓰고 싶지는 않아요

  • 5. 홈쇼핑은 더해요.
    '14.10.18 3:21 PM (175.223.xxx.82)

    아이템에 따라 다르지만,
    38%~40%가 몰 마진입니다.
    배송료며,반품비 죄다 판매사 부담이구요.
    저마진 대량판매가 장점이긴하지만,
    원가 1만원짜리 2만원정도에 팔면,
    판매마진 7600+원가 10000원+택배비를 제외한 금액이 판매사마진,
    반품 ,불량재고 다 떠 안으니,
    결국 대기업만 배불리고,제조사는 재주 부리는 곰…
    화장품이나,건강보조식품은 좀 나은편이구요.
    여튼,돈 있는 사람은 제조 안하죠.
    유통하든지,임대업하지,
    백화점은.
    평균마진 38%라도 박리다매가 안되기때문에
    최소 원가의 4배 이상을 해야 손익발생해요.
    즉 원가 1만원짜리면, 최소 4만5천원~4만9천원...
    4배가 넘는다고 테클거시면,
    실제 중저가브랜드 아니고는 4배수이상 지수 책정.
    중저가는 2.9배 정도…
    근데,모든 상품에 따른 부가가치도 있으니,
    원가만 따지는것도 모호합니다.
    실제 원가를 아는 저도 마음에 들면,
    어쩔수 없이 백화점 구매하거든요.
    소비자가 유통최종단계이니…

  • 6. 이휴
    '14.10.18 8:39 PM (39.117.xxx.47)

    소매마진이랑 차원이 틀려요.
    소매마진은 그야말로 그 마진율안에 세금, 관리비, 인건비 포함되지만 백화점은 그것 더하기 백화점 마진이예요. 월세랑도 차원이 틀리죠. 복합매장 임대료가 월 100이라고 치면 백화점은 천매출에 3~400만원 이잖아요?
    거기다 백화점 행사시 업체에서 그 비용을 부담하거든요~ 그냥 백화점 입점 수수료는 딱 그것만 인거니 부담이 가중될 수 밖에요.

  • 7. sksmssk
    '14.10.19 12:29 AM (121.129.xxx.62)

    d va sdf f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3214 아이중학교에서 건강체력교실을 한다는데요 5 2014/11/07 443
433213 사이버사 '대선 댓글' 심리전단 122명 전원 투입 2 샬랄라 2014/11/07 578
433212 무등산, 담양, 축령산 잘아시는분 계실까요? 7 여행 2014/11/07 1,011
433211 콩나물 얼려도 되나요? 무치면 얼려두 되나요? 4 살림초보 2014/11/07 5,634
433210 삼성 프렌치도어 아래 서랍있는 냉장고 좋나요? 2 미국 2014/11/07 1,413
433209 휴대용유모차 추천 좀 해주세용 2 뽀삐언니 2014/11/07 709
433208 너무 추워요. 난방텐트 추천 좀 해주세요. 7 추워요 2014/11/07 2,579
433207 유투브에서 신해철씨 아들.딸 이야기하는거 듣는데.. 5 ... 2014/11/07 2,130
433206 내인생에 폭탄이 터졌습니다.. 39 뀨뀨 2014/11/07 22,204
433205 김치볶음밥을 왜 돈주고 사먹을까요? 84 ... 2014/11/07 17,430
433204 딸아이가 졸업하면 부산으로 내려와서 학원을 하고싶다고 해요. 19 .. 2014/11/07 3,849
433203 비염 고친 한의원 찾아주세요 13 ㅇㅇ 2014/11/07 3,510
433202 진심으로 짜증나는 답정너 친구....제 대처가 틀렸나요? 12 이얍 2014/11/07 5,257
433201 강원도 철원 오대쌀이 얼만큼 맛있나요? 12 무농약인가요.. 2014/11/07 4,249
433200 조선일보가 윤봉길 의사를 '이봉길'로 오기한 이유 1 샬랄라 2014/11/07 599
433199 핀터레스트 하시는분 계신지 3 ㅡㅡ 2014/11/07 733
433198 컵누들이 정말 맛있긴해요~쩝... 1 안주로 2014/11/07 1,454
433197 걍 서러워서 넉두리 해보아요.. 4 11월 2014/11/07 1,139
433196 학군 좋은데서 치이는 딸..좀 한적한 곳으로 가는것도 방법일까요.. 12 중1맘 2014/11/07 3,646
433195 시어머니는 왜 아들과 같이 살고싶어할까요. 46 .... 2014/11/07 8,945
433194 쌀은 원래 가을에만 수확 하는건가요? 4 햅쌀밥 2014/11/07 543
433193 볼펜 한두개 꽂아놓을만한게 뭐가 있을까요? 3 ... 2014/11/07 549
433192 나는 의사다 1 듀폰 2014/11/07 1,195
433191 제주도 안간다니 이혼 하자네요 참나.. 18 고민고민 2014/11/07 5,533
433190 요리책 하나 추천해주세요 3 요리책 2014/11/07 1,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