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변호인이 1577만명을 돌파해야 하는 이유 !

대합실 조회수 : 1,769
작성일 : 2014-01-01 14:53:06

1577만 3128은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얻은 표 숫자입니다. 

고재열기자의 글입니다. 
http://poisontongue.sisain.co.kr/2018

영화 '변호인'의 최종 예상관객이 1577만 명인 이유

영화 <변호인>의 추세가 좋네요. 

아직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무난하게 1천만 명 이상 관람 영화가 될 것 같네요. 

개봉 이틀 성적을 보면 역대 최다 관객 동원 영화인 <아바타>보다 수치가 좋습니다. 


현재 추이로 보면 첫 주말에 200만 명 내외가 관람할 것으로 보입니다. 

<은밀하게 위대하게> <숨바꼭질> 등의 영화가 개봉 첫주 200만 명을 기록했는데...

현재 추세로는 <변호인>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의 반응을 보면... 이 영화를 보여주기 위해서 

평소 영화를 잘 안 보던 사람(부모님)을 극장에 데려가는 경우가 많더군요. 

영화를 안 보던 사람들이 보는 영화가 천만 영화가 되죠. 


그리고 '반복 관람'이 많을 것 같습니다. 

그것도 주변 사람들을 데리고 다시 보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일종의 '관람운동'이 일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투표는 한 번 밖에 못하지만 영화는 여러 번 볼 수 있으니까요. 


저는 이 영화 관람자 숫자가 1577만 3128명을 넘었으면 합니다. 

1577만 3128은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얻은 표 숫자입니다. 

이 영화가 이 숫자를 넘어서 흔히 말하는 '대선 멘붕'에 빠진 사람들을 치유해주고 

사회통합일 이루는데 기여했으면 합니다. 

대선 이후, 아직까지도 신문 방송의 뉴스를 보지 않는다는 사람들이...

훌훌 털고 일어나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영화의 흥행은 여러 가지 정치사회적 맥락과 연결됩니다. 

이 영화의 의미를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문재인 의원의 본격 정치활동 재개와 연관해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친노계열 정치인들의 정치적 부활을 도울 것으로 보입니다. 

노무현 추모 정서와 미래권력 문재인에 대한 기대감이 쌍끌이 정서를 이끌 것으로 보입니다. 


박근혜 대통령과 안철수 의원에게는 다소 악재가 될 것 같습니다. 

지난 대선에서 둘의 공통점은 'Anything but Roh'였습니다. 

노무현 배제가 기본 전략이었는데, 반면 김대중의 유산은 둘 다 적극적으로 계승했습니다. 

지지율 하락세인 박근혜 대통령과 신당 창당을 앞두고 있는 안철수 의원에게는 

<변호인>의 흥행이 유쾌한 일은 아닐 것입니다. 



시야를 좀더 넓혀보면 이 영화는 <안녕들하십니까?> 대자보 열풍과 연결됩니다. 

간단히 비유하면 <안녕들하십니까?> 대자보가 대학사회를 각성시켰다면, 

이 영화는 그 보다 더 폭넓은 계층의 각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영화의 메시지는 '상식의 복원'입니다. 

대통령이 왕처럼 대접받는 나라가 아니라 국민이 주인인 나라, 

부정선거가 있었다면 이에 대한 진실파악과 합당한 처벌, 당연한 사과가 이뤄지는 나라...


송우석 변호사의 "무죄면 무죄판결 받아야 하는 거 아닙니까?"라는 말은...

"부정선거면 무효판결 받아야 하는 거 아닙니까?"로 바뀔 수 있다.  

30년 전 대한민국 모습과 하나도 바뀌지 않은 오늘 우리 사회의 모습을 보면서 사람들의 사회참여 운동 기세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여기서 2009년 5월23일 고 노무현 대통령 서거가 미친 영향을 반추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당시는 1년 전 촛불집회의 열기가 공안탄압의 기세에 눌려 사회전반적인 분위기가 침체했던 때였습니다. 

노무현의 죽음은 다시 사람들을 깨우는 역할을 했습니다. 

지금도 비슷한 상황인 것 같습니다. 


여기서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를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일단 철도노조 파업으로 확산된 '민영화 거부감' 정서가 큽니다.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이 급전직하 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민영화 거부감'은 '광우병소 검역'문제만큼 파괴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박근혜 퇴진' 주장과도 정서적으로 연결될 것 같습니다. 

'박근혜 퇴진' 카드는 조금 이른 감이 없지 않았습니다. 

일반 국민들에게는 아직 지켜보는 이슈였는데...

'정확한 조사 - 적절한 처벌 - 제대로 된 사과와 확실한 재발방지 대책' 이런 것들을 기대하면서 지켜보고 있었는데... 

'박근혜 퇴진' 혹은 이에 준하는 불복종 운동에 동조하는 흐름이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리하자면, 

<변호인>의 흥행 - <안녕들하십니까?> 대자보 신드롬 - 민영화 반대 - 대선 무효...

일련의 흐름이 형성되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과잉해석이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빅데이터 관련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사회 이슈에 대한 빅데이터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고 하더군요. 

박근혜정부가 주목해야 되지 않나 싶네요. 


박근혜정부가 가장 두려운 것은 무엇일까요? 

'대통령 물러나라'는 말? 

이건 그냥 흘려듣겠죠. 

제 생각에는 '이명박보다 못하다'라는 게 가장 치명적이지 않을까 싶네요. 


그래도 이명박 전 대통령은 '세계 금융위기' 시기를 극복했죠. 

(상대적으로 IMF 때보다 수월하게 통과했으니...)

그런데 박근혜정부 들어서 경제는 급격히 기울고 있습니다. 

'경제민주화'나 '창조경제'는 전혀 실현되지 않고 있구요. 

당연히 대통령이 경제를 모른다는 볼멘소리가 터져나오고 있습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경제인 출신으로 '경제를 안다'는 기본적인 믿음을 줄 수 있습니다. 

(경제가 잘 안 돌아가도 경기탓으로 돌릴 수 있는 알리바이가 있죠.)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은 경제적 능력을 담보할 아무런 경력이 없죠. 

45살 정도까지 제대로 된 경제활동도 하지 않았고...

믿음직스러운 경제 참모도 없고... 


경제적 무능에 대한 박근혜정부의 대응카드는 

야당과 국민에게 덤터기를 씌우는 것으로 보입니다. 

야당이 사사건건 시비를 걸고, 진보언론이 이런저런 트집을 잡고, 국민들이 난리를 쳐서 경제가 난항이다, 이런 핑계를 대는 것이죠. 

아마 이것이 기본적인 지방선거 대응전략일 것입니다. 


아무튼...

지지자들한테서 슬슬 실력에 대한 의심이 올라고는 시점에...

반대자들이 결집하고 있는 시점에...

<변호인>이 흥행하고 있는데...

어떤 파생 현상이 나타날지... 궁금하네요. 

IP : 218.237.xxx.147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정치성 홍보
    '14.1.1 3:03 PM (182.226.xxx.58)

    일베충들처럼 518 같은 점수 조작하지 말고..
    그냥 좋은 영화다 라는 인식으로 많이 많이 봤음 합니다.
    이렇게 정치적으로 홍보하면 볼 사람들도 안 봅니다.
    자연스럽게 가슴으로 와 닿는 영화이기 때문에 많이 보는 것이기도 하구요.

  • 2. ,,,
    '14.1.1 3:03 PM (1.228.xxx.8)

    꼭 1577만명 돌파 했으면 좋겠네요
    저희 가족은 일찌감치 봤는데 저는 한 번 더 볼계획이예요

  • 3. 나의 마음...
    '14.1.1 3:27 PM (218.237.xxx.147)

    한 영화가 우리 시대의 아픔을 대변해주고 힘이 되어주었으면 하는 마음이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대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궂이 그걸 부정하거나, 그걸 회피하거나, 혹은 숨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찌 보면 그걸 회피하거나, 숨기고자 하는 것이 더 정치적일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저 글대로 영화관람객이 1,577만이란 상징적 수치를 뛰어넘었다 해서 뭐가 되는거 하나도 없지요.
    하지만, 여론조사 조작 등으로 현재 국민들의 공감이 어디에 함께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없었던
    많은 사람들이 그걸 확인받고 싶어하는게 아닐까요 ?

    거의 모든 여론조사에서 나오는 지지율 수치...
    아마도 많은 분들이 자신의 입장과 다는 결과에 "도대체 이게 맞는걸까 ?" 하는 의문을 품으면서도
    그렇다고 개인으로서 여론조사결과를 반박할 아무런 근거가 없기에 답답했을 겁니다.
    그런데 그나마도 이 영화를 통해서 뭔가 확인받았다는 마음...
    뭐, 그런 정도일겝니다.
    정치적 해석... ? ^^ 그걸 정치적 해석이라고 하면 그렇다고 해야하나요 ?

  • 4.
    '14.1.1 3:35 PM (58.236.xxx.74)

    저는 필자에게 공감해요, 1577만의 허상을 관객수로 깰 수 있다는..
    다들 너무 좋다시니 빨리 보러가야겠어요.
    용기있고 재능있는 그 신인감독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네요.

  • 5. 많은 의미가
    '14.1.1 3:43 PM (1.227.xxx.38)

    있네요. 돌파했으면 좋겠어요

  • 6. 그리되면 좋겠네
    '14.1.1 4:32 PM (14.37.xxx.134)

    '님도 보고 뽕도 따고', '도랑치고 가재잡고'처럼 잘 만든 영화도 보고, 그것이 현 정부의 불통에 대한 저항의 표시가 될 수 있다면 그보다 좋은 일이 어디있을까요? 아주 평화적으로 엿먹이는 거죠. 전 `변호인'이 그럴만한 가치와 의미가 실린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이명박근혜는 자신들의 잘못을 면피하려 할 때마다 여지없이 '노무현'을 물고 늘어졌죠? 그런 작태에도 질렸습니다. 그러하기에 더 더욱 노무현을 모티브로한 '변호인' 만큼 이명박근혜에게 엿먹이기 좋은 영화도 없겠죠. 시위 나가기 버거운 삶 속에 지내시는 분이나, 시위 나가는 게 어쩌면 두려울 수도 있는 분들이라면 더욱이나 영화로 아주 평화롭게 현 정부에 대한 불만을 표현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아닐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2228 김태희 닮은꼴 한다민, 이미 결혼하고 9개월된 아이엄마? 9 달빛하늘 2014/01/17 4,030
342227 집 안에서 신는 실내화 바닥요.. 3 닦고 닦고 2014/01/17 1,558
342226 이걸 뭐라고 하나요? 2 궁금 2014/01/17 439
342225 박정희 박근혜의 `통일경제개발` 주의보 발령 손전등 2014/01/17 385
342224 세탁기 세탁후 옷에 묻은 먼지 제거법 5 도와주세요 2014/01/17 7,250
342223 남편이 소방관이신분 계신가요? 16 r 2014/01/17 6,303
342222 헬스 하는 남자들 뭘 잘 안 먹나요? 5 헬스가이 2014/01/17 1,543
342221 노무현 탄핵의 진짜 이유 4 보고싶어요... 2014/01/17 1,588
342220 채동욱 뒷조사 사건 '의문의 돈봉투' - 물증 만들려고 함정 판.. 최소한 2014/01/17 541
342219 사립재단 중고등 선생님이 되려면 29 알려주세요 2014/01/17 7,009
342218 아들 고래는 잡는 것은 어떻게들 하셨나요? 14 돈데군 2014/01/17 2,719
342217 다이어트중인 남편 식단 공유 부탁합니당 8 미즈오키 2014/01/17 1,415
342216 별그대에서 궁금한거 7 오홍 2014/01/17 2,290
342215 돈있는 사람들이 참 무섭긴 무섭네요. 29 /// 2014/01/17 17,760
342214 토리버치 가디건 사이즈가 어떤가요? 1 질문좀 2014/01/17 1,845
342213 에이미랑 성유리 너무 비교되네요 13 .. 2014/01/17 15,430
342212 백팩 좀 소개해주세요 1 5454 2014/01/17 722
342211 지금 아파트 단지들은 수십년 지난 후 어떻게 될까요? 19 ... 2014/01/17 7,267
342210 넉넉한 집안에서 자랐는데 브랜드 이름을 하나도 모를 수가 있을까.. 72 뭘까 2014/01/17 15,254
342209 일베, 대자보 찢을 땐 응원…檢 송치되니 ‘불 구경’ 싸움 붙이기.. 2014/01/17 750
342208 첨가물 안들어간 훈제오리 추천해주세요 4 훈제오리 2014/01/17 1,589
342207 알러지 약? 1 옻닭 2014/01/17 528
342206 요즘 츠자들의 이상형은?? zzz 2014/01/17 402
342205 멋스런 안경테 브랜드나 판매처좀 알려주세요 꼭꼭~~ 6 54살 아줌.. 2014/01/17 2,090
342204 연말정산이 몬지..신랑과대판햇네요 14 2014/01/17 4,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