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맞벌이 부부의 금전관리 문제요...

한숨만 조회수 : 3,326
작성일 : 2014-04-03 12:15:13

맞벌이 부부일 경우 금전 관리 어떻게 하시나요?

 

저희는 여러 방법 해보다가 요새는 신랑월급통장에서 이거저거 나가게 되어있고

제가 받는 월급을 그 통장으로 이체시켜서 쓰고

용돈은 따로 없어요

 

그런데 신랑은 자기 버는 돈의 1/3은 어디에 어떻게 쓰던지 상관안했으면 좋겠다해요

신랑이 소비성향이 좀 있어서 잘 지르는 편이거든요

그런것들 사는데 저랑 상의안하고 그냥 사고 싶다는거예요

작게는 50이상 크게는 몇천만원 자동차요...

 

다른 분들은 재정관리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해요

IP : 183.109.xxx.3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희는
    '14.4.3 12:22 PM (61.253.xxx.36)

    각자 수입에서 공동 생활비 반씩 내서 통장에 넣어두고
    공동적금 만씩 내어서 적금.보험등 들고 있고요.
    비상금(행사나 경조사 등등을 위한) 통장에 반씩 넣고 있고
    나머지 수입은 각자 용돈.통신비등 내고 각자 따로 저축하든 다 써버리든 맘대로 합니다.

  • 2. 저희는
    '14.4.3 12:23 PM (61.253.xxx.36)

    생활비 통장에서 늘 돈이 남아서 비상금 통장으로 이체 시켜요.
    반씩 내는건 공동재산이고 나머진 각자의 재산이 되는거죠.

  • 3. 저희는
    '14.4.3 12:24 PM (114.202.xxx.97)

    100% 오픈이예요.
    일단 제 수입은 다 저금해요. 제가 더 벌기도 하고요.
    신랑 수입은으로 생활비 써요. 적금도 들고요. 자동이체 되는 것도 신랑 통장으로 해놨고.

  • 4. 지나가는사람2
    '14.4.3 12:25 PM (210.104.xxx.130)

    젤 좋은 것은 다 모아서 통합관리하는 것이죠. 빨리 모으려면 급여명세서부터 서로 까고 예산 세워서 가야합니다. 합쳐서 500이면 이중에서 기본으로 빠져나가는 세금이나 보험/연금 150, 생활비 250, 용돈 각 50 뭐 이런식으로 해야죠.

    그리고 정확한 예산을 위해선 몇개월 정도 나가는 돈들을 일일히 다 기록해보세요. 그럼 어디서 돈이 새는지 알수 있어요. 항상 체크하면 질리니까 몇개월만 하시고 난다음 각자가 필요한 쌈짓돈을 가늠해보세요.

  • 5. 맞벌이해서
    '14.4.3 12:32 PM (115.136.xxx.94) - 삭제된댓글

    돈 펑펑 쓰고싶은게 목적이면 원글님네처럼하는거고
    돈모으고 싶으면 위에 저희는님처럼 하는거죠..

  • 6. 머그...
    '14.4.3 12:35 PM (58.225.xxx.25)

    맞벌이라고 해도 둘 다 월 기천만원씩 버는거 아니면 모아서 관리하는게 돈 모으는데는 도움이 되요.

    윗분 말씀처럼...
    돈 모으는게 목적이면 통합해서 함께 관리하는게 낫고
    개인적으로 원하는 소비를 마음껏 하고 사는게 목적이라면 각각 따로 관리하는게 낫겠죠.

  • 7. ...
    '14.4.3 12:39 PM (1.240.xxx.105) - 삭제된댓글

    주위를 보니까 맞벌이를 하더라도
    여자가 전체관리를 하는집이 돈이 모여요.
    사람나름이라고 말하면 할말 없지만요.

  • 8. 확실한 건
    '14.4.3 12:40 PM (210.94.xxx.167)

    공동 생활비 내고, 나머지 자기가 관리하고.. 이런건 절대 돈 못 모읍니다.

    저도 몇년 그렇게 루즈하게 살다가 정신 확 차리고 바꿨네요..

    남편이 말하시는 용돈(본인 수입1/3)은 용돈이라고 하기는 너무 크네요..

    딱사고치기 좋을 듯 해요

  • 9. 돈 모으기는 어렵지요
    '14.4.3 12:45 PM (211.114.xxx.233)

    그냥 쓰고 살자는 생각이면 그냥 그렇게 살아도 좋지만, 아무래도 돈 모으기 어렵지요. 남편 저러는데 나만 아둥바둥 모르기도 짜증나고...

  • 10. 원글
    '14.4.3 12:55 PM (183.109.xxx.3)

    댓글보고 생각해보니 가치관의 차이때문이네요...
    저는 차곡차곡 모으고 싶고
    신랑은 모으기만 하고 언제쓰냐 하고 싶은거 쓰면서 살아야지 주의니
    의견차이가 생길 수 밖에요...

    신랑저러는데 백화점가서 10만원짜리 사는데도 고민고민인게 짜증나는게 사실인데
    또 같이 쓰고 살수도 없고...

  • 11. 음.
    '14.4.3 12:55 PM (175.204.xxx.228)

    전 남편카드로 생활하고 ..
    현금은 백정도 받고. 현금생활비.
    나머지는 제 월급으로..

  • 12. ..
    '14.4.3 12:59 PM (222.110.xxx.1)

    저희도 각자관리하는데, 돈 진짜 안모여요.
    그리고 일단 저는 1년에 3천만원정도 모았는데, 남편은 뭘하는지 통장잔고에 100만원도 없더라고요.
    맨날 돈없다고 돈좀달라그러는데 짜증나서 미치겠어요.
    원글님이 휘어잡고 돈관리 하세요 제남편같이 돼요.

  • 13. 8년차
    '14.4.3 1:09 PM (113.216.xxx.179)

    둘이 한도없이 오픈하고 쓰고
    카드값, 관리비 다 빠진후 남는돈 한통장으로 모아요

  • 14. 남자들
    '14.4.3 1:13 PM (124.50.xxx.131)

    맞벌이하면 주변에서도 밥값부담도 쉽게 지우고 남자들 허세성향이 있으면 이것저것
    취미활동에 돈 못모아요.저도 맞벌이 할때보다 외벌이할때 더 돈을 모으고 일단제가 관리하는데,
    술 좋아하고 친구 좋아하고 이것저것 따지지 않고 인심 후한 남편한테 일년에 한번씩 가게부
    정리한것 보여주고 앞으로 몇년후면 얼만큼 모아 뭘하자라고 계획을 세우니 남편도 구체적으로
    돈쓰는거에 신중해지더군요.21년차.....요즘 슬슬 선배들 퇴직후 얘기들어보니 그동안
    구두쇠노릇하며 깐깐하게
    돈 썼던 지인들은 상당히 모았고 골프며 온갖 취미에 해외여행 자주 다녔던 분들은 난감하다고 후회하고 ..
    그러더군요. 맞벌이어도 육아,교육비에 후하게 비용을 들여서인지 그다지 차이가 안나네요.
    지금부터라도 계획을 세우세요.

  • 15.
    '14.4.3 1:23 PM (223.62.xxx.126)

    한사람 월급으로 생활하고 다른 사람 월급은 모두 저축해요

  • 16. 제주변
    '14.4.3 1:36 PM (58.225.xxx.25)

    제 지인 중에 같은 직업으로 맞벌이 하는 부부가 있었는데 직장 위치상 장거리 생활을 몇 년 하는 동안에는 한동안 각자 관리를 했었어요. 연애도 오래 했던 터라 서로에 대해 잘 알고 있었구요. 장거리 부부 생활을 청산하고 함께 살면서 집을 사야할 일이 생겨 이제 서로의 자산을 공개했는데(연봉은 서로 대충 알고 있었음) 남자분이 돈을 거의 못모았더라구요. 살림살이는 부인이 갖고 있었고 남자분은 말 그대로 자취하듯 살았었는데 돈이 없음. 여자분은 싱글 때부터 알뜰한걸로 유명했던 분이라 연봉을 열심히 모아놨었는데 남편의 자산 상황을 알고 제게 그 하소연을 엄청 하셨었어요. 도대체 돈이 어디로 다 흘러간건지 알 길이 없다고...시댁에 몰래 보내드린걸 감안해도 모아놓은 돈이 너무 없다구요. 서로 한동안 장거리로 따로 살았으니 그 때의 사생활을 이제와서 파악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하지만 사람들은 맞벌이니까 둘이 모아놓은 돈이 많은줄만 알더라구요. 각자 관리하면 남자들은 싱글 때처럼 편하게 생활하고 여자들은 목돈 모으기, 육아 비용에 치여서 짠순이로 사는 경우가 종종 있더라구요. 억울하죠.

  • 17. ㅡㅡ
    '14.4.3 1:42 PM (223.62.xxx.126)

    남자들 돈 새는거는 주로 시댁, 주식이죠. 주식도 중독되거든요

  • 18. 각자 괸리해도
    '14.4.3 1:53 PM (61.253.xxx.36)

    공동 저축액은 있어야죠.집살돈 마저 각자 관리 한다는건 있을수 없어요.
    저와 남편은 세상 없어도 공동 적금만큼은 반반씩 생활비도 반반씩...
    보통예금도 공동으로..
    나머짐 각자 용돈하고 알아서 저축 하든지 써버리든지...
    성과금 같은건 서로 오픈하고 차나 가전제품등 덩치 있고 가격 좀 되는거 살때 씁니다.

  • 19. ..
    '14.4.3 2:32 PM (115.178.xxx.253)

    집 있고, 노후준비 되어있고, 아이들 학자금 걱정안할 만큼 현금 있으면

    지금 패턴대로 하셔도 됩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면 잘 관리하셔야 됩니다.

    통합관리해야 돈 모아져요.
    그리고 남편분 급여를 모르니 1/3이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지만
    과하다고 생각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2877 월세 보증금 월세 2014/04/23 852
372876 다른 나라들은 이정도는 아니죠??? 14 rjk 2014/04/23 2,252
372875 임신중 손목이 시려요(어찌하나요) 4 33 2014/04/23 1,244
372874 오보와 거짓말.. 늙은 잠수부의 눈물 4 열정과냉정 2014/04/23 2,920
372873 분향소 언제까지 운영될까요? 7 질문 2014/04/23 3,913
372872 리얼 미터 너희들 일 똑바로 해라 ***** 2014/04/23 765
372871 허위사실 유포에 관해 항의전화 했습니다. 14 ... 2014/04/23 2,572
372870 박근혜정부는 고유명사다. 띄어쓰지말고 붙여써야 한다 4 참맛 2014/04/23 1,029
372869 일독을 권합니다..."선장 한 명 탓인가, 그래서 세상.. 3 크크씨 2014/04/23 1,070
372868 시사통 김종배입니다(14.4.23pm) - 한 게 뭐있다고 ‘삥.. lowsim.. 2014/04/23 983
372867 같이 분향소 가실분 계신지요? 8 불굴 2014/04/23 1,721
372866 허위사실 유포죄 없다니 안타깝습니다 3 조작국가 2014/04/23 1,001
372865 세월호 침몰했는데, 선박관련 규제 완화하겠다는 정부 10 세우실 2014/04/23 1,122
372864 남편의 문자 27 ... 2014/04/23 16,841
372863 청와대 이정현이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 61 울먹 이정현.. 2014/04/23 15,405
372862 법원 “박원순 시장 아들 병역비리 의혹은 명예훼손” 2 /// 2014/04/23 1,102
372861 동생이 폭행당했는데요.. 경찰에 고소할때 궁금합니다. 4 .. 2014/04/23 2,201
372860 민간잠수사 뒤늦게 투입 …특정 업체와 유착 의혹까지 6 참맛 2014/04/23 1,708
372859 '허위사실 유포죄'라는 건 없다고 합니다. 쫄지 맙시다! 14 마음글 2014/04/23 2,369
372858 우리나라 제일 부자는 목사라 하더만 맞았군요 10 rrr 2014/04/23 3,965
372857 에어포켓 확인 못 해 21 ..... 2014/04/23 3,329
372856 [펌] 대한민국호는 이미 침몰 중이었다 2 oops 2014/04/23 1,334
372855 분향소 다녀왔어요 7 아 대한민국.. 2014/04/23 3,469
372854 미국 유학생 병원비 3 노란리본 2014/04/23 2,017
372853 ㅈㅁㅇ 인간의 내사가 반갑지 않은 이유는.. ㅡㅡ 2014/04/23 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