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국은 유산 상속 이런 거 전혀 없나요?

외국 조회수 : 3,649
작성일 : 2014-06-17 10:01:00
자식들도 결혼자금 스스로 해결하구요? 
IP : 218.38.xxx.4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결혼자금이랄것 없던데요
    '14.6.17 10:02 AM (180.65.xxx.29)

    반지 하나 정도 나눠끼고 월세 살고 하니까 목돈 필요 없더라구요 제친구 보니까
    물론 잘사는 사람은 크게 하고 유산도 크게 받겠죠
    근데 부모돈 내돈이런 개념은 없는듯해요

  • 2. 부시부자 보셈
    '14.6.17 10:06 AM (125.182.xxx.63)

    아들에게 대통령까지도 물려주잖슴?

  • 3. ..
    '14.6.17 10:06 AM (61.73.xxx.140)

    대부분 대학가면 학비도 스스로 해결하고 결혼도 알아서 하고 그러던데요.

    그런데 최상류층보면 지가 번돈은 아닐테고 호화롭게 결혼식하는 거 보면 꼭 그렇지는 않은가봐요.

  • 4. 있지요
    '14.6.17 10:08 AM (60.241.xxx.16)

    여기도 같습니다.
    유산때문에 별일 다 있습니다.
    단지 한국처럼 이슈가 안되는 건 없는 사람이 많아서 그런거 같아요.
    한국처럼 악착같이 모으는 사람이 많치 않으니 그런거 같아요.
    있는 사람들 집한채 해줘요.
    말도 마세요. 여기도 가관입니다.
    그 모습 보면서 다 똑같구나.
    옛날에 한국에 있을때 외국사람들은 집에 애착이 없는데 한국 사람만 유달리 크다고 했는데 제가 살아보니
    그게 아니라 너무 비싸 아예 포기하고 사는 거 같아요.
    나라의 차이가 아니라 사람의 차이인거 같아요

  • 5. 그레이스 캘리
    '14.6.17 10:14 AM (121.165.xxx.224)

    도 50년대 중반 결혼할때 200만 달러의 지참금을 부모가 해주었어요. 자수성가한 재벌이었던 부모는 상속분에서 미리 제하는 조건으로 해주었다네요. 물론 그레이스 자신이 당대 최고의 여배우로 돈은 많았겠지만요.

  • 6. 미국 일본
    '14.6.17 10:16 AM (14.52.xxx.59)

    돈 많은 사람일수록 애들 대학 등록금 다 대주고
    결혼식 비용이며 집 구입까지 다 해주고
    붙어살며 손주 다 챙겨요
    우리도 물려줄거 없는 사람이야 뭐 학교도 대출로 다녀라,결혼은 니네가 알아서 해라 주의지요

  • 7. ....
    '14.6.17 10:17 AM (124.58.xxx.33)

    유산 줄사람은 주겠죠. 빌게이츠가 아이들 유산관련해서 밝혔잖아요. 거액의 유산은 자식을 망치는 지름길 따라서, 자식들에겐 개인당 120억 정도밖에 유산으로 물려주지 않고 나머지는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 8. ....
    '14.6.17 10:19 AM (121.160.xxx.196)

    소설이나 영화보면 뜬금없이 유산 받는 친척들도 많잖아요.
    남은 재산있으면 자식한테 상속하죠. 다 사회환원하지는 않고요.

    우리나라는 워낙에 문화가 가부장, 장자상속, 장자부모부양등이 있었으니까요

    차남, 딸들은 부모 부양/제사 하려는 마음은 절대 없는데
    부모에게 요구하는것은 너무 커요.
    무슨 세태가 이런지.

  • 9. 120억
    '14.6.17 10:23 AM (112.165.xxx.25)

    밖에....120억 밖에...
    나도 '밖에' 받아보고싶다

  • 10. 서민들은 그렇죠
    '14.6.17 10:25 AM (222.237.xxx.149)

    그런데 중산층 이상, 상류층으로 가면 결혼자금은 물론 집도 사주고 유산 상속도 해줍니다.
    그러다보니 애들이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아요. 부모의 의견을 무시 못합니다. 결혼도 마음대로 못하고 진로 정할 때도 부모 입김이 많이 작용해요.

  • 11. 대학 학자금부터
    '14.6.17 10:27 AM (59.187.xxx.99)

    론으로 받아서 본인 스스로 갚아나가는 경우가 더 많다고 들었어요.
    물론 어딜가나 돈이 넘치도록 많은 사람들은 또 다르겠지만요.
    결혼식도 우리들처럼 떠들석하게 다 불러모으는게 아니라 가까운 친분정도로 국한되고
    유럽은 아예 시청같은 관공서에 가서 간단히 치르는 나라들도 있다고 들었네요.

  • 12. 존심
    '14.6.17 10:31 AM (175.210.xxx.133)

    그게 없으면 자본주의가 유지가 안됩니다...

  • 13. ..
    '14.6.17 10:34 AM (115.143.xxx.41)

    똑같아요 굳이 상류층 아니어도 결혼할때 부모도움 받고 대학등록금도 받고 그래요 우리나라처럼 부모도움에 대한 의존률이 절대적이지 않다 뿐이지 받긴 받아요. 대학등록금 한푼도 안받고 결혼자금 한푼도 안받는 사람 저는 못봤어요. 미국이요. 유산 상속도 다 받아요 부자 아니고 가난한 사람이라도요 낡은 가구 하나라도 자식들에게 가긴 갑니다.

  • 14. 더 심해요
    '14.6.17 10:35 AM (59.10.xxx.161)

    계급이동은 아예 없다시피해요 공부 잘 한다해도 상류층진입 어려워요 그리고 아는 친구 보니 이미 고등학교때부터 몰고 다니는 차, 20살 때 이미 일부상속, 결혼때도 그래요 아이 낳아도 비슷한 루트로 자라요 유럽은 아직도 귀족작위 있죠 우리랑 다른 건 다수 서민이 그냥 그 생활에서도 살만하다 생각하고 미국은 좀 다르지만 그냥 애 낳아 보조금으로 사는 경우도 많아요 몇백년간 고정된 계급이라 그냥 사회려니 받아들이고, 복지혜택은 우리보다 낫고요

  • 15. ....
    '14.6.17 10:54 AM (69.206.xxx.203)

    똑같아요 굳이 상류층 아니어도 결혼할때 부모도움 받고 대학등록금도 받고 그래요 우리나라처럼 부모도움에 대한 의존률이 절대적이지 않다 뿐이지 받긴 받아요.2222222
    아직 공부하는 제 남편...집값 시부모님이 내주세요. 그리고 유산 관련 유언도 다 작성해 놓고 하셨어요. 남편 주변 보면 어려운 집 아니고 어느정도 중간 가는 집이면 자식한테 할 수 있는 만큼 해주더라구요. 유럽 국가 중 하나입니다...

  • 16. 유럽은
    '14.6.17 10:57 AM (223.62.xxx.239)

    아직 귀족작위나 학위나 그런 거 유지 강해요 차이가 있다면 서민층이 니들은 니들이지 그렇게 여겨요 귀족도 재산 없는데 상속 받음 골치 아프죠 성수리비가 그렇게 비싸다고.. 그래서 재벌가랑 교환결혼 실제로 해요 그 문구사 파버폰카스텔도 그렇게 생긴 집안이에요 돈과 집안 결합 아직도 한다고 봐야해요 유럽도 서유럽측은 비슷해요 북유럽은 복지체제가 좋아 서민들이 신경 안 쓰는 편

  • 17. .....
    '14.6.17 11:01 AM (1.241.xxx.162)

    상류층이야 주죠...유산 미리 신탁으로 묶어놓고 줘요
    그런데 간섭이 심해요.....미국도 경제적 지원을 주고 간섭을 하고 더 상류층들은 단서를 달아요
    뭐뭐 어길때에는 빼앗죠...아예 서류에 달죠

    우리나라는 집한채 있는 부모에게 결혼자금을 받을려고 하죠
    그걸 작은걸로 줄여가고 아들에게 전세비라도 해주죠...

    풍족해서 해주는건..모라하지 않아도....아들 결혼시킬려면 집한칸 마련해 줘야 부모의 도리라고 생각하게 하는 것이 문제죠..
    딸 시집 보낼때 남자쪽이 집 한칸...전세라고 없으면 뭔 저런 남자한테 가려고 하냐고 하잖아요

    미국은 대학학비부터....대출 받아 스스로 공부하고 둘이 연예해서 월세로 시작해요
    이것이 서민층.....그러니 부모는 가끔 통화하고 일년에 몇번 보고 말죠...
    독립에 정도에 따라 간섭이 있는것 같아요

    유럽은 더 확고해요....유럽은 학비가 잘되여있어 대학가면 알바를 해서 자기 월세는 내요
    그리고 시작하죠....우리나라도 대학입학시 부터 독립시켜야 하는데 ...부모 마음이 안그렇죠..

  • 18. 물론 연속극이지만
    '14.6.17 11:06 AM (114.205.xxx.124)

    대학 입학하는 아들한테
    차를 선물 하더라는..

  • 19. 외국은
    '14.6.17 11:08 AM (211.201.xxx.119)

    사교육도 없고 독립적이며 자립심이 강하다..다 그런게 아니더라구요

    우리처럼 모든 사람이 매달리지 않을 뿐 그리고 비싸서 못 시킬 뿐 사교육 많이 시키구요

    학비도 대 주고 집살때 다운페이도 해 줘요

    그리고 돈 있는 부모한테 자식들이 자주 찾아오구요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사는건 비슷 하더라구요

  • 20. 그럼
    '14.6.17 11:19 AM (118.42.xxx.152)

    미국, 일본, 유럽같이 큰 나라들, 경제대국 말고,
    평범한 나라들은 어떨지 궁금하네요..

    자연환경 좋고, 먹거리 풍부한 나라들도 돈돈거리고 자식에 목매고, 일생 아둥바둥 할지 ?

  • 21. 뉴질랜드
    '14.6.17 11:26 AM (223.62.xxx.239)

    보니까 가장 아둥바둥 사는게 한국교포요 거기 원주민이나 백인애들 케세라세라

  • 22.
    '14.6.17 11:44 AM (119.70.xxx.121)

    나라마다 문화의 차이는 있을지 몰라도 근본은 같다고 봐야죠.
    부모자식 사이도 기브앤테이크를 벗어날 수 없으니
    자식에게 준 게 있는 부모는 자연스레 간섭이 따라붙게 되는거죠.

    부모에게 받는 건 당연히 여기고
    간섭은 싫다고 손사래 치는 무개념들이 문제.

  • 23. 어휴
    '14.6.17 7:15 PM (27.100.xxx.73)

    사람 사는 모습 어딜가나 비슷하더라구요...
    그 복지천국이라는 북유럽에서도 있는 집은 자식들끼리 유신갖고 재판하고, 없는 집은 빚이 주렁주렁..
    원래가 많이 있는 집 자식들은 학비 공짜고, 독립심 강한 사람들 사는 나라에서도 부모한테 콩고물 떨어지기만을 바라기도 하죠. 또 어떤 시어머니는 물려줄 재산갖고 자식들 협박하기도 한답니다.
    돈이 굴러다니는 사회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은 어딜가나 있다고 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7216 책 읽고 독후감 써놓는 분 계세요? 2 ..... 2014/07/14 980
397215 영어 괴외쌤 계실까요? 2 하늘이 2014/07/14 1,124
397214 이스라엘 11 논리의 헛점.. 2014/07/14 2,295
397213 아이쿱생협 재정상태 튼튼한가요? (차입금 관련) 3 고민 2014/07/14 2,414
397212 하나님을 믿어야 천국간다는 이야기를 하는 담임선생님. 19 익명 2014/07/14 2,409
397211 챱스테이크랑 어울리는 메뉴는?? 2 메뉴 2014/07/14 1,142
397210 어제저녁에 물김치 담으면서 설탕을 많이 넣었는지 맛이 이상해요ㅠ.. 3 어쩌나 2014/07/14 1,488
397209 내 아이가 똑똑한것 같다!!???? 11 0행복한엄마.. 2014/07/14 2,360
397208 요즘같이 더운날, 애들 소풍 도시락으로 뭘 싸주는게 좋을까요?.. 5 .... 2014/07/14 1,612
397207 마포와 옥수동 어느 동네가 더 살기 좋은가요? 5 동네 2014/07/14 3,880
397206 김치색깔이 빨갛지않고 주황빛도는데요 6 더나도그 2014/07/14 1,635
397205 영어캠프보냈는데 보통 주말 스케줄이 어떻게 되나요?(스마트폰 주.. 주말에는 하.. 2014/07/14 938
397204 올케 동생의 아들이 돌인데 27 ^^ 2014/07/14 4,466
397203 명절·인사철 전후 '떡값'…빌딩 문제 등 송사 위해 돈 뿌린 듯.. 1 세우실 2014/07/14 810
397202 소개팅 같은 선을 토요일 저녁에 봤는데... 너무 아쉬워요. 22 ... 2014/07/14 9,375
397201 어린이용 초한지, 수호지 추천 부탁드려요^^ 초한지 2014/07/14 665
397200 얼갈이 김치는 고추가루양을 얼마나 잡아야 하나요? 2 질문 2014/07/14 1,275
397199 베란다 없는 아파트 어떠세요? 25 긴가민가 2014/07/14 9,033
397198 유명 사진가, 촬영 방해된다며 220살 금강송 등 25그루 싹둑.. 16 참맛 2014/07/14 3,474
397197 지금 노래듣고 있는데.. 2 음아좋아 2014/07/14 727
397196 뼛속까지 문과인 아이 4 22222 2014/07/14 1,815
397195 집안의 몇째랑 결혼하셨어요? 5 별궁금 2014/07/14 1,540
397194 김용민의 조간브리핑(14.7.14) - '문고리 권력 의혹' 정.. lowsim.. 2014/07/14 1,212
397193 집주인이 전세금을 알아서 하라는 식으로 나오면 어쩌나요. 4 2014/07/14 1,557
397192 강아지 키우시는 분....ㅠㅠ 도움부탁드려요. 22 .. 2014/07/14 7,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