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배 타는 선원입니다,9개월 무사히 타고 한국에 들어왔더니 경기가 죽은 게 눈에 보입니다

5년후.. 조회수 : 8,038
작성일 : 2013-11-07 02:45:01


 배에서도 뉴스를 계속 봤기 때문에 예측은 했지만, 실제로 보니 체감이 오네요.

 금요일 토요일 저녁 번화가의 거리는 무척이나 한산하더군요.  

 아는 분이랑 닭갈비 집에서 밥을 먹는데, 주인 아주머니가 살기 힘들다고 한숨이 깊으시네요.

 토요일 저녁 번화가에 위치한 그 가게에 손님이라곤 저희 포함 2 테이블 이었으니까요.

 밥 먹고 운동삼아 걷는데 고급차 다니는 불륜 모텔들은 항상 가득 차 있고요. 역시 불륜 공화국.

 대기업 다니다가 승진 때문에 속이 상해 때려치고 주식-선물 시장에 뛰어든 형이 있는데요,

 선물 시장에서 그 동안 번 돈, 퇴직금 다 꼴아박고, 모텔에서 관리인 한다는데, 모텔 주요 손님이

 유부남 유부녀라고 하더네요.

 실업 급여 신청해 놓고, 일주일 잘 먹고 푹 쉬었지요.

 시세가 뚝뚝 떨어진 저의 똥값 아파트 전세자들 내 보내고, 인테리어 새로 하는 사이에 부모님 집에

 머물고 있네요. 아파트는 월세 내서 부모님 용돈이나 하시라고 할 계획이라 어디 공기 좋은 데다 주택이나 하나

 마련하려고 시골 촌구석 땅값을 보고 있는데, 인터넷 시세는 아직 죽지 않았더군요.

 300평 규모의 땅에 대지로 30평 정도, 심야 전기 보일러 달고, 태양열(광) 전지 지붕 위에 올려 놓고,

 방 3개 정도 크게 만들어서 노래방 영화방 겸용 만들고 두 방은 사람들이 잘 수 있게 만들려고 보니

 1억 3천 정도가 들어가더군요.

 마트에서 1L짜리 제일 싼 우유가 2350원이던데, 9개월 만에 500원 정도가 오른 것 같기도 하고,

 좋아하는 과자들은 죄다 가격이 올라서 계란이랑 버터 사다가 집에서 쿠키랑 카스테라 만들어 먹었네요.

 마트쪽 농수산물은 가격이 왜 그리 비싼지  가까운 시장에 가서 사옵니다.

 저번에는 서울 신사동 쪽으로 동생 내외와 놀러갔는데, 작은 컵에 담긴 아이스크림이 5천원이나 하는 것 같네요.

 (계산을 안 해서 정확하게 모름)

 흰 아이스크림에 네모난 꿀같은 거 올려놓은 건데, 돈이 아깝낀 하더군요. 3명이서 1만5천원이면 나뚜르같은데

 가서 꽤 먹을 수 있고 반값 콘을 사면 10개는 먹을 수 있는데 말이지요. 근데 그 가게는 줄이 어마어마해서 거의

 20분을 줄 서서 먹었네요. 맛은 그저 그러던데, 동생이 하는 말이 압권이었지요.

 "이 동네에선 싸면 오히려 망한다." 라고 하더군요.

 

 한쪽에서는 죽겠다고 아우성인데, 한 쪽에서는 매우 여유로운 생활을 누리고 있으니, 요상한 기분이 드네요.

 정치판에서는 선거개입 사건 때문에 시끄러운데, 정작 만나는 놈들은 죄다 아는 게 없으니,

 정말 그 사건이 이 사회의 주요 이슈인지 의문이 들 정도네요. 관심사라곤 그저 연봉 이야기랑

 미국, 한국 야구 이야기 뿐이라서요.

 실업급여 받으려면 워크넷에 등록을 해서 구인활동을 해야하는데, 들어가서 주욱 보니

 대부분의 직업들이 연봉 2천 이하더군요. 5천 이상 넘어가는 것들은

 주로 경력을 갖춘 숙련 기술자들 찾는 구직이고요.

 요즘 세상에 연봉 2천가지고 어떻게 살까라는 생각이 살짝 들었습니다.

 일만 하고 숨만 쉬라는 의미겠지요..

 2005년도에 대기업 입사했을 때 첫 연봉이 3천이었는데,

 요새 대기업 신입 사원 연봉도 큰 차이가 없을 것 같던데요,

 지금 물가는 그 당시에 비해 두 배나 올랐으니,

 2005년도와 비교해서 사실상 연봉이 1500정도 겠지요.

 그런 돈으로 젊은 사람들 어떻게 결혼하고 애를 키우라는지.

 2005년도에도 결혼하고 살기에는 부족한 돈이었는데...

 그래서 맞벌이를 해야만 하는데, 맞벌이 하자니 애들이 제대로 보살핌을 못받고 자라고,

 집안 교육도 안되니, 아이들의 도덕적 문제로 사회가 시끄럽겠지요.

 그런 아이들이 성인이 되면.....뭐...예상은 대충 하시겠죠.

 저야...선원이라 결혼도 연애도 포기한 삼포 세대라 할 말이 없지만...

 

 5년 후에는 어떻게 될까요? 이 나라...

 한 쪽에서는 집 사라고 취득세 내리는데, 대기업들은 현물 팔아서 현금 마련한 한다는 기사가 있네요.

 이런 상반된 이야기들을 보면서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하는 지 궁금해지네요.

 건설사들 90%가 부도 위기라는 기사도 있고, 건설사들 부도나면 투자한 은행 역시 무사하지 않겠지요.

 그건 그렇고, 양질의 일자리라고 나온게 월급 150만원짜리.

 무역은 사상 최대라고 하면서, 정작 주변 사람들의 삶은 얼마나 팍팍한지 모르겠네요.

 그 엄청난 경상수지는 다 누구에게 가는 지 궁금해지네요.

 출산율은 1.23명으로 나아질 기미도 없고, 잠재 성장력까지 떨어지는데,

 출산율 관련 정책은 너무나 미비하지요. 월급 150 가지고 애 낳고 사는 것은 불가능하니,

 다들 솔로 인생이고. 전 선원이라 만나주는 여자가 없고.

 한국 버블 경제의 기둥인 부동산은 이제 초장기 침체가 시작된 것 같은데, 

 버블 경제 끝나면 정말 한국의 경제의 참상이 나오겠지요.

 거기에 돈으로 산업 스파이로 기술을 사들인 중국은 이미 국내 대기업들 엉덩이까지 쫓아오고 있는데,

 대기업들은 투자로 신규 사업을 늘리기보다는 소상공인 사업에 끼어들어서 애들 코묻은 돈까지 뺏다가

 이제는 투자보다는 현금 확보로 돌아섰으니, 국내에서는 어떨 지 모르겠지만,

 수출에 타격을 받지 않을까 싶네요.

 수출의 주력인 스마트 폰은 중국 화웨이라는 기업이 LG를 누르고 세계 판매량 3위에 올라섰고,

 1~3개월에 한 번씩 출시되는 삼성의 신상품들은 아이폰에 밀려나가는 추세고......굉장히 어려워 보이네요.

 판매량은 삼성이 많아도, 돈이 안되지요. 배 타다보면 외국의 도시에도 자주 다니는데.

 국내폰은 외국에서는 엄청 싸고, 국내에서는 엄청 비싸고. 저는....국내폰 그래서 쓰지 않아요.

 외국이나 우리나라나 그나마 가격 차이 거의 없는 외국폰 쓰지요.

 

 현대-기아차 가격은 꾸준히 오르고(경차 모닝 사는데 1천만원 들데요.

 (2005년도에 마티즈가 500만원정도)

 외국 차들과 가격 차이가 거진 나지 않는데다가 국내 소비력 부진으로 과거만큼의 매출이 나오지 않고 있죠.

 한국 경제 규모의 50%를 차지하고 있는 이들 기업이 무너지고,

 잠재 성장력 세계 꼴찌에 새로운 사업 분야도 없고,

 버블 경제의 주범인 부동산이 무너지면, 한국이라는 나라 과연 어떻게 될까요?

 충분히 상상되시겠죠... 나라의 운명의 칼을  단 2개 기업이 쥐고 있다는 게 많이 불안해 지네요.

 돈을 위해서는 나라조차 팔아먹는 자본가들이니까요.

 

 필리핀 애들이랑 이런 저런 이야기하다보면, 예쁜 여자애 있으니 소개 시켜 주겠다는 말을 곧장 합니다.

 그러면 웃으면서 오케이 라고 이야기는 하지만, 아직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지요. 

 진지하게 고민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끝장 나는 나라에서 함께 고통의 만찬을 드는 것보다는

 희망의 불을 찾아 떠나는 것이 더 낫겠지요.

 5년 후. 과연 대한민국은 어떤 길을 가고 있을까요?

 쇠락 일까요? 대격변이 될까요?

 보수 일색의 언론을 통해 과연 사람들이 깨어서 대한민국을 문제점을

 고쳐 나갈 수 있을까하는 우려가 됩니다. 이런 저런 게시판에도 온통 비판

 일색일 뿐 대안을 제시하는 사람이 없네요.

 지금의 한국은 비판과 함께 대안이 필요한 시기가 아닐까 싶네요.

 대안이 없다면 무의미한 비판이 되어버리니까요.

 무의미하게 보내는 시간에 불과하니까요.

 미디어법 때문에 대부분의 언론사들이 돈의 노예로 전락한 지금,

 국민에게 제대로 된 정보를 건네는 언론사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네요.

 전두환 시절의 국민방송국 mbc 처럼요.

 지금은 정권의 노예가 되어버렸지만.

 일제 시절에도 깨어 있는 사람들이 시로, 글로, 소설로, 불법 신문으로

 국민의 의식을 개혁했던 것 처럼 말이지요.

 중소 기업을 살리고 내수 시장을 살리기 위해서 도시 규모의 협동 조합을 만들어

 북유럽같은 새로운 경제 체계를 만들어 부패한 자본권력과 싸우는 것도 괜찮을 듯 싶네요.

 무언가 일을 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의식이 깨어야 하니, 사람들의 정신을 맑고 날카롭게 해 줄

 좋은 언론사가 얼른 생겼으면 좋겠네요. 

IP : 103.16.xxx.169
2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오...
    '13.11.7 4:14 AM (175.197.xxx.75)

    간만에 정말 건전한 의견을 듣는 거 같네요.

  • 2. ㅁㅁ
    '13.11.7 4:31 AM (87.77.xxx.119)

    저도 한국에는 거의 일년~일년 반만에 한번씩 가는 편인데, 갈때마다 높은 물가 상승률에 정말 놀랍니다. 일단 먹거리들이 너무 비싸 무서울 정도입니다. 말그대로 의식주가 너무나도 비싼 나라입니다...
    거기다 정치는 다른 동네 얘기 정도로 치부되어 무관심이 팽배한 것도 씁쓸합니다. 그에 비해 연예계나 스포츠 쪽은 항상 뜨거운 관심의 대상이고...

  • 3. 정말
    '13.11.7 5:13 AM (219.249.xxx.62)

    맘에 와 닿는 글이네요.
    제 주위 사람들은 다 잘 먹고 잘 쓰고 다니고 엄마들 나이 40넘어 늦둥이 본 집이 두집이나 있을정도여서
    나만 사는게 팍팍 하구나 싶었는데 결국 소비 격차가 너무 벌어져서 중간층이 사라져서 그런거겠죠.

  • 4. 오!!
    '13.11.7 5:43 AM (42.82.xxx.229)

    82에서 본 글중에서 가장 끌리는 글이네요
    차분하게... 다소 촌티나게 글 쓰셨지만
    그건 읽는 사람이 받아 들이기 편하라고 쓰신것 같고 내공이 팍 묻어나네요
    다소 정치적인 내용을 실생활과 연계시켜 거부감이 들지 않게 쓰신 비유법도 탁월하고
    5년이라는 시차와의 갭을 상호 비교하여 현재의 한국과 또 다른 5년후의 미래를
    자연 연상케 하는 논리적 전개력이 대단합니다
    무엇보다 사회 전반적인 여러 핵심을 살짝 터치만 하고 가는 싱거운 논조도 마음에 들고요
    언론이 모든 문제의 근본이라는 결론까지...
    82에서는 이런 글 좀처럼 보기 힘든데 아무튼 잘 봤습니다

  • 5. 다음
    '13.11.7 6:08 AM (95.166.xxx.81)

    아고라에도 있던 글이군요..원글님이 직접 쓰신건가요?
    암튼 저도 한국 갈때마다 물가 체험 톡톡히 합니다. 돈 천만원 큰돈인데 빨리도 써지더군요..작년엔 투표하러 갔는데 어찌나 수구꼴통들이 많은지, 대통령 한번 시켜주면 뭐 어때, 이러고들 앉아 계시더군요..ㅠ

  • 6. 이 아침에
    '13.11.7 7:11 AM (39.118.xxx.210)

    음ᆢ가슴에 팍팍와닿게 글을 정말 잘쓰시네요
    선원이라는 직업이 의문스러울정도ᆢ
    이 아침에 쫌 울컥하게 하시네요
    뭔가 억울한 기분 ᆢ씁쓸한 기분 도 들구요
    암튼 글 잘읽고 갑니다

  • 7. DJKiller
    '13.11.7 7:18 AM (175.253.xxx.165)

    무슨 벼슬을 하는 분이길래 임금님에게 보내는 상소문을 여기에 올리시는지?

  • 8. 그러게요
    '13.11.7 7:37 AM (119.203.xxx.117)

    담담한 글이지만 끔찍해서 외면했던 현실이라
    시름만 더 깊어지는 군요.

  • 9. ...
    '13.11.7 7:55 AM (14.36.xxx.11)

    좋은 글 잘 읽었어요.
    담담하게 읽어낸 글을 읽으니 눈물이 나네요.

    민주주의 국가에서 부정선거
    하지만 주변에 아는 이들이 없어요.

    정직한 언론이 절실합니다..

  • 10. 세누
    '13.11.7 8:38 AM (14.35.xxx.194)

    대부분 공감하는 글입니다..
    근데 2005년에 마티즈 최소800만원 이상이었어요
    제가 그때 마티즈 사서 기억하는데>>>

  • 11. 세태의 변화
    '13.11.7 8:41 AM (69.31.xxx.54)

    박정희와 욕먹는 전두환 노태우 시절에는

    개인들도 열심히 노력 하면 된다는 분위기 있었지요.

    데모세대들의 진상짓과 좌파정권 10년을 거치면서, 떼 써서 진상부려서 공짜로 얻어내자. 다 남 탓이고 사회탓 국가 탓 이라는 선동질이 먹힌 탓이 있지요.

    지금도 동남아에서는 한국 가서 일하려는 비자 한장 받으려는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 전재산을 겁니다.

    우리나라야 먹고살기는 훨씬 좋아졌지만, 불평불만을 쉽게 드러내는 세태때문에 그런 것이 큽니다.

  • 12. 잘 사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13.11.7 8:48 AM (69.31.xxx.54)

    자신과 자신의 아이들의 잠재적 경쟁자라고 할 수 있는 사람들이
    신세한탄이나 하면서 찌질거리는 찌질이들로 전락하는것이 나쁠 이유도 없지요.

    일가친척이 전부 빚을 내서라도 한국에 와서 일을 하려는 외국근로자들이 차고 넘쳐나는데요..

  • 13. 아엠에프 세대인데
    '13.11.7 9:04 AM (114.205.xxx.124)

    월급이 정말 짜죠?
    근무시간은 길고.
    물가는 해마다, 아니 달마다 오르지요.

    딱 숨만 쉬고 살라는 연봉 맞습니다.
    제가 구직시장에 뛰어든 십몇년 전 초봉이 2000이었던것 같아요.
    무역회사에서요.

  • 14. 제목과제목ㄱ
    '13.11.7 9:19 AM (39.117.xxx.11)

    제목과 내용이 다르네요

    물가가 오른다고 경기가 죽은건 아니죠

    양극화가 되는것일뿐

  • 15. ,,,
    '13.11.7 9:51 AM (115.140.xxx.42)

    모든것에 시니컬하고 무관심했던 내가 우연찮게 모 방송(조선?)을 보곤 기가차더라고요...그러다 이거 클나겠네..싶은생각이 들었어요..그 뒤론 살펴 보는편인데..언론..제일 중요하다 생각됩니다..

  • 16. ,,,
    '13.11.7 10:33 AM (119.71.xxx.179)

    박정희와 전두환 시절 다음에 온건 IMF...저 새대가리 알바는 돈도없는게 전재산타령은 ㅉㅉ

  • 17. 요즘 애들 너무 불쌍..
    '13.11.7 11:16 AM (115.89.xxx.169)

    저도 정년을 앞두고 있는지라(정년은 아니지만 50세 전에 곧 잘릴 듯) 남말 할 처지는 아닌데
    요즘 20대들 정말 너무 불쌍해요.

    공부할 때는 지지리도 감옥같이, 그 많은 학원비 내면서 공부했는데
    대학 들어가기도 너무 벅차, 게다가 심지어 제법 괜찮다는 4년제 서울의 대학 나와도 취업 별따기,
    100만원도 안되는 인턴으로 1,2년 지낼 수 있는 것만도 감지덕지.

    저희 회사 중소기업인데 연대~서성한중경외시까지만 지원 가능,
    5명 달랑 뽑는 신입직원 모집에 응시서류만 천장 넘고 그나마 추려내서 200명, 다음주에 필기 시험 보게 하네요. (연봉은 2500 넘을동 말동).. 스펙 보면 입이 쫙 벌어지는 애들이 ..

  • 18. ..
    '13.11.7 11:50 AM (125.131.xxx.56) - 삭제된댓글

    좋은 글..

  • 19. 맙소사
    '13.11.7 1:59 PM (121.167.xxx.86)

    이글 지우지 마세요. 좋은글 있어서 다시보려면 지워놓는 경우도 있어서..
    그나저나 요즘 참 가슴이 답답할 때가 많네요.

  • 20. 맙소사
    '13.11.7 2:00 PM (121.167.xxx.86)

    많이들 보시라고 댓글하나 더 달고가요

  • 21. 정말
    '13.11.7 4:09 PM (183.101.xxx.200)

    지우지 마세요...
    맨날 머리속으로는 빙빙 드는 생각인데, 글로든 말이로든 풀어지지가 않더라구요...

  • 22. 69.31.xxx.54
    '13.11.7 6:31 PM (111.13.xxx.150)

    박정희와 전두환 시절 다음에 온건 IMF...저 새대가리 알바는 돈도없는게 전재산타령은 ㅉㅉ 222222222

    IMF로 나라가 단군이래 작살 나기 직전이었다 대가리에 똥만 든 사람아

  • 23. tjsdnjsdl
    '13.11.7 6:43 PM (122.32.xxx.129)

    과자가 비싸 버터 계란을 사다 만들어 드신다는 대목에서 현실성 급감..
    금덩이 같은 버터가 과자 대비 싸게 느껴지시는 분이 소프트리 아이스크림 줄서서 드시는 대목에서 현실감 폭락.

  • 24. a^^
    '13.11.8 2:16 AM (211.194.xxx.113)

    좋은글^^

  • 25. .....
    '13.11.8 2:31 AM (218.232.xxx.212)

    현실와닿게 쓰셨네요^^

  • 26. 새벽
    '13.11.8 2:07 PM (223.62.xxx.35)

    좋은글. 공감. 되네ㅣ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0536 전세인데 외벽이 모두 확장된 상태인데 단열이 안 돼 있어요. 1 ... 2013/11/18 1,050
320535 세상에서 제일 웃기고 무서운 게 착각같아요 1 2013/11/18 1,966
320534 시판 다진 마늘 쓰시나요? 5 .. 2013/11/18 1,600
320533 주니어 토플 600점대면 7 2013/11/18 5,296
320532 공든탑이 무너지랴 우꼬살자 2013/11/18 436
320531 솔직히 최소 성유리급은 되야 예쁜건데 1 .. 2013/11/18 1,212
320530 박근혜가 김진태를 버리나 봅니다. 14 벌써 2013/11/18 3,363
320529 엉덩방아 이후로 꼬리뼈가 아파요. 9 .. 2013/11/18 5,751
320528 응사 9,10 회 보는 중인데, 아무래도 칠봉이... 10 야간자율학습.. 2013/11/18 2,807
320527 대부분 대파는 없고 쪽파만 넣으시네요. 대파/미나리 안 넣나요.. 5 김장양념 2013/11/18 1,239
320526 이광수가 인기 많은것도 다 키가 커서임 2   2013/11/18 1,612
320525 카리불 전기매트 쓰시는 분 계신가요? 3 매트고민 2013/11/18 5,963
320524 배추 25 포기에 홍갓 3단은 많은가요..? 4 어렵다 2013/11/18 1,832
320523 아래복수글읽으니 제친구사례가 생각나네요. 7 복수글. 2013/11/18 2,722
320522 양치질 하면 식욕이 사라진다면서요 8 . 2013/11/18 2,379
320521 형광등이 안들어와요 맛탱이가....ㅠㅠ 9 암흑 2013/11/18 897
320520 일산사는 분들 설비업체 추천 부탁드려욤 - 욕실 물 줄줄 1 비오는욕실 2013/11/18 798
320519 첫눈이 와요~ 8 2013/11/18 2,669
320518 김구와 이승만에 대해서.. 13 lmknjb.. 2013/11/18 1,909
320517 어플이 앱이랑 같은 뜻이죠? 2 ... 2013/11/18 1,586
320516 정봉주 진짜 별로네요. 42 ,,, 2013/11/18 12,360
320515 운전중 이러면 진짜 놀라지 우꼬살자 2013/11/18 612
320514 결국 아파트로 망하게 될겁니다 43 /// 2013/11/18 14,345
320513 최후의 권력 천호선 검색어 1등이네요 19 ㅎㅎ 2013/11/18 5,129
320512 좀전 드라마에 허진 나온거 맞죠? 3 다행 2013/11/18 3,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