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면요린 후루룩~ 먹는 게 당연?? 짜장면은?

후루룩 조회수 : 1,611
작성일 : 2014-02-14 11:10:58
생각 보다, 면 요릴 후루룩~ 주변에 다 튀겨대며 먹는 걸 당연시 하는 사람들이 많아 놀랐네요. -_-;;

http://www.82cook.com/entiz/read.php?bn=15&num=1755602&page=1&searchType=&sea...

신경 안 쓰면 된다, 까다롭다, 본인 기준에 남을 맞추려 든다..는 황당한 주장은 물론,
지랄도 풍년 개오지랖 등의 욕까지 한 몰상식한 것들까지;;;

그 사람들은 정말? 후루룩 거리는 그 국물이 상대방에게, 밥상 위 다른 반찬들에 등에 다 튄다는 걸 모르는 걸까요?
후루룩거리는 소리가 문젠게 아니라 튀는 국물이 문제라는 걸...
하여 함께 밥 먹는 다른 사람들에게 폐가 된다는 것도 진정 모르는 걸까요??

혼자서야 후루룩 거리든 짭짭쩝쩝 거리든 질질 흘리든.. 추접한 어떤 식습관을 갖고 있든 말든,
타인인 그들의 잘못된 식습관에 참견할 생각 전혀 없습니다.만.
함께 먹는 자리에서 그 몰상식한 행동으로 내게 음식물 파편을 날려 피해를 준다면.. 문제가 달라지죠.
면요린 후루룩~ 소릴 내며 먹는 게 외려 예절이라 주장한 분들. 한국은 그런 예절 가졌던 적 한 번도 없습니다.

후루룩~이 예절인 일본과 중국은, 한국과 달리 밥그릇을 들고 먹는 식문화를 갖고 있고,
밥그릇을 입에 붙이다 싶이 가까이 두고 먹기에,
상대적으로 주변에 튀는 일도 적어요.
물론, 커다란 용기에 담긴 뜨거운 면요리까지 들고 먹는 건 아니지만..
과거, 각 가정에서 사용하던 개인 면기들은 지금의 식당용 처럼 크지 않았고,
하여, 후루룩 거리는 관습도 생겼을 거라 생각합니다.
더불어, 면 요린 후루룩~ 먹어야 제 맛이다, 후루룩 거리지 않고 어찌 먹느냐던 사람들은,
혹시? 짜장면도 다 튀겨대며 후루룩~ 먹는지?

짜장면 얘기가 나온 김에 하나 더 말해 보자면...
짜장면 먹을 때, 유독, 흥건한 국물이 생기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자기 말론, 체질 탓이다...라지만??? 실상은, 지저분한 식습관으로 인한 경우가 훨씬 더 많을 겁니다.

후루룩~거리며 국물 튀는 사람도 싫지만, 면 끊어 먹고 그 끊은 면 그릇에 다시 풍덩풍덩 담그는 사람들은 더 싫어요;;;
보고 있기 심히... 괴롭습니다;; 한 마디로 웩~스럽다는;;;
헌데, 짜장 먹으며 흥건한 국물 만드는 사람들 대부분의 공통점이, 그렇듯 면을 끊어 먹는다는 겁니다.

그래놓곤 체질 탓을 하죠. 자신이 지저분하게 먹는 게 아니라, 자기 체질이 유독 국물을 만든다고.
뭐, 실제 체질 탓에 그런 분들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모르긴 몰라도, 국물 만드는 대부분의 사람들..
그 지저분한 식습관 바꾸는 것만으로 흥건하던 국물.. 더이상 볼 수 없을 걸요?!

제 경우, 한 번 젓가락질 해 올린 면은 다시 그릇에 내려 놓지 않는 사람으로, 그래서 짜장에 국물 전혀 안 생기는 사람입니다.

체질체질 거리는 사람 만난 후 실험을 해봤었어요. 그 사람 말대로 정말? 나는 국물이 생기지 않는 체질인가?? 궁금해서요.
집에서 짜장면 배달 시켜 놓고,
열심히 열심히 면을 끊어 먹어 봤습니다. 그릇에 떨군 면 휘휘 저어 짜장 묻혀 다시 입으로...
그 이전에 한 번도 생기지 않던 국물... 흥건히 고이는 거 보고;;;;;;;
내가 만든 국물이지만 웩 스러워 먹는 걸 포기;;;;;;;;;;
혼자서야 또 어떤 기행이든 이해하고 수용해 주는 가족하고서야.. 어찌 먹든 말든 개의치 않을테니.
부디 제발. 타인과 함께 먹을 땐... 후루룩 거리며 국물 튀기지 말아 주세요들.
짜장면 끊어 휘휘 섞어 먹음으로 웩 스런 비주얼 연출도 말아 주시고요.

분명히 말 하지만... 폐가 됩니다. 엄청.
IP : 203.226.xxx.107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소리나 국물튀는건
    '14.2.14 11:15 AM (61.35.xxx.105)

    싫을 수 있습니다만, 왜 남이 먹는 그릇은 쳐다보고 싫다 어쩐다 하시는지? 전 저 먹는데 바빠서 그런거 신경쓸 틈 없던걸요. 그냥 혼자 드세요. 후루룩 소리안내고 먹으려고 저도 연구해봤는데 결국 숟가락에 얹어서 먹는 방법 밖에 없더만요. 그정도면 먹는 중에 뭐 싸는 소리보다는 낫다 싶어서 감수하고 먹어야지 다들 굶어 죽겠어요.

  • 2. @@
    '14.2.14 11:18 AM (124.49.xxx.19) - 삭제된댓글

    님은 절대로 님이랑 면요리 먹지 마시구랴,, 소리를 지나치게 내는건 듣기 싫은거 알겟는데
    남하고 같이 먹는것도 아니고 내 음식 내가 먹는것도 남 눈치 보기 생겻으니,,,
    국수든 자장면이든 면요리 먹으면서 끊어먹는게 일반적인데 그게 추잡스럽다니,,
    혼자 드세요..속편하게..

  • 3. ㅎㅎㅎ
    '14.2.14 11:21 AM (175.209.xxx.70)

    같은 내용을 쓰더라도
    공감가게 쓰는 글이 있는가하면
    원글처럼 혼자 흥분해 날뛰면서 참 밉상맞게 쓰기도 하네요

  • 4. ^^
    '14.2.14 11:22 AM (210.98.xxx.101)

    우리나라에서는 음식 먹을때 소리를 내지 않는 게 예절이라는 거 알아요. 그래서 저도 소리 안내고 먹으려고 노력하죠. 근데 그렇다고 같이 식사하는 사람의 식사예절까지 따지진 않아요. 그냥 소리를 내는 구나...좀 지저분하게 먹는다...딱 그 생각만 들지 그 이상의 생각은 안들거든요. 근데 엄청 따지고 신경쓰는 사람들이 많군요.

  • 5. @@
    '14.2.14 11:23 AM (119.67.xxx.75)

    저는 적어도 하루에 한 번은 면요리 먹어요.
    저도 습관이 님 같아요.
    후루룩 소리 싫고 끊어 먹는 것도 싫어요.
    근데요, 그건 내 취향인거고 남이 먹는거 진.짜,로.더럽거나 실례되는 행동 아니면 그냥 넘기세요.
    국물이 뛰어도 당사자에게 먼저 튀고 님보고 그 끊어 먹은거 먹으라 않 해요.
    확실한 범법 행위도 아니고 그 행동으로 큰 피해 보는거 아니면 그냥 좀 넘깁시다. 쫌!!!!!!!!!!!!

  • 6. 거슬리기
    '14.2.14 11:26 AM (112.152.xxx.173)

    시작하면 거슬리죠
    신경 안쓰고 같이 후루룩 거리면 옆사람이나 좀 괴롭고 말겠죠

    한국사람은 밥먹을때 소리 안내는게 예의다 하는데
    말한마디없이 먹는데 집중해서 소리하나 안나는것도
    겪어봤지만 고문당하는 느낌이었어요

    저는 그냥 적당히 소리는 좀 내는걸로....물론 적게 내려고 노력은 하는걸로..

  • 7. 동감
    '14.2.14 11:32 AM (114.203.xxx.29)

    맞는말 하셨어요
    근데 공감을 이끌기엔 말을 안이쁘게 하셨어요^^

  • 8. ...
    '14.2.14 11:41 AM (220.78.xxx.36)

    이상한게 젓가락질 잘 못하면 엄청 나게 지적하고 고치라는둥 하면서
    저 면요리 먹는건 좀 그러네요
    저 후루룩 하면서 먹으면 그 국물이 다 사방팔방 튀어요
    그래서 전 싫어요 아주 소리 안내면서 먹는건 어려울수 있으니 좀 조심조심 먹자는 거겠죠

  • 9.
    '14.2.14 11:43 AM (117.111.xxx.103)

    전 신경안쓰지만 후루룩거려서 국물튄다고 싫어하는 것까진 이해하겠는데 끊어먹는 것까지 뭐라는 건 좀 심하네요. 나한테 같이 먹자는 거 아니면 남이 자기 그릇에 흥건한 국물을 만들건 말건 뭔 상관인지.. 도대체 국수면발 끊어먹는 걸 비매너라는건 듣도보도 못했네. 참 이정도로 예민한것도 큰일이네요.

  • 10. 그냥
    '14.2.14 11:46 AM (180.65.xxx.29)

    여자들이랑은 면요리 먹으면 안될듯 해요. 밥을 안먹어야 하나...같은 여자지만 배울점도 여기는 많이 있지만
    까탈스러운 사람 너무 많아요

  • 11. 아.
    '14.2.14 11:53 AM (137.147.xxx.146)

    라면 먹고 싶다.

    저리 살면 스스로 많이 피곤할텐데, 식사는 하셨어요?

  • 12. ??
    '14.2.14 11:58 AM (112.156.xxx.10)

    역시 본인과 아무 상관없는 젓가락질도 지적하는데, 면먹는건 왜 지적 안되나요?
    후루룩 소리내면서 끊어 먹는것도 예의에 어긋난 것 맞는데요.

  • 13. 젓가락질 지적도
    '14.2.14 12:02 PM (180.65.xxx.29)

    싫어해요 왜 젓가락질 지적하냐고 밥안흘리면 되지 않냐고....면요리 숟가락에 올려서 먹는게 정석인가요?
    아니면 둘둘 말아서 파스타 처럼 먹어야 하나요? 아님 면 작게 잡아서 입에 소리 안나게 차곡 차곡 접어서 넣어야 하나요? 아니면 일본 ,중국 처럼 그릇 들고 먹어야 하나요? 정석이 뭐죠?

  • 14.
    '14.2.14 12:06 PM (117.111.xxx.103)

    라면광고 보셔서 아시겠지만 그 후후룩 소리도 싸고 편하고 격식없이 한끼 떼우는 소탈한 음식이라는 라면이 가지는 이미지 중 중요한 부분이죠. 식습관 중 뭐가 거슬리고 안 거슬리고는 사실 문화적 선택에 좌우되는 거지 절대적으로 옳고 그른게 있을까 싶어요. 수저 위에 살살 면발 갈무리해서 한입에 쏙넣고 오물거리며 먹는 사람이 있다면 아이고 참 얌전뺀다 혹은 라면 참 맛없게 먹네 이렇게 보일수도 있다는 거죠.

  • 15. 으이그
    '14.2.14 12:44 PM (211.178.xxx.40)

    괜히 클릭했네~~

  • 16. -_-
    '14.2.14 1:21 PM (219.253.xxx.66)

    그냥 똥을 싸놓으신 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4991 실비가입시 기존 종신보험에 특약으로 추가하는거 어떤가요? 4 실비 2014/02/26 830
354990 비빔면, 쫄면을 안 밉게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3 안맵게 2014/02/26 1,401
354989 영어유치원입학금 10 원글 2014/02/26 1,857
354988 연아 소치 프리 유툽 어디서 볼 수 있나요? 5 -- 2014/02/26 577
354987 연아와 오서 62 스피릿이 2014/02/26 11,936
354986 남양주시 인문계고등학교 비평준화지역인데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요?.. 9 강사 2014/02/26 3,151
354985 읽어봐주오 도움 될거요 1 겨울 2014/02/26 440
354984 경찰대 입학식 4 인디고 2014/02/26 2,196
354983 학원과 아파트 공부방과의 차이점 5 최선을다하자.. 2014/02/26 5,059
354982 82님 제발 주택담보대출 특판 좀 알려주세요 햇살가득30.. 2014/02/26 428
354981 나뭇가지를 물에 담그면 뿌리가 나오나요? 2 ... 2014/02/26 1,014
354980 하루차이로 면접을 두 곳 보게 될 거 같아요. 1 고민 2014/02/26 628
354979 도로연수 원래이런거에요? 11 ?? 2014/02/26 3,609
354978 지난 주말이 환갑이셨데요... 13 환갑 선물 2014/02/26 3,757
354977 양념통들 대부분 씽크대 위에 두고 쓰세요? 11 질문 2014/02/26 3,541
354976 엄마 보톡스.... 5 2014/02/26 1,698
354975 구스다운 침구 사용 중이십니까? 8 에구 머리야.. 2014/02/26 12,090
354974 전기레인지 사용법 좀 여쭈께요. 10 전기레인지 .. 2014/02/26 2,604
354973 한국장학재단에 학자금 신청한뒤 학교에서 1학기 장학금받는데..... 3 ... 2014/02/26 1,314
354972 친정엄마보다 더 친한 시어머니 8 시어머니 2014/02/26 3,107
354971 77세 노인이 가입할 수 있는 보험이 어떤게 있나요 12 .. 2014/02/26 1,318
354970 뉴욕,파리 까페 한국 지점들...똑같나요? 2 --- 2014/02/26 635
354969 UGG A/S 안됩니다.신세계,,쩝 2 어그 2014/02/26 1,139
354968 요즘도 미용실 가서 팁 많이들 주시나요? 7 ... 2014/02/26 2,459
354967 모든 피부과에서 강추하는 더블로 리프팅 해보신분 계시나요? 21 어느피부과를.. 2014/02/26 49,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