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직업 선택의 기준--- '얼마나 많은 이들에게 보살행을 할 수 있는가'

.. 조회수 : 1,509
작성일 : 2013-08-08 23:25:58

직업 선택의 기준--- '얼마나 많은 이들에게 보살행을 할 수 있는가'

 

직업을 택할 때는 <얼마나 많은 돈을 벌 수 있는가>가 아니라 <얼마나 많은 행복을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줄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삼는 게 현명하다. 당신이 예술가, 의료봉사단 소속 의사, 인권변호사 혹은 사회운동가라고 가정하자. 당신은 신념을 갖고 매일매일 열심히 일했다. 오랜 세월동안 세상을 좀 더 아름다운 곳으로 바꾸기 위해 노력을 해왔다. 결과적으로 당신은 많은 사람들에게 행복을 주었지만 돈은 별로 벌지 못했다. 그렇다면 당신은 다른 건 몰라도, 평판이나 존경이란 면에서는 몰라도 적어도 경제적으로는 실패한 것일까? 절대 그렇지 않다. 우주는 인간이 만들어낸 어떤 고성능 컴퓨터보다도 더 정확하게 모든 것들을 계산하고 운영한다. 당신은 당신이 이 세상에 베푼 것들에 대해 어떤 돈도 요구하지 않았고 사람들은 그것들을 그저 받기만 했다. 그들은 당신의 그 보살행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았다. 그렇다 해도 슬퍼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나중에 우주가 대신 지불해줄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도 수 배 또는 수십 배로. 이게 우주의 법칙이다. 우주는 당신이 한 선행에 대해 엄청난 영적 또는 물질적 풍요를 안겨줄 것이다.

 

이건 상징적인 표현이 아니다. 권선징악을 주제로 하는 옛 소설들에서 나오는 진부하고 무의미한 소리가 아니다. 우주는 한 개체가 한 생각, 말, 행동에 대해 반드시 그에 합당한 보상이나 징벌을 내리고 그건 피해갈 수 없다.

 

 

고귀한 명작들을 남겼지만 살아 있을 땐 인정받지 못한 예술가들--예를 들어 반 고흐, 슈베르트--이 있다. 역사에 이름은 남겼지만 살아 있을 땐 가난에 허덕였으므로 그들의 삶은 실패한 삶이었을까? 절대 그렇지 않다. 그들의 작품은 세계의 수많은 이들에게 감동과 영감을 주었고 지금도 주고 있으며(예술은 길다) 그것은 거대한 플러스 카르마가 되어 그들 영혼의 레벨을 더욱 높였다. 그들은 인류에게 위대한 유산을 남기고 갔지만 살아 있을 때 인정받지도 대가를 받지도 못했다. 그렇다면 이 다음 생에 훨씬 더 뛰어난 예술가로 태어나거나 혹은 다른 어떤 방식으로 훨씬 더 크게 보상받게 되어 있다.

 

 

나의 한 지인은 굉장한 지식과 내공을 가진 대선사인데, 강의 동영상을 만들어서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세상에 뿌리고 있다. 수많은 수행자들이 그것을 보고 감동하고 깨어나고 그에게 찾아가서 가르침을 청한다. 그는 취직도 결혼도 해본 적 없고 재산을 쌓는 것에도 전혀 관심없다. 역사 속에도 그런 사람들이 등장한다. 알베르트 슈바이처나 마더 테레사 같은 봉사활동가들, 예수 그리스도나 붓다 같은 영적 스승들도 돈과는 무관한 삶을 살았다. 경제학의 관점에서 그들은 철저히 바보였다. 이윤을 얻을 수 없는 일에 엄청난 노동과 에너지를 투입했으므로. 당신도 그런 사람이라면, 가난한 이들을 위해 무료 수술를 하는 외과의사이거나 모든 재산을 자선행위에 써버린 재벌이거나 수백명 노숙자들에게 음식을 무료대접하는 식당 주인 같은 사람이라면 이 세상에서 당신은 완전히 어리석은 사람일 수도 있다.

 

 

하지만 하늘나라에선 그렇지 않다. 우주는 극도로 냉정하며 당신이 죽인 딱정벌레, 혹은 살려준 딱정벌레까지도 절대 그냥 지나치지 않고 반드시 뭔가를 집행한다. 그러므로 지금 사람들로부터 보상받지 못했다 하더라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나중에 우주로부터 보상받는 편이 훨씬 낫다. 왜냐하면 우주는 훨씬 더 크게 보상하기 때문이다. 당신이 로펌에서 1년에 100만달러를 벌 수 있는 변호사라고 치자. 하지만 1년간 인권변호사로 무료 변론을 했다면 나중에 우주는 당신에게 수백만~수천만달러를 보상해준다. 이게 우주의 보상 공식이다.

 

 

따라서 당신이 영적으로 깨어 있는 사람이고 성인들의 가르침을 교과서처럼 생각하며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직업을 택할 땐 소득이나 미래의 전망 따위가 아니라 얼마나 많은 이들에게 보살행을 할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삼아 택해야 한다. 돈을 별로 벌지 못해도 상관없다. 당신의 기여도에 따라 우주가 결국 보상해줄 거니까. 그것도 아주 부풀려서. 예를 들어 당신이 공립학교 교사라면 열성을 다해 공부하고 연구하고 수준 높은 강의를 함으로써 많은 학생들에게 보살행을 하면 된다. 비열성적인 교사들이 받는 급여나 당신이 받는 급여나 똑같다. 하지만 우주가 내리는 보상에는 차이가 있다. 그 비열성적인 교사들은 우주로부터 별로 보상받지 못할 것이다. 반면에 당신은 무척 훌륭하고 탁월한 교사이므로 많은 보상을 받을 것이다.

 

 

그러므로 직업을 택하려면 자신의 재능과 소질을 파악하고 그걸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업종을 택하는 게 유리하다. 야구에 재능이 있다면 야구선수가, 요리를 잘 한다면 요리사가 되는 게 낫다. 모든 일들 중에서 간호사 일을 제일 잘 할 수 있는 소녀가 팝가수가 되려 한다면 별로 현명한 생각이 아니다. 반대로 훌륭한 팝가수가 될 자질이 있는 소년이 군인이 되려 하는 것도 별로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 않을 것이다. 각자가 심사숙고하여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한다. 그리고 온 힘을 기울여 자신의 자신의 능력을 갈고 닦아야 한다. 그게 보살행이다.

 

 

하지만 꼭 직업이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도 보살행을 할 수 있다. 한 여성은 운동과 영양에 대한 매우 수준 높고 전문적인 글을 자신의 블로그에 써서 운영하고 있는데 아주 많은 사람들이 거기서 지식을 얻고 감사하고 있다. 그녀는 그 블로그 운영을 통해 돈을 한 푼도 벌지 못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녀가 어리석은 짓을 하고 있는 것일까? 물질세계의 관점에선 확실히 어리석은 짓이다. 하지만 우주의 관점에선 그렇지 않다. 

 

 

옛부터 유학자들은 출세함으로써 높은 지위를 갖는 것을 강조했다. 권력을 가져야만 아주 많은 사람들을 위해 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길에서 거지에게 적선했다면 1명에게 보살행을 한 것이다. 하지만 대도시의 시장이 되어 훌륭한 정책이나 제도나 시설물을 만들면 5백만명에게 보살행을 한 게 된다. 내가 한 친구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 줬다면 1명을 즐겁게 해준 것이다. 하지만 그걸로 소설을 써서 베스트셀러로 만들면 1천만명을 즐겁게 해줄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내가 가진 능력을 최대한 개발하고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평생 개미 보살로 살아갈 것인가, 능력을 엄청나게 키워 공룡 보살이 될 것인가?

 
IP : 180.69.xxx.31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진짜
    '13.8.9 12:01 AM (49.231.xxx.84)

    우주적 보상받을까요?ㅋㅋㅋㅋ 선생님인데요.
    솔직히 이 직업 돈 버는 한계가 너무 뚜렷해요.
    그에 비해 하루종일 쏟는 에너지며 사람 상대하는 직업이라
    그것도 예민한 나이또래 아이들... 그래서 저또한 감정소모도 많구요. 지금 석사중인데 돈도 이따위밖에 못버는데 왜 석사까지 해야하나 우울합니다ㅜ
    근데 제가 잘 하는 일이 가르치는 일이라는걸 스스로 잘 알기에 하고 있습니다ㅜㅠ

  • 2. ^^
    '13.8.9 12:04 AM (218.50.xxx.226)

    좋은 글 감사합니다^^

  • 3. ^^
    '13.8.10 12:55 AM (114.207.xxx.205)

    감사합니다.
    마음에 새겨두고 노력하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90668 농협김치 맛있나요? 2 김치 2013/08/28 1,688
290667 로그인 자동으로 풀리는 이유. 알려드릴게요 ㅎㅎㅎ 16 공대뇨자 2013/08/28 4,410
290666 아이가 걸을때 까치발처럼 뒷꿈치가 들려요~ 15 ... 2013/08/28 6,180
290665 오휘에서 나오는 셀소스라는 제품 1 ... 2013/08/28 1,490
290664 이러다가 이석기를 알카에다와 손잡은 미국테러범으로 모는 것은 아.. 5 알카에다 2013/08/28 1,418
290663 박정희 향수? 6 개시민아메리.. 2013/08/28 969
290662 "미주 동포들 분노 크다... 박근혜 결단해야".. 7 해외언론 2013/08/28 2,238
290661 현관 카드키가 자전거에 밟혔는데 사용할 수 있을까요? 1 난감 2013/08/28 1,023
290660 분당 야탑동 매화주공아파트 사시는 분계세요? 2 회원 2013/08/28 1,968
290659 층간소음 이런 해결책 문제시 되나요? 3 우울해요 2013/08/28 1,643
290658 중학 아이의 진로 2 친구 따라 .. 2013/08/28 1,106
290657 (급)카톡내용을 복사해서 인터넷메일로 보낼수 있나요?? 5 ??? 2013/08/28 3,717
290656 고등학생 아들이 걸을때마다 발과 발목이 아프다는데요 3 발통증 2013/08/28 1,468
290655 여동생 결혼 반대 어디까지가 맞는 걸까요? 1 답답 2013/08/28 2,230
290654 겨울에 영국방문(뮤지컬관람) 어떨까요? 5 신비로운 2013/08/28 1,446
290653 입술이 핏기없이 하얗게되는데 무슨병인가요 1 무슨증상 2013/08/28 2,142
290652 공심채 본래 약하게 향이 나는가요? 1 볶음요리 2013/08/28 1,203
290651 국정원도 내란죄 저지른거 아닌가요 10 급했구나 2013/08/28 1,619
290650 LTE 폰 쓰시는 분.. 데이터 관리 어떻게 하세요? 5 ... 2013/08/28 1,618
290649 전에 다이소 샴푸 빗이라던가 5 뭐지 2013/08/28 3,358
290648 부산에서 에버랜드 가려는데, 묶어서 가면 좋을 만한 곳 있을까요.. 6 여행좋아하는.. 2013/08/28 1,439
290647 칼질 가능한 접시는 어떤게 있나요? 6 나이프 2013/08/28 3,731
290646 이석기 변장하고 도피중,, 14 도피 2013/08/28 5,291
290645 안양외고 vs 서울고 15 고민 좀.... 2013/08/28 4,151
290644 볼것많고 저렴한 동남아 신혼여행지 어디가 있을까요? 7 저기요 2013/08/28 2,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