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동산 毒’ 퍼지는 대한민국…고령층 부동산 보유 비중 높아 충격에 빠질 수도

..... 조회수 : 1,795
작성일 : 2014-04-07 12:38:02
베이비부머(1958~1963년생) 세대들의 상당수가 부동산에 자산 대부분이 묶여 있어 ‘부동산 독’(毒) 때문에 자칫 큰 충격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주상철 국민연금연구원 연구위원은 7일 ‘고령화 시대의 가계자산관리’라는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가계는 대부분의 자산을 부동산 등 실물자산으로 보유하고 있어 부동산 가격 하락시 적지 않은 충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며 이처럼 밝혔다.

주 연구위원은 “부동산 편중 현상이 지속되면 자금 유동성을 축소시켜 다른 금융자산 투자의 제약 요인이 될 수 있다”며 “부동산의 일부를 매도해 유동성을 확보하고 노후 소득의 원천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독에 대한 우려감은 ‘부동산 불패 신화’가 끝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가계자산의 부동산 편중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통계청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2013년 기준 한국의 가계자산 중 실물자산 비중은 73.3%(부동산 비중 67.8%)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특히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나이가 들수록 높아져 50대 중반 이후 가구주의 경우 80%를 웃돈다.

최근 제자리 걸음이나 뒷걸음질을 치고 있는 한국의 주택가격은 앞으로 더 심한 하락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고정적인 수입이 없는 고령층이 생계유지를 위해 주택을 팔아치우면서 그나마 주택가격 수요ㆍ공급곡선이 깨져, 가격이 더 추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60대 이상 가구의 부동산 평가액은 2006년 2억7000만원에서 2012년 2억원으로 감소했다. 금융자산을 포함한 전체 자산도 같은 기간 3억2000만원에서 2억5000만원으로 줄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전문가들은 “부동산 불패 신화가 끝났다는 점을 앞으로 노후 대비에 참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여기에 고령화의 악(惡) 순환은 계속돼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부동산 독 현상이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고, 주택가격 하락폭은 더욱 깊어질 수 있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10년 11% 수준인 한국의 65세 인구 비중은 2060년께 40.1%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전문가들은 고령층이 부동산을 금융자산으로 더욱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주택연금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제언한다. 주택연금은 고령자가 본인 명의의 주택에 대해 담보 및 대출 계약을 체결한 뒤 사망할 때까지 금융기관으로부터 일정 기간마다 연금 형태의 금액을 받고 사망 후에는 담보로 제공된 부동산을 처분해 상환하는 제도다
IP : 221.152.xxx.123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문
    '14.4.7 12:38 PM (221.152.xxx.123)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40407000141&md=20140407091912_BG

  • 2. 정보의 소스
    '14.4.7 12:43 PM (221.152.xxx.123)

    국민연금연구원 연구위원
    통계 청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 3. .........
    '14.4.7 1:20 PM (175.214.xxx.25)

    저도 오늘 시세보다 3천 싸게 매도했어요.
    2009년 매입시보다 1억 1천이 빠졌고,중대형 평수,세입자 기간이 남아있어 실수요자들 몇 놓치니
    걍 팔아버리지자,세입자에게 팔아버렸는데 가슴이 먹먹해요.
    아이들 교육비 등 큰 지출들이 기다리니 손해보더라도 팔아서 은행권에 맡기는게 낫지싶어서요.

    부동산에 묶여있는 연세드신분들,세금 내기도 빠듯하신분들은 약간 손해보더래도 매도하는게 나을것같아요,
    지금 상황이 오래가면갔지,오를것 같지도않고,나중에 금리 오르거나,악재들이 나오면
    통째로 집 넘어가는 사람들 생길수도 있을거에요.집값 폭락에 대출낀집들이 위험하죠

  • 4. //
    '14.4.7 1:39 PM (221.152.xxx.123)

    저도 하도 답답해서 올린 글이랍니다.
    저희는 2012년에 반짝 올랐을 때 제가 이런 저런 정보를 들으니 앞으로 내릴거라는 여러곳에서 들을 수 있었어요.
    그래서 팔고 전세로가가자 저흰 어머님이 집을 저희 주시기로 했기 때문에 조만간 2주택이 될거라서 대비차원에서 남편이 밍기적거리는 사이에 많이 내렸어요. 작은평수(32평)이긴하지만 그 때 보다 내렸습니다.
    지금에야 팔자고 해서 부동산에 내 놓은지 2개월정도 되어가는데 집보러 오는 사람이 없습니다.
    지금이라도 시세(부동산사무실에서 말하는 시세) 보다 몇 천 내려서 내놓자 하니 또 밍기적거리네요. 매도 할 생각이 있으면 좀 저렴하게,,, 매입할려면 시세보다 높게 이게 정석인데...
    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1840 교신관련 다른글들도 지워지네요 3 다른글 2014/04/20 1,887
371839 오늘 고속터미날 정체 아시는 분? 6 ... 2014/04/20 3,316
371838 김준현 고뤠? 안 돼! 그 코너 생각나네요 2 개콘 2014/04/20 1,256
371837 태안반도 기름유출때 노무현대통령의 재난지시영상이에요 15 ..... 2014/04/20 3,868
371836 우리가 해난 사고에 대해서 대책 세우라 1 ㅇㅇㅇ 2014/04/20 907
371835 이종인씨 다이빙벨 실고 진도 가는 중 13 아정말 2014/04/20 5,151
371834 민간 잠수부들 자원봉사인줄 아시는 분들이 많군요 63 잠수 2014/04/20 16,131
371833 실종자가족의 분노..'아이들 목소리가 안들리나?' 분노 2014/04/20 1,211
371832 단원고 단톡방을 보니 10시45분까지도 톡했네요. 12 ㅇㅇㅇ 2014/04/20 6,375
371831 BBC 기사에 경찰이 학부모님들 막아서고 있는 사진 대문짝만하게.. 27 이게 무슨 .. 2014/04/20 3,779
371830 외국이여서 한국 뉴스 못보시는 분들... 1 zz 2014/04/20 1,076
371829 3등항해사는 죄가 없는거에요? 8 참나 2014/04/20 2,352
371828 돌았네..... 실종자 상황판 앞에서 기념사진 3 참나 2014/04/20 2,262
371827 배 안 생존자들 데리고 나오는 방법 궁금하시죠? 소금호수 2014/04/20 1,546
371826 강남의 구정고나 현대고 경기고였더라면 64 ... 2014/04/20 18,039
371825 아래 안산은 서민이 사는 곳 (주요 내용) 13 ㅇㅇ 2014/04/20 4,606
371824 똑같은 개소리좀 그만했음하네요 9 뉴스 2014/04/20 1,567
371823 미 잠수함 거론하면 엄중처벌해? 15 미친것들 2014/04/20 3,150
371822 현장 생방송 '세월호 침몰현장' 팩트TV + 고발뉴스 합동방송 3 lowsim.. 2014/04/20 1,203
371821 격과 급이 다른 손석희뉴스...... 3 참맛 2014/04/20 2,952
371820 지금의 대통령이 노 대통령이라면 14 조중동이 얼.. 2014/04/20 2,831
371819 동에번쩍 서에번쩍 홍가혜 7 에휴 2014/04/20 3,329
371818 안산은 서민이 사는곳 10 아고라 2014/04/20 4,410
371817 지금 jtbc...ㅠㅠ 산이좋아 2014/04/20 2,622
371816 jtbc에서 3 .. 2014/04/20 3,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