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교육부에는 어떤 인간들이 가나요?

조회수 : 1,768
작성일 : 2014-04-16 07:57:53
교육정책 너무 이상하다고 다들 입을모아도 맨날 똑같네요
이랬다 저랬다
니트 한다더니 이명박 정권 끝나니까 안한다고 하고
Ebs 에서 문제 알려주고 수능 보질 않나
Ebs에서 알려주고 보니까 수능 영어 완전 어렵게 내잖아요
미국 고3수준이라고...
내신은 중학생은 절대평가였다 상대평가였다 절대평가였다...
이번 고딩 내신평가도 바뀐다죠?
또 작년에 수능 ab로 나눈다더니 수능 치기도 전에 번복하고

정말 교육부왜저래요?

방금 본 뉴스는 유치원5교시해서 수업을 2시까지해서 아기들이 힘들어한다는 뉴스...

교육 정책이 이건뭐 일관성이 없어요
수시로 대학 가는거 정말 비리도 많고 우연이나 운이 따라야하고
Ebs연계 폐지하고 수능 쉽게 내고 수능만으로 대학 가게 하는게 맞지 않나요 예전처럼
Ebs 연계 교재 다 사면 학생 한명당 50만원인데
전국 수능 인원이 65만명이예요

Ebs연계로 수능 알려주고 보지않으면 어렵게 낼필요없잖아요
무슨 영어 논문을 갖다 내질않나...

저한테야 어럽지 않지만 영어를 국어 수준으로 낼 필욘 없지요


교육부 정책 이랬다 저랬다 못하게 법으로 금지 시켰음 좋겠어요/

너무무책임해요
IP : 110.70.xxx.20
2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ㅁㅁㅁㅁ
    '14.4.16 8:09 AM (122.153.xxx.12)

    " 수능 쉽게 내고 수능만으로 대학 가게 하는게 맞지 않나요"


    전혀 다르게 알고 계시네요

    예전에 수시 없고 정시(수능)으로만 대학갈때 수능 엄청나게 어려웠습니다

    400만점에 200후반대만 되어도 연고대 갔었던 시절도 있어요.

    수시 늘어나면서 수능이 엄청 쉬워진거에요.

    지금은 수능 만점자도 서울대 장담 못하는 지경까지 왔잖아요.

  • 2. ㅁㅁㅁㅁ
    '14.4.16 8:13 AM (122.153.xxx.12)

    교육정책을 이래저래 바꿔되는것은 문제가 많지만

    쉬운 수능 기조는 유지되어야한다고 생각해요.

    과거에 비해 수능 난이도가 엄청 쉬워졌고

    사탐,과탐 선택과목 숫자도 엄청 줄었습니다.

    예전에는 문과생도 과탐 의무적으로 응시했는데

    지금은 사탐만 봐도 되고, 사탐 중에서도 딱 2과목만 봐도 되는 상황까지 왔어요.

    학부모들이나 수험생들은 여전히 부담이 많겠지만 예전에 비해 그래도 많이 줄어든 것은 맞는것 같아요.

  • 3.
    '14.4.16 8:38 AM (14.52.xxx.159)

    수능영어가 점점 쉽게 나오는데 무슨 말인지. 오히려 변별력이 없어서 한두개만 틀려도 1등급이 간당간당합니다. 실력이 아니라 실수를 안해야 점수를 잘 받을수 있어요

  • 4.
    '14.4.16 8:38 AM (175.223.xxx.178)

    님이 잘못아는거 아니세요? 나이가 엄청 많으시거나요 저때는 200이면 대학못갔어요 한두개 틀리면 의대가던세대라서요 대체 언제적 수능 말하시나요?

  • 5.
    '14.4.16 8:39 AM (175.223.xxx.178)

    쉬워지긴요 영어 수학 국어만 놓고 풀어보세요 그런말이 나오나..

  • 6.
    '14.4.16 8:42 AM (175.223.xxx.178)

    작년에 3개틀려도 1등급였거든요? 어제 뉴스에도 너무 어렵다고 나왔는데 ..어이가 없네요

  • 7. ㅁㅁㅁㅁ
    '14.4.16 8:42 AM (122.153.xxx.12)

    전설의 97년 수능 모르십니까?

    이과생 수학 반타작만 해도 상위클래스였어요

    근데 지금은 수능 전과목 만점자가 아주 많아졌죠

    평균 점수 자체도 엄청 올랐구요

    님한테 지금 수능이 어렵다고 남들도 어렵겠거니 하시면 곤란합니다.

    지금 엄청 물수능이라 변별력 없는 상황까지 와서 오히려 문제라고 하는 지경이에요.

  • 8. ㅁㅁㅁㅁ
    '14.4.16 8:43 AM (122.153.xxx.12)

    연도별 만점자 숫자만 봐도 바로 나오는 얘기인데

    이걸 아니라고 나한테 어려우니 남들도 어려운 거라고 우기시면 대화가 좀 힘드네요

  • 9. ㅁㅁㅁㅁ
    '14.4.16 8:45 AM (122.153.xxx.12)

    수능이 너무 쉬워져서 만점자가 많이 나오니
    변별력 주려고 과목별로 1-2문항 정도가 어려운 문항이 섞여 나옵니다.
    만점자가 많아지면 1등급이 없어지거든요.

    이걸 가지고 수능 어렵네 마네 하는건 넌센스죠.

  • 10.
    '14.4.16 8:45 AM (175.223.xxx.178)

    제가 알아야 하나요? 물수능, 님이 비교해보고 그런말하세요 영어만 다운 받으셔도 비교되겠네요

    Ebs에서 알려주고 보니까 어렵게 내는 문제가 어쩔수없이 있어요 변별력 둬야하니까.. 그런 문제가 너무 어렵다구요 어제뉴스에도 났잖아요

    알지도 못하고 태클거니까 쫌 짜증나네요

    님 97영어와 언어랑 작년꺼 다운로드 받아서 살펴보고 그런말하세요

  • 11.
    '14.4.16 8:47 AM (175.223.xxx.178)

    Ebs 에서 안알려주고보면 되닌거아니냐구요 제말은...

  • 12.
    '14.4.16 8:48 AM (175.223.xxx.178)

    만점자가 왜 많이 나오겠어요?
    문과가 과학이 없어져서 그래요 이과는 단 한명이예요

  • 13. ㅁㅁㅁㅁ
    '14.4.16 8:49 AM (122.153.xxx.12)

    제가 알아야하냐구요? 님이 잘못된 내용을 본문에 쓰셔서 그게 아니라고 말씀드린건데
    그걸 내가 왜 알아냐하냐고 하시는거에요?

    그럼 글 왜 쓰셨어요?

    잘못된 정보 알게 되면 아, 그런가보다, 내가 잘못알았나보다 하면 되지
    계속 비아냥 거리시면 뭐하자는 겁니까?

  • 14.
    '14.4.16 8:50 AM (175.223.xxx.178)

    님이 알지도 못하는 정보로 태클거는거 아닌가요? 어제 뉴스에도 났는데 우기잖아요?

  • 15.
    '14.4.16 8:51 AM (175.223.xxx.178)

    97년도 영어.. 초딩도 만점맞겠네요

  • 16. ㅁㅁㅁㅁ
    '14.4.16 8:52 AM (122.153.xxx.12)

    뭐라고 나왔는데요?

    작년 수능이 어려웠다는 것은 상대적인 의미입니다.

    그 전년도가 역대급으로 쉬워서 상대적으로 그 전년도에 비해 어려워졌다는 것일 뿐이지
    역대 수능으로 봐도 물수능에 가까웠어요

    작년에 수능 만점자 서울대 의대 떨어진것은 뉴스에서 못보셨나봐요

    뉴스를 보시는 것은 좋은데 뉴스를 좀 종합적으로 보시고 맥락을 이해하셔야죠

  • 17. ㅁㅁㅁㅁ
    '14.4.16 8:53 AM (122.153.xxx.12)

    97년도 수능(98학년도)가 역대 최고 난이도의 수능이었는데
    초딩도 만점이라니 ㅋㅋ


    분란종자도 아니고 말장난 그만하시고 가서 공부나 좀 하세요

    잘못된 정보 알게되면 아 그렇구나 하고 찾아보던가 하시지

    내가 맞거든 ㅉㅉ 하게되면 사람이 발전이 없습니다.

  • 18.
    '14.4.16 8:53 AM (175.223.xxx.178)

    정말 짜증나네요 잘알지도 못하면 태클 걸지마세요
    귀찮아서 뉴스 이야기도 못 해드리겠네요

  • 19. ㅁㅁㅁㅁ
    '14.4.16 8:54 AM (122.153.xxx.12)

    97 수능 만점자가 없는데 초딩도 만점이라니 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진짜 자기 얘기에 지적했다고 발끈해서 무리수를 막 던지시네요.

    그냥 님 말이 다 맞습니다.

    작년 수능이 제일 어려웠고 97수능은 초딩도 다 맞아요^^

  • 20.
    '14.4.16 8:54 AM (175.223.xxx.178)

    참고로 네이버 메인에 있어요 지금도

  • 21. ㅁㅁㅁㅁ
    '14.4.16 8:54 AM (122.153.xxx.12)

    적어도 님 보다는 많이 아니까 짜증내지마시고

    초딩도 다 맞는 97영어 다운받아서 풀어보세요

    할일도 없으신것 같은데요

  • 22.
    '14.4.16 8:55 AM (175.223.xxx.178)

    어이없음... 전 이만..

  • 23. ㅁㅁㅁㅁ
    '14.4.16 8:56 AM (122.153.xxx.12)

    누가 네이버 메인에 있냐 없냐 물어봤나요?

    수능에서 지금 과목별로 1-2문항씩 극도로 어려운 문항이 끼어있는 것은 맞는데

    그 원인이 수능이 너무 쉬워져서 1등급 많이 나올까봐 변별력 생각해서 1-2개씩 극강 난이도 문항을 끼워넣는겁니다.

    그 맥락을 이해 못하고, 수능 어렵네 이러고 있으면 대화가 안되죠

    최근 계속 물수능이라 변별력 없다고 비판받고 있고, 심지어 수능만점자도 서울대 의대 떨어지는 세상이에요.

    잘못된 정보를 알게 되면 좀 수용할줄도 아는 그릇을 지니셨으면 좋겠네요

  • 24. ㅁㅁㅁㅁ
    '14.4.16 8:56 AM (122.153.xxx.12)

    당연히 할말이 없으시겠죠 잘못된 내용만 말씀하시다가 다 반박을 당하시니.

    잘 가세요.

  • 25.
    '14.4.16 9:06 AM (39.7.xxx.82)

    누가 틀린정보로 난리인데요
    뉴스까지났고 아이들이 5000명이나 댓글로 어렵다하고 무슨 말인지도 모른다는게 베스트에도 있는데 무슨 맥락요
    님이나 제글 맥락이나 잘 읽어요

  • 26. ...................
    '14.4.16 10:06 AM (58.237.xxx.3)

    97년에 여동생이 재수해서 잘 알아요.
    이과 수리영역 곡소리났었고요, 문과 수리영역은 반면 쉬웠어요.
    이과 여동생은 시험치고 화나서 울고불고했고요.
    저는 문과라 문과쪽 문제 쉽게 풀어봤어요.
    그만 싸우셔요.

    우리나라 교육가라는 사람들이 사회복지나 아동쪽이나 교직쪽도 아니고
    행정쪽 사람들입니다.
    그러니 사람을 보는게 아니라 인원대비 얼마 이런 수식적으로 계산하기에
    도덕윤리 뭐 이딴건 개나 주게 되는거죠.
    고등학교때 배운 화학, 물리, 생물이 저는 살면서 두고두고 도움되요.
    지금 얘들도 이런 것에 대해 깊이 배울 수 있으면 좋겠어요.

  • 27. ...
    '14.4.16 10:37 AM (112.155.xxx.72)

    수능 난이도 보다 더 심각한 게
    교육 정책의 방만함이죠.
    대통령 바뀔 때 마다 바뀌는 게 교육 정책인데
    교육 쪽에서 일해 본 제 친구 말에 의하면
    대통령이 새로 되고서 뭔가 업적은 세워야 하고
    다른 부서들의 사안들은 손쉽게 손 댈 수 있는 게 아니고 하니까
    제일 먼저 손 보는 게 교육 정책이라고 하더라구요.
    생색도 낼 수 있고 실행하기도 쉬우니까.

    그런데 역대 대통령들 중 최대 망작 교육 정책은 이명박 때 인 것 같아요.
    커리귤럼 너무 이상하게 돼고
    수시로 특혜 받고 학교 가는 애들이 너무 많아지고
    수능은 ebs에서 다 내게 해서 ebs 때돈 벌고.
    저는 이명박과 ebs 사이에 뒷돈 거래가 있지 않았을까 짐작해 봅니다.
    그 분은 돈 생기지 않는 일은 절대로 하지 않으시는 분이시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4845 뉴스타파에서 침몰직전 박수현군이 찍은영상 편집없이 보여주네요 9 꼭보세요 2014/04/29 1,475
374844 오늘 국무회의 있습니다 사과 비슷므리 할까요? 14 쥐를품은닭 2014/04/29 955
374843 참교육학부모회에서 오늘자 한겨레 경향 광고 내용. 7 참학 2014/04/29 1,417
374842 국민티비 라디오 들으세요 8 --- 2014/04/29 636
374841 아이와 여행을 해볼까 합니다. 도움이 될까요? 12 어제 남편의.. 2014/04/29 1,588
374840 박근혜 대통령 10여일 지나도록 사과없어…청와대 책임지는 모습 .. 6 세우실 2014/04/29 848
374839 김용민의 조간브리핑(14.4.29) - 朴정부, 언론통제 이어 .. 3 lowsim.. 2014/04/29 864
374838 세월호 故 박수현 군 핸드폰 동영상 4 잊지맙시다 2014/04/29 2,075
374837 손석희, 나흘째 같은 옷 화면 캡춰기사 3 진심 2014/04/29 2,379
374836 세월호 희생자들을 위한 진정한 추모 ... 2014/04/29 575
374835 "朴대통령 측근 정윤회, 박지만씨 미행지시" .. 4 기사 2014/04/29 2,364
374834 오늘 팩트티비 생방 없나요? 팩트티비 2014/04/29 261
374833 신의 선물 마지막회 꼭 보세요. 현실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습니다.. 9 ... 2014/04/29 2,101
374832 실종 학생 오전 10시17분까지 카톡 전송 2 세월호참사 2014/04/29 1,203
374831 상식적인 82분들에게 또.또.또 오늘도 거듭 부탁 드립니다(20.. 40 몽심몽난 2014/04/29 3,209
374830 인양 문제요... 1 흑흑 2014/04/29 419
374829 외국은 현장 지휘관에게 모든 결정권을 준다고 하는데 3 총체적 난국.. 2014/04/29 425
374828 ”가족 행세하는 선동꾼들..” 세월호 악플러 입건 2 세우실 2014/04/29 687
374827 뉴욕타임스, 박근혜 대통령이면 안되는 이유 靑 게시판 보도 light7.. 2014/04/29 1,356
374826 오유펌. - 입 닥치게 한 한 마디 17 에효 2014/04/29 4,951
374825 손가락 골절에 대한 의문 16 의료 2014/04/29 4,513
374824 시사통 김종배(4.29am) - 이런 사과는 필요없다 lowsim.. 2014/04/29 644
374823 청와대 게시판-펌) 와...진짜.... 1 .... 2014/04/29 2,004
374822 이상호기자ㅡ삼풍백화점 6 2014/04/29 2,806
374821 다음에 뜬 박성미 감독 기사들.. 이거 누굽니까?? 8 구역 2014/04/29 3,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