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근데 전문직 전문직 그러는데 대체 전문직이 뭐에요?

ㅇㅇ 조회수 : 9,106
작성일 : 2014-10-18 02:10:28
저와 제 주변 기준 전문직은
의사, 변호사, 회계사, 변리사 정도인 거 같아요.
판검사야 공무원인거고요.

여기보면 나도 전문직인데~
하시는 분들 참 많은데 저 중에 하나신가해도 참 많다 싶어서요ㅎ

기준이 다른 건지 재밌네요.
IP : 223.62.xxx.112
3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4.10.18 2:11 AM (223.62.xxx.112)

    추가로 회계사는 KICPA만이요. AICPA는 제 아무리 따고 빅펌간다고해도 오딧부서가 아니고 변방돌죠.

  • 2. ㅇㅇ
    '14.10.18 2:12 AM (121.174.xxx.23)

    저도 그정도만 전문직이라 생각하는데 여긴 무턱대고 좀 특수하다고 느끼면 다 전문직이라고 하는거같아요 사회통념과 좀 다른...? 그냥 자기 직업 말하면 어디가 덧나나요. 의사면 의사다, 변호사면 변호사다, 간호사면 간호사 미용사면 미용사...

  • 3. ㅇㅇㅇ
    '14.10.18 2:15 AM (211.237.xxx.35)

    일단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고소득이고, 대학 전공하고 시험을 거쳐야 하며,
    라이센스나 면허증이 있고, 독자적 사업장을 낼수 있는 ?

  • 4. ㅇㅇ
    '14.10.18 2:18 AM (223.62.xxx.112)

    211.237 고건 좀 모호한거 같아요. 사회적인 통념상 제 글에 언급한 직업정도만 전문직 아닌가 싶어요. 사실 제 친할아버지도 법무사셨는데 직원만 30명 넘게 꾸리고 굉장히 잘되셨었거든요. 그래도 전문직이라고 생각해본적 한번도 없네요.

  • 5. ㅇㅇ
    '14.10.18 2:19 AM (140.211.xxx.7)

    82에서는 여러번, 아주 많이 나오던 논쟁이에요.
    검색해보시면 정말 많은거 아실거에요.

  • 6. ..
    '14.10.18 2:20 AM (112.158.xxx.118)

    비꼬지 마시고 아까운 시간에 검색을 ㄱㄱ

  • 7. ㅇㅇ
    '14.10.18 2:23 AM (223.62.xxx.112)

    112.158 비꼰건 아니고 웃긴거에요. 저 정도 아니면서 여기서 전문직 전문직 하는게 웃겨서요.

  • 8. 전문인
    '14.10.18 2:28 AM (220.76.xxx.230)

    그럼 전문인은 어떠신지요? 전문직이라는게 꼭 한정 분야 종사자만 지칭하는 건 좀 아닌 것 같고. 예를 들어 포크레인기사님이나 한옥장인 이런 분들은 전문직이 아닌가요? 님 기준엔?

  • 9. ...
    '14.10.18 2:28 AM (39.121.xxx.28)

    답정녀군요..본인이 답 다 정해놓고 물어보는건 뭔지...

  • 10. ㅎㅎㅎ
    '14.10.18 2:29 AM (122.71.xxx.34)

    남이 그러거나 말거나 나한테 피해 오는것도 아니라 전 그러려니 합니다 뭐 기준이 어디냐에 따라 헤어디자이너도 전문직이 될수 있겠죠

  • 11. ...
    '14.10.18 2:37 AM (59.15.xxx.61)

    8대 전문직???
    의사, 변호사, 회계사, 변리사,
    약사, 교사, 간호사,
    ...여기에 교수???

  • 12. 판검사도
    '14.10.18 2:54 AM (59.6.xxx.5)

    전문직이지 무슨 . .

  • 13. ㅇㅇ
    '14.10.18 2:59 AM (110.12.xxx.104)

    저는 간호사지만 스스로 전문직, 전문직 안 해요.
    면허 있다고 전문직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겠죠. 그런 사람을 웃기다고 생각하는, "전문"지식 갖춘 분이라면 여기서 물어볼 게 아니라 사전 찾아보셔야죠.


    전문직
    [ professions ]


    사회의 중심적 가치와 관련이 깊은 제문제에 대하여 일련의 체계적 지식을 응용하는 직업을 말한다. 카-손더스(A.M. Carr-Saunders)와 윌슨(P.A. Wilson)의 고전적 연구 The Professions(1938)에서 전형적인 전문직에는 여러 가지의 복합적인 특성이 있으며, 그것에 다소 가까운 직업은 이들 몇 가지 특성이 부분적으로 발달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 여러 가지 특성의 복합체가 전문가주의(professionalism)이다. 많은 논자들이 전문가주의의 제요소의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플렉스너(Abraham Flexner)는 School and Society(1915)에서 개인적 책임, 지적 기법의 실제적 적용, 자기 조직화의 경향, 그리고 점차로 이타적으로 되는 동기부여를 강조했다. 코간(Morris Cogan)도 전문직이라는 용어를 정의하려고 했던 다수의 시도를 조사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전문직은 어떤 분야의 학문 내지는 과학의 이론구조에 대한 이해이며, 이런 이해에 부합하는 여러 가지 능력에 기초하여 실천되는 직업인 것이다. 이 이해와 이들의 능력이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실천적 제문제에 적용된다. 전문직은 고객에 대한 이타적 서비스에 윤리적 요청이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밀러슨(Millerson)은 21명의 평가자에 의해 열거된 특성을 분석하고 가장 높은 빈도의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을 든다. 첫째, 전문직은 이론적 지식에 기초한 기능을 필요로 한다. 둘째, 그 기능은 훈련과 교육을 필요로 한다. 셋째, 전문직 종사자는 시험에 합격하는 것과 같이 자신의 능력이 입증되어야 한다. 넷째, 행동규범을 준수함으로써 청렴성을 보여야 한다. 다섯째, 공공의 복리에 도움이 되는 봉사를 해야 한다. 여섯째, 전문직은 조직화를 이루고 있다.

    전문직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특성을 갖는 직업, 즉 전문가주의에 도달한 직업이어야 한다. 따라서 전문직에 가깝다고 생각되지만 충분히 전문화되지 않은 약사, 간호사와 같은 직업은 준전문직, 하위전문직으로 지칭된다. 원래 전문직이라는 용어는 법률가, 의사, 목사 등의 직업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런 직업은 산업화 이전의 유럽에 있어서는 상업과 육체노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생활의 기회를 부여받은 유일한 직업이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문직 [professions] (사회학사전, 2000.10.30, 사회문화연구소)

  • 14. --
    '14.10.18 4:28 AM (87.179.xxx.63)

    시험에 붙고 면허가 있어야 하는 게 관건. 그 시험이 아무나 치루는 게 아니라 특정한 자격을 (대학 전공) 갖춘 자여야 하구요.
    대강 그림 나오잖아요?

    약사, 간호사가 좀 간당간당한게 아무래도 수적으로 많으니까요. 약국이 좀 많습니까.

  • 15. 음...
    '14.10.18 5:16 AM (178.59.xxx.152)

    어디선가 은행에서 전문직 대출 되면 전문직이라고 본 기억이 나네요.

  • 16. 음...
    '14.10.18 5:19 AM (178.59.xxx.152)

    궁금해서 찾아보니 우리은행 전문직 대출 상품에..
    1. 법무관련 전문직 : 판사, 검사, 변호사(사법연수원생 포함), 법무관, 변리사, 법무사, 공인노무사, 손해사정인
    2. 회계관련 전문직 : 공인회계사, 세무사, 관세사
    3. 기술관련 전문직 : 기술사
    4. 부동산관련 전문직 : 감정평가사
    5. 항공관련 전문직 : 항공사에 재직중인 기장, 부기장
    6. 교육관련 전문직 : 4년제 대학 교수(조교수 이상)
    라고 되어 있네요.

  • 17. @@@
    '14.10.18 5:52 AM (108.224.xxx.37)

    oo님... 82에서는 목사는 전문직으로 인정 받기힘들다에 한표.

  • 18. .....
    '14.10.18 5:59 AM (174.90.xxx.249)

    우리은행 분류표가 가장 보편적인것.같네요. 판검사는 공무원일지라도 전문직 맞죠..

  • 19. 제 기준
    '14.10.18 6:08 AM (175.114.xxx.195)

    판사, 검사, 변호사(로스쿨 빼고), 의사, 변리사, 공인회계사, 감정평가사, 약사

  • 20. ..
    '14.10.18 7:23 AM (110.70.xxx.24) - 삭제된댓글

    미용, 포크레인 기사분들은 굳이 나누자면 전문직이 아니라 기술직인거죠.

  • 21. ..
    '14.10.18 8:14 AM (221.159.xxx.111)

    대학 전공하여 시험 치뤄 자격을 얻는자가 전문직이면 우리나라 전문직판이게요?보건쪽은 100%고 교사 유아정교사 영양사 식품위생사 온통다 전문직?? 저 은행에서 분류한 전문직이 맞는듯..기장도 전문직 맞죠.

  • 22. 근데
    '14.10.18 8:27 AM (124.51.xxx.155)

    여기 회원이 생각보다 많은 것도 염두에 두셔야 할 듯.
    저도 저 은행 기준으로 전문직이고 제 남편도 전문직인데요 한 번 글 쓰다 직업 관련해서 언급한 적이 있었어요. 근데 댓글 중 글 주요 내용이랑 상관 없이 정말 그 직업 맞냐... 거짓말이다... 라는 댓글이 있더라고요.
    아무리 익명 공간이라 해도 그런 댓글 정말 기분 나빠요. 자신이 보는 세상이 전부가 아닌데 왜 멀쩡한 사람 허언증 환자 취급하는지...
    ..

  • 23. ..
    '14.10.18 8:44 AM (219.255.xxx.111)

    여기는 돈잘벌면 전문직이라 하는거 같던데요
    미용. .

  • 24. ...
    '14.10.18 8:46 AM (203.234.xxx.190)

    우리은행 기준으로 보면 제 남편도 전문직.
    기술사거든요.
    근데 사회 통념상 기술사를 전문직이라고
    하지는 않잖아요.
    보통 의사, 판사, 검사, 변호사, 변리사, 회계사 정도
    전문직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 25. 원래
    '14.10.18 9:11 AM (115.140.xxx.223)

    전문직이란 자체가 대졸자 라이센스가 있고 독자적으로 사업장 운영이 가능한 직업을 뜻한다고 알고 있어요 미용은 엄밀히 말하면 기술직 아닌가요?

  • 26. ...
    '14.10.18 9:45 AM (116.123.xxx.237)

    은행에서 신용도 최고로 쳐주는 직업 아닐까요
    남편보니 마이너스 통장 최저금리로 이억 해주더군요

  • 27. ㅇㅇ
    '14.10.18 11:03 AM (210.205.xxx.239)

    약사 법무사 세무사도 전문직이죠.. 당연..

  • 28. 이걸
    '14.10.18 11:11 AM (175.223.xxx.248) - 삭제된댓글

    왜 정확하게 규정지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분위기 보니까 이제 사법고시 없어지고 나면
    변호사도 전문직 아니라고 할 거 같네요.ㅎ

  • 29. 아이둘
    '14.10.18 11:48 AM (211.215.xxx.83)

    국가가 인정한 자격증으로 개인 사무소를 차릴 수 있는냐 없느냐 아닌가요?
    약사도 그 차원에선 인정되고, 대신 간호사는 안되고...
    뭐 나중엔 다 가능해질지 모르지만요. ^^

  • 30. ...ㅡ_ㅡ??
    '14.10.18 11:53 AM (112.154.xxx.136)

    관세사가 전문직??? 아니죠

  • 31. 쿡쿡
    '14.10.18 3:51 PM (223.62.xxx.30) - 삭제된댓글

    매스컴에서 8대전문직이라고 매년발표하니 그들은 일단 전문직이죠. 변호사 변리사 법무사 회계사 세무사 관세사 건축사 감평사. 여기에 의사 약사 수의사. 여기 언급된건 전문직이라고 말해서 부끄러워해야될 그런사람들 아니죠.... 자기가 판사라고 세무사가 전문직이야?라고 해도 사실 욕먹을일이고 위 전문직도 아닌사람들이 세무사가 전문직이야? 하면 안쓰럽죠 ㅋㅋㅋ

  • 32. 쿡쿡
    '14.10.18 3:54 PM (223.62.xxx.30) - 삭제된댓글

    이런 논쟁자체가 결국 누굴 깍아내려야 만족하는 사람들의 논쟁아닌가요? ㅋㅋㅋ 글쓴이님이 인정하시는 변호사 요즘 개털뉴스나오고 의사도 전문직 파산1위로 알고있고 변리사는 매스컴에서만 1위고 회계사는 운지한지 오래죠 ㅋㅋㅋㅋ

  • 33. 쿡쿡
    '14.10.18 3:56 PM (223.62.xxx.30) - 삭제된댓글

    기준이 다른가요 재밋네요라고 쓰셧는데 제가 볼때는 님이 더 재미있어요. 혹시 판검따셧으면 아 공부 열심히해서합격해서 자랑하시는구나~ 하고 웃고 말겠는데 겨우 변호사 회계사 변리사 따고 다른 전문직 까는거면 ㅋㅋㅋ

  • 34. ㅇㅇ
    '14.10.19 3:59 AM (175.114.xxx.195)

    변리사 이과계의 사시입니다. 엄청 어렵고 많이 안뽑아요. 충분히 전문직이고도 남죠.

  • 35. 느낌상
    '14.10.19 7:56 PM (211.59.xxx.111)

    판검사 변호사 의사

    전문직이라 쓰고 고소득 전문직이라 읽게 되서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4023 요즘 다개국어 공부시키는.엄마들 보면 어떠세요? 27 요즘 2014/11/10 5,758
434022 클릭도 안했는데 혼자서 여러 창들이 마구 떠요 제거방법좀 3 악성프로그램.. 2014/11/10 1,003
434021 요즘 남자결혼비용 궁금합니다.. 15 궁금 2014/11/10 3,064
434020 욕하는 버릇..이 심해요 7 욕하는버릇 2014/11/10 1,658
434019 친구딸이 아파요 2 제이바다 2014/11/10 1,696
434018 갤럭시노트4 사용자 메시지 2014/11/10 942
434017 도서정가제 시입? 5 도서 2014/11/10 871
434016 '신해철 수술' S병원장, 9시간여 경찰조사 마치고 귀가 10 abc 2014/11/10 3,319
434015 코 속이 아파요 왜 이럴까요? 5 화초엄니 2014/11/10 4,539
434014 비지스의 홀리데이가 이렇게 슬픈 음악일 줄이야.. 7 .... 2014/11/10 2,230
434013 폐암 4기 인데 고기등 고단백으로 먹어도 되나요? 12 댓글 부탁드.. 2014/11/10 4,956
434012 월급에서 국민연금 얼마나 떼이세요? 2 보통 2014/11/10 2,246
434011 사시합격 한 슈퍼모델 이진영씨 정말 멋지네요~~ 11 악마 2014/11/10 5,167
434010 토지 전집 사고 싶어요 8 도서정가제 2014/11/10 1,708
434009 썬크림처럼 흰색제형의 비비크림 있나요? 3 ㅇㅇㅇ 2014/11/10 990
434008 다이* 갔다가 들었던 생각 18 오늘 2014/11/10 13,030
434007 집밥의여왕 ?연예인 아닌분들까지 5 ~*~~ 2014/11/10 4,868
434006 모네의 정원을 다녀왔는데요. 질문드려요 ^^ 10 토리 2014/11/09 2,638
434005 저 여자친구 없는데' 이런 말 그냥 하는거죠? 10 ... 2014/11/09 1,660
434004 남편아이랑 같이가면 남편은 자기꺼만 아이도 자기꺼만 보네요; 1 백화점 2014/11/09 1,729
434003 아까운 사람들은 왜그렇게 먼저갈까요..??? 4 아이블루 2014/11/09 1,015
434002 질문입니다_아이폰6에 텔레그램 안 되나요? 2 도와주세요 2014/11/09 804
434001 헌팅 안당해봤으면 매력이 없는걸까요? ㅠ 15 2014/11/09 6,147
434000 신현대 아파트 경비원에 대하는 우리모습들에 부끄러워 얼굴을 들수.. 1 두둥맘 2014/11/09 1,271
433999 용인 청덕동에 단독짓는거 무모할까요? 6 전원주택 2014/11/09 3,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