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펌) 민주주의 적과 동지, KBS와 BBC

Sati 조회수 : 1,002
작성일 : 2014-06-07 07:52:08
민주주의 적과 동지, KBS와 BBC


“집권당은 언제든 그들 노선을 지지해주도록 압력을 넣었으나 이를 거부해온 게 BBC 역사였다.” 이라크전쟁 보도의 공정성과 국익 논쟁이 치열하던 2003년 4월 내가 공부하던 런던대 골드스미스 칼리지의 심포지엄에서 그렉 다이크 BBC 사장이 한 말이다. 

지금 한국의 공영방송 KBS와 MBC의 최고위 간부들은 뭐라고 답할까? 언론인으로서 양심이 조금이라도 남아 있다면 불공정 보도 압력을 받아들였다고 고백할 테고, 양심이 아예 없다면 ‘근거 없는 폭로’라고 잡아떼지 않을까? KBS에서는 김시곤 보도국장과 5일 이사회에서 해임된 길환영 사장을 각각 대표인물로 꼽고 싶다.

다이크 BBC 사장은 블레어 정권의 압력을 거부하다 2004년 1월 결국 쫓겨나지만 퇴임인사를 하러 보도국에 들렀다가 열렬한 박수를 받는다. 그는 책상 위에 올라가 “우리가 지키려고 노력한 것은 BBC의 정직성과 독립”이라 외쳤고 수많은 기자들이 눈시울을 붉혔다. 그가 사옥 밖으로 나가자 군중이 운집해 그의 차를 가로막았고 한 여성은 앞 유리창에 립스틱으로 ‘그렉, 사랑해요’라고 썼다. 그 감동적인 장면은 생방송으로 중계됐다. 

BBC 직원들은 거의 전부가 모금에 참여해 ‘BBC 독립’이라는 제목으로 신문에 전면 광고를 실었다. BBC는 자기들 조직이익을 위해 전파나 수신료를 사용하지 않는 전통이 서 있다. 블레어 정권이 ‘BBC 개혁’을 명분으로 ‘허튼 보고서’를 발표했을 때 내가 놀란 것은 BBC 보도 태도였다.

한국 언론의 자사 이기주의에 익숙한 나는 BBC가 ‘허튼 보고서’를 엄청나게 비판할 걸 기대하고 밤 10시 메인뉴스를 지켜봤다. 그런데 웬걸, 그 보고서 내용을 충실히 전할 뿐 아니라 BBC 견해는 뉴스 말미에 짤막하게 보도하는 게 아닌가? 그 대신 BBC와 공영성 경쟁을 하는 Ch4 등이 보고서가 속임수임을 파헤쳤다. 

이 장면에서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권력으로부터 공영방송을 지키는 수호자는 내부의 사장과 직원뿐 아니라 외부의 다른 언론과 국민이란 사실이다. 블레어 정권은 이라크전쟁을 비판하는 BBC를 잠깐 겁주는 데 성공했으나, 영국의 시민의식은 85% 안팎 비율로 BBC 손을 들어줬고, 블레어는 끝내 권좌에서 축출됐다.

보수정권이 들어선 이래 KBS와 MBC가 있는 여의도에서 벌어진 장면은 정반대였다. 권력의 압력으로 왜곡 보도하는 수준을 넘어 자발적 ‘대통령 감싸기’와 ‘정권 홍보’를 서슴지 않았다. 선거캠프 출신 등 편향될 수밖에 없는 인물들이 공영방송 사장으로 발탁되는 일이 오히려 일반적인 탓이다. 그들은 한직에 머물던 친여성향 무능력자들을 요직에 발탁하고 의식 있고 저항하는 기자·피디들에게 무자비하게 인사권을 휘둘러 좌천시키거나 내쳤다.

KBS에서는 비판이 실종된 세월호 보도와 “대통령 비판은 한 차례도 없었다”는 김시곤 보도국장의 고백을 계기로 불공정 보도 불만이 행동으로 옮겨졌다. 기자 500여명 중 470명 등 직원 80%가 제작거부를 하고 노조원이 아닌 간부들마저 대부분 보직사퇴를 했다. 

그런 상황에서도 길환영 사장은 ‘방송을 좌파 노조에 맡길 수 없다’는 궤변으로 버티기를 해왔다. 그렇다면 상당수 보수성향 학자들까지 포함하는 언론학자 수백명과 고려대 미디어학부 학생회가 사장 사퇴를 촉구한 것도 노조가 사주한 것이었나? 길 사장은 6개 보수신문에 사실상 자신을 변명하는 광고를 냈는데 ‘수신료의 가치’를 이렇게 추락시켜놓고도 수신료를 올려달라고 손을 벌렸다.

그가 해임된 것은 그나마 다행이지만 KBS의 앞날이 밝은 것은 아니다. 지금과 같은 사장 선임 제도에서는 비슷한 친정권 인물이 뒤를 이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MBC에서 김재철 사장이 해임된 뒤 방송문화진흥회가 출범시킨 안광한 사장 체제는 ‘김재철 2기’나 다름없는 친정권 진용이었다. 

KBS 이사회는 여야가 7 대 4로 구성돼 있고, 이사추천권을 갖는 방송통신위원회도 절대다수 위원을 정권이 선임하기 때문이다. 방송문화진흥회도 비슷하게 운영된다. 유신시대에 국회의원 3분의 1을 ‘유정회’라 하여 대통령이 임명하던 독재 체제와 무엇이 다르랴.

이번 기회에 제도를 바꾸지 않으면 정권의 방송 지배는 계속될 것이다. 세월호 사건과 김시곤 국장의 폭로가 기폭제가 돼 사장이 해임되기는 했으나 이번 사장 해임에 안도해 현행 제도에 미련을 가져서는 안 될 터이다. 김 국장도 길 사장 체제에 충성하다가 세월호 사건이 터져 희생양으로 몰리자 폭로를 감행했을 뿐이다.

‘언론의 자유는 모든 자유를 자유롭게 하는 자유’라고 한다. ‘미디어 민주주의’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미디어, 특히 방송은 진정한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관건이다. 그런데 우리 공영방송은 ‘정부가 연주하는 피아노가 돼야 한다’는 괴벨스의 말을 계속 추종할 건가? KBS와 MBC는 민주주의의 적으로 남을 것인가, 동지가 될 것인가?
----------------------------------------------------------------------------본문 발췌
전문 기사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6052252045&code=...
IP : 14.47.xxx.165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3048 자전거 오랫만에 타려니 빡빡해요 2 자전거 2014/07/01 847
393047 쌀에 노란 가루 생긴거 곰팡이인가요? 2 쌀자루 2014/07/01 3,919
393046 연금 알려주세요 3 비프 2014/07/01 1,246
393045 혹시 82에 글 잘 쓰시는 분 추천부탁드려요. 4 교정 2014/07/01 899
393044 임플란트/브릿지 두가지 다 해보신 분 2 치과 2014/07/01 1,778
393043 매복사랑니 수술발치 했는데 별로 안아프네요. 4 발치. 2014/07/01 3,548
393042 중국산 스텐 조리도구는 왜 싼걸까요? 10 살까말까 2014/07/01 6,798
393041 朴대통령 ”국민 눈높이 맞는 분 없었다”.. 인사시스템 개선 의.. 13 세우실 2014/07/01 2,221
393040 with fbf의 뜻 3 호텔 예약시.. 2014/07/01 1,379
393039 40넘어 여기저기가 아프다는 주부님들 7 40 2014/07/01 3,802
393038 오늘 길에서 서명 받을 건데 응원 좀 19 라라라 2014/07/01 1,581
393037 2014년 7월 1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1 세우실 2014/07/01 844
393036 아이스백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아이스백 2014/07/01 1,376
393035 불 안켜지는 가스오븐렌지 방법은? 7 네모네모 2014/07/01 2,235
393034 몸무게가.....ㅎㄷㄷ 2014/07/01 2,234
393033 현관 번호키 번호가 잠시 생각이 안났어요 12 건망증 2014/07/01 4,517
393032 올해 대운이 들었다는데 싹 망한ㅠㅠ 6 강물처럼 2014/07/01 4,429
393031 국민tv 17 뚜벅네 2014/07/01 1,466
393030 종종 남편이 버는건 다 예금적금하고 아내가 버는걸로 생활비 하는.. 9 ㅇㅇ 2014/07/01 3,875
393029 매사에 뛰어난 딸아이의 절친 12 ,, 2014/07/01 4,230
393028 맛난음식 파는 5일장 시장 어디가 있을가요? 5 여행갈래 2014/07/01 1,864
393027 11살 많은 연상이랑 오빠가 결혼을 하겠다는데요 22 .. 2014/07/01 11,354
393026 법대법이라는 TV프로그램에서 대기업 회장이 비행기에서 난동부렸다.. .... 2014/07/01 1,213
393025 저 이밤에 운동하고 또먹었어요..ㅠ 9 .... 2014/07/01 1,817
393024 상추랑 깻잎이 많은데,,,, 10 ㅇㅇ 2014/07/01 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