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벽돌공과 의사의 실수입이 비슷하다면

이옥현 조회수 : 4,278
작성일 : 2013-08-08 19:28:45

아이나 어른이나 꿈이 무엇이냐는 소리는 많이 들으며 살아가나 보다. 내가 초등학교 때에는 고아원 원장이 되는 게 꿈이었고 중학 시절에는 3류 소설가가 되는 게 꿈이었다. 하필 왜 3류 소설가이냐고 아무도 묻진 않았지만 타고난 재능이 별로 없다는 것을 이미 스스로 알고 있었기 때문에 3류로 꿈을 낮추어 잡았던가 싶기도 하다. 암튼, 그땐 그랬다. 그리고 언제부터인가 나의 꿈은 ‘좋은 엄마’가 되는 것이었다. 이 말을 들으면 다들 의아해 하지만 더는 묻지 않는다. 그건 꿈 측에도 못 낀다는 듯한 표정을 지으면서 말이다. 

17살 한 소년의 꿈은 대통령이었다. 또 그 나이의 한 소년의 꿈은 안마사였다.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우리 선생님들은 어떤 반응을 할까. 당연히 안마사를 하겠다는 아이에게 꿈은 말야, 자고로 창대하게 꾸어야 하는 거야. 라든가 아니면 그 아이의 꿈을 갖게 된 이유를 물어 볼 수도 있다. 그런데 대통령이 꿈인 소년은 선생님으로부터 따귀를 맞았단다. 그의 말에 의하면 아마도 선생님은 자신이 장난치는 줄 알았을 지도 모른다고 말하는데 그는 시각 장애인이다. 시각장애인이라면 안마사가 꿈이어야 하고 대통령은 따귀를 맞아야 하는 우리 대한민국의 서글프고 아픈 또 하나의 모습이기도 하다. 

아이들에게 우리는 왜 꿈을 물을까? 물론 묻는 이들에 따라 원하는 답에 시선을 달리할 필요는 있다. 다만 개인적으로 교육에 발을 걸치고 있는 이로서 생각해 보면 대개는 꿈이 있어야 성공하는 삶을 산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좋게 말해 ‘목표 설정’이 되면 공부를 열심히 할 수 있게 된다는 숨은 의도가 있기도 한 것이다. ‘꿈은 이루어 진다.’는 그 말이 얼마나 하기 쉬운 말인지는 많은 이들이 현실적으로 체감하며 살아간다. 그래도 내 아이들이 멋지게 살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꿈은, 늘 꿈을 꾸는 주인공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각인되거나 의도적인 방향 제시로 그 선택을 달리 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웃기는 것은 그놈의 ‘꿈’이라는 것이 시도 때도 없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개인적으로 꿈은 많을수록 좋다고 생각한다. 한 가지로 규정짓기에는 우리의 삶이 너무 길고 다양하고 달콤하다. 한 가지의 맛에 길들여질 수 없음이다. 아이들에게 질문을 바꾸는 것이 어떨까. ‘무엇이 하고 싶으니?’ 하고 싶은 것들이 많아지면 아이들은 즐겁고 신나고 생기발랄하게 성장한다. 이것 저것 두리번거리고, 실수도 하고 스스로 탐구해 보는 작은 열정들도 만날 수 있다. 그러면서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것들을 알아 차릴 수 있는 기회를 마주하기도 한다. 그런 자유로운 시간들을 마구마구 줄 때 아이들은 꿈을 꾸기 시작하는 것은 아닐까. 

신자유주의로 진행되고 있는 이 사회는 협력과 상생의 가치를 원천 봉쇄하는 곳이다. 자본주의의 폐해를 절감하고 어느새 자본의 노예로 전락하게 되는 극단적인 양극화로 인해, 부의 편중과 그로인해 발생되는 권력의 힘을 만나는 사회·문화의 환경에서, 우리들의 행복은 글자로만 존재하는 듯하다. 극단적인 경쟁주의를 일상에서 경험하며 살아온 우리 사회의 모습은 모든 분야를 막론하고 퍼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좋은 직업’이 따로 있다. 공무원, 의사, 변호사, 판·검사, 등등. 과연 직업에 귀천이 있는가? 하고 묻는다면 교과서적인 대답의 ‘없다’라고 말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고 소리치는 우리들의 모습을 발견하곤 한다. 

벽돌공과 의사의 실수입이 비슷하다면? 우리 사회에서는 도저히 가능하지 않은 현실이지만 만약 그렇다면 의사가 되려는 사람들이 그렇게 넘칠 수 있는 것일까. 짐꾼 아들이 물려받지 않아서 회사를 팔아버린 사장 아버지, 아이의 진로에 간섭하지 않는 부모들, 더 좋은 학교를 굳이 보내려고 애쓰지 않는 부모들이 지구촌에 있다. 교육을 많이 받아서 박사나 의사가 되면 약간 존경을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벽돌을 잘 쌓는 기술자를 이들 못지 않게 존경한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이들의 사회는 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수입이 늘어난다. 하지만 세금 제도로 돈을 많이 벌면 세금을 더 많이 내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는 거의 차이가 없다. 바로 덴마크의 이야기이다. 

더 잘사는 동네, 못사는 동네의 차이도 없단다. 그러나 못사는 동네 사람들이 잘사는 동네 사람들을 부러워하지는 않는다. 그들 나름대로 만족하며 산다는 그 나라를 마냥 부러운 눈으로 바라보고만 있어야 하는 것일까. 결국 어떤 한 분야만을 변화시켜서 이루어질 환경은 아니었다. 각 분야마다 얼키고 설켜 있는 우리 사회는 마치 거미줄 같다. 직업이 아닌 직장을 선택하는 사회의 청소년들에게 우리는 진로 코칭이란 것을 한다. 마치 이 코칭을 받으면 자신의 진로가 저절로 정해질 수 있다는 듯이 스스로를 그곳에 가둔다. 허나 개인적으로 진로란 사회적으로 학습된 것을 다시 주입 시키는 것에 불과하다고 보는 것이 맞을 듯하다. 우리는 ‘참고’의 의미를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한다. 

이런 과정들을 지나면서 평생직장을 찾는다. 즉, 일하는 사회적 환경을 우선으로 해서 결국에는 연봉과 안전성을 선호하게 만들어 간다. 결국에는 적당한 직함이 필요한 직장을 선택하여 사회적 신분을 부여받기를 간절하게 원하는 모습들로 고시나 공무원 시험 준비로 청춘을 불사른다. 현재를 희생하여 미래를 보장받는다는 것에 암묵적 동의를 하고 만다. 물론 소수는 사회적으로 학습된 현실에 저항하며 자신의 직업을 스스로 찾아내는 수고를 하는 이들도 있다. 그들의 수고로 얻게 되는 직업은 연봉도, 그럴싸한 사회적 직함도 딱히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들은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아내어 새로운 길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낯설지만 스스로의 만족감이 높은 일을 하며 경제 가치를 만들어 낸다. 

바로 여기, 이 지점에서 직업윤리가 발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직업인으로서 자신이 발휘할 수 있는 삶의 가치, 자신만의 신념들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단지 생활 수단을 확보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일’을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펼치며 ‘자아’를 실현하고, 그런 개인들이 ‘사회발전’에 참여하며 살아갈 때 ‘행복’을 만나는 것이다. 나의 노동이 누군가를 살아나게 하고, 그의 노동이 나를 살아가게 하는 것이 공동체이기에 우리는 서로 의존하지 않고는 사회생활을 할 수 없다. ‘잘 산다’라는 의미를 사회구조의 잘못된 현실 속에서 시키는 대로 자신의 역할만을 잘 해내는 정의롭지 못한 선택과 사회 정의를 상쇄시킬 수는 없다. 

의미있는 삶이란 물질을 수반한 사회 환경 조건의 충족만으로 채워질 수는 없다. 윤리적 가치가 포함되지 않는데 자신이 놓여진 자리에서 최선을 다 한다는 것은 자가 기만에 가깝다. 우리는 삶의 진정한 의미를 혼돈의 세계로 이끌어 가는데 수월해지게 길들여 왔다. 우리 사회에 버젓하게 군림하는 부(富)의 모습과 안락함은 개인에게 주어지는 존엄성이 실종된 사회인이 된다는 의미로 아이들에게 되물림 되는 것은 아닐까. 아직도 못다 이룬 ‘좋은 엄마’라는 내 꿈이 여전히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것처럼 평생 꿈을 꾸며 살아가고 있는 이들이 많아지는 사회가 되었으면 싶다. 얼마나 설레이고 콩닥거리며 매일을 살아질 것인지는 상상만 하여도 벅차다.

IP : 115.126.xxx.33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3.8.8 7:31 PM (218.38.xxx.235)

    극단적인데........뇌혈관 수술하는 의사와, 시멘트 발라서 벽돌 쌓는 밥아저씨의 봉급과 삶이 같다면....누가 의사할까 생각이 들긴 하네요.

  • 2. ㅁㄴ
    '13.8.8 7:33 PM (115.126.xxx.33)

    벽돌공과 의사의 실수입이 비슷하다면? 우리 사회에서는 도저히 가능하지 않은 현실이지만 만약 그렇다면 의사가 되려는 사람들이 그렇게 넘칠 수 있는 것일까. 짐꾼 아들이 물려받지 않아서 회사를 팔아버린 사장 아버지, 아이의 진로에 간섭하지 않는 부모들, 더 좋은 학교를 굳이 보내려고 애쓰지 않는 부모들이 지구촌에 있다. 교육을 많이 받아서 박사나 의사가 되면 약간 존경을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벽돌을 잘 쌓는 기술자를 이들 못지 않게 존경한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이들의 사회는 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수입이 늘어난다. 하지만 세금 제도로 돈을 많이 벌면 세금을 더 많이 내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는 거의 차이가 없다. 바로 덴마크의 이야기이다.

    네덜란드에서 월급을 많이 받는 사람들 중의 하나가...
    버스 운전기사래여...전철기사보다도...

  • 3. ㅁㄴ
    '13.8.8 7:35 PM (115.126.xxx.33)

    http://news.kukmin.tv/news/articleView.html?idxno=518

  • 4.
    '13.8.8 7:36 PM (110.70.xxx.247)

    뭐든지 장단점이 있는 법이죠.
    결론적으로는 저렇기 때문에 덴마크의 의료수준은 상당히 떨어집니다.

    개인이 타고난 능력과 재능, 그리고 무엇보다도 노력을 인정하지 않고 결과와 보상을 획일화하는 건 또 옳은 일일까 한번 생각해보심이.

    그리고 왜 덴마크 사람들이 대학교육까지 덴마크에서 받은 뒤 이민가는 경우가 많은지.. 왜 스웨덴 국경지대로 이사가서 덴마크로 출퇴근하는 경우가 많은지도요.

  • 5. ㅇㅇ
    '13.8.8 7:41 PM (218.38.xxx.235)

    왜 그 잘난 공산주의는 자본주의보다 먼저 망했을까요?

  • 6. ㅇㅇㅇㅇ
    '13.8.8 7:41 PM (220.117.xxx.64)

    월급이 비슷하다해도
    벽돌공은 더울 때 더운데서 일하고 추울 때 추운데서 일하십니다.

    물론 의사 되기 더 힘들고 돈과 시간도 많이 들고 수술은 사람의 목숨을 좌우하는거니
    스트레스가 어마어마하게 크겠지요.
    개인의 명예나 사회적인 존경이 뒤따라 오는 건 그에 대한 댓가라고 보면 되고.

    요즘 날씨가 덥다보니.... 육체노동 힘들어요.

  • 7. 하긴
    '13.8.8 7:47 PM (115.126.xxx.33)

    대여섯 살부터..아이한테 열공시키는
    부모들한텐....퐝당할 듯...
    열심히 공부해서..부모한테 효도도 해야하는
    고작 부모의 아바타에 불과한 자식들한텐....
    그것도 사실..허상에 불과하지만...모든 아이들이
    성공할 수 있을까...

  • 8. 그래도
    '13.8.8 8:00 PM (203.226.xxx.161)

    일의 노동강도나 받는 스트레스, 숙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 일의 결과에서 오는 책임 등에서 벽돌공과 의사가 같을 수는 없어요.
    저희 아이 같은 경우는 결정적으로 의사가 자기 일로 져야 하는 책임이 싫어서 의사 선택 안 했지만
    중요한 건 어떤 일을 하던 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수준은 기본적으로
    보장해 주는게 중요하지 그렇다고 벽돌공과 의사가
    하는 일이 다 경제적인 의미에서 같은 값으로 매겨질 수
    있는 건 아니라고 봐요.

  • 9. 그래도
    '13.8.8 8:06 PM (203.226.xxx.161)

    독일같은 경우 사회주의로 적어도 청소부라도
    교육과 의료는 세금 내는 대신 국가에수 해결해 주니
    집 자가 아니고 평생 렌트해서 살아도 인간다운 삶이
    가능하고 법적인 휴가 다 보장되고 한 인간으로서 보장받는 기본적인 공간 크기도 수입이 얼마든 보장되니
    굳이 누구나 능력도 안되면서 의사 되게 안 하는거지
    우 나라 사람들 부모들이 다 미쳐서 그런게 아니죠.
    우리는 미국식 무한경쟁식에다 그래도 거기는 복지나 장학개념은 있는데 우리는 여기다 어려운 일은 가족
    내에서 가족이 해결해야 한다는 그런 개념까지 있어서
    더 없으면 괴로운거죠. 그러니 적성이고 능력이고 무ㅏ고 다 돈 많이 번다는 의사시킬려는거고.

  • 10. ㅇㅇ
    '13.8.8 8:16 PM (218.38.xxx.235)

    이 글 왠지 이상해요...이것 저것 다 고민해봐도 쉽게 비교가 안되는 사회 시스템인데....
    당장 우리나라 대통령을 보라구요.
    바라보고 원할 수 있는 상황인지, 너무 요원해서 슬픈 상황인지.

  • 11. 그게
    '13.8.8 8:19 PM (112.153.xxx.149) - 삭제된댓글

    일의 난이도, 위험도가 높은 직업과
    그렇지 않은 직업의 수입이 꼭 같다면
    그게 꼭 평등한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 12. 저구름
    '13.8.8 8:20 PM (223.62.xxx.3)

    윗님 말씀대로 좋긴한건같은데 너무 머네요

  • 13. 존심
    '13.8.8 8:22 PM (175.210.xxx.133)

    우리 인간에게 정말 필요한 생산에는 전혀 참여하지 않고
    오로지 돈놀이(금융)만 하는 고소득은 과연 정당한 것일까요?
    쌀 한톨 상추 한포기 만들어내지 못하는 직업들이 어마어마한 연봉을 받고
    정작 우리가 꼭 필요한 쌀을 생산하는 농부는 빚에 허덕이는 것은 과연 정당할까요?

  • 14. ㅇㅇ
    '13.8.8 8:41 PM (218.38.xxx.235)

    육체노동과 지적노동에 대한 가치 정의부터..?

  • 15. ㅇㅇ
    '13.8.8 9:05 PM (61.252.xxx.130)

    전국의 대기업 생산직 연봉과 사무실에서 일하는 왠만한 사람들 연봉을 비교하면 어디가 더 높을거 같습니까? 근거를 가져오세요. 헛소리하지말고. 일베충들이 좋아하는 그잘난 팩트를 가져와보란 말입니다.ㅋㅋㅋㅋㅋ

  • 16. mn
    '13.8.8 10:43 PM (82.156.xxx.249)

    사회복지 선진국 어디에도 벽돌공과 의사의 실수입이 비슷한 곳 없습니다.
    사회주의 나라는 어떤지 모르겠지만요.
    유럽,복지 국가들 부러운 점 많지만
    핀트가 좀 어긋낫네요.
    그 나라들 살기 좋은 게 벽돌공과 의사의 실수입이 비슷하다는 점이 아닌데요.

  • 17. mn
    '13.8.8 10:45 PM (82.156.xxx.249)

    다른 점은요.
    벽돌공으로도 최소한 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이지
    두 직업 사이 소득 또는 경제적 삶의 수준이 비슷한 게 아니에요.
    그리고 벽돌공이 꽤 괜찮은 경제적 풍요를 누리는 게 아니라
    의사 되려고 바둥거리지 않는다는 게 차이고요.
    모두들 의사되려고 달려들지 않는 이유가
    실수입이 비슷하기 때문도 아니고요.

  • 18. 버스기사
    '13.8.8 10:57 PM (82.156.xxx.249)

    네덜란드 버스 기사 월급이 높다고 하신 님.

    네덜란드 버스 기사 월급은 세전 1700유로(신입)~2300유로(경력 25년차)입니다.
    (정말 그런가 하고, 저도 지금 검색해본 거에요.)
    고졸 학력 평균치되는 소득이고,
    버스 기사가 다른 직종에 비해 특별히 월급이 높다고 할 수 없습니다.

  • 19. 전 그냥 사실만..
    '13.8.9 12:23 AM (2.107.xxx.14)

    덴마크 의사 월급 세전 70000 dkk.(월 1400 만원) 에서 시작입니다. http://www.ug.dk/job/akademiskarbogledelse/laegetandogdyrlaege/praktiserende_...
    벽돌공 20000 dkk. 에서 시작이네요.
    실수입 절대 비슷하지 않습니다. 세금내도 마찬가지구요, 수준 차이 엄청납니다.

  • 20.
    '13.8.9 12:23 AM (84.191.xxx.90)

    덴마크 의료수준이 떨어진다는 얘기는 또 처음 듣네요. 독일서 병 걸린 북유럽 친구들은 다들 자기 나라로 돌아가서 리모트로 일하던데--;

    그리고 벽돌공이랑 같은 돈을 받아도 소련 우주공학자들이 미국보다 먼저 로켓추진체를 우주로 발사하고 유인로켓실험을 했습니다. 과학이란 건 이걸 하지 않을 수 없어서 하는 거지(너무 재밌어서!!!) 돈 많이 준다고 하고 안 주면 안 하고 그런 게 아니죠. 만일 시장원리로 과학이 발전한다면 한국에는 포닥이 한 명도 없어야 함 ㅋ

  • 21. .....
    '13.8.9 7:40 AM (211.221.xxx.117)

    뭘 주장하고 싶은지는 알겠는데 원글님, 너무 많이 나가셨어요. 과합니다. 이런식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지고 공감 얻기 힘들죠. 좀더 분발하시길...

  • 22. .....
    '13.8.9 8:46 AM (203.248.xxx.70)

    덴마크에서 말하는 옌트의 법칙에서 첫번째와 두번째가 너 자신이 특별하고 더 가치있는 사람이라고 믿지 마라 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반대로 나는 특별한 존재라는 생각만 넘쳐나죠
    사회 시스템이란건 하늘에서 떨어지는게 아니고 사회 구성원들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유지되는거죠
    즉 우리나라 사람들 마인드로는 무리라는 겁니다.
    의사와 벽돌공 월급이 같다?
    이건 받아들여도 내 월급과 벽돌공 월급이 같아야한다면
    아마 벽돌공보다 천원 한장이라도 더 버는 사람이라면 거품 물고 항의할테죠.
    자업자득이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7645 '원·판·김·세' 수상한 5일, 대선을 주물렀다 5일간행적 2013/08/20 590
287644 외국에서도 곰팡이 락스로 제거하나요? 대체품 없을런지.. 2 ... 2013/08/20 2,871
287643 고 노무현 대통령님은.고인이 되셔도 참 피곤하시겠네요..갑자기 .. 4 고양이2 2013/08/20 1,442
287642 sbs 보도국 수준까지 후져 보이네요 3 ㄷㄷㄷ 2013/08/20 1,122
287641 아버지 돌아가셨는데 백중의 불교적 의미는 뭔가요? 5 ㅠㅠ 2013/08/20 2,249
287640 누구를 진짜 사랑한걸까요 4 남자마음 2013/08/20 1,687
287639 고양이 한테 개 통조림 먹여도 되나요? 7 ... 2013/08/20 1,311
287638 인터넷 생수 주문 괜찮나요? 9 ㅇㅇ 2013/08/20 1,635
287637 국조때 광주 경찰이냐고 물은 조명철 의원 탈북자 출신이네요. 5 코미디 2013/08/20 995
287636 지멘스 전기렌지 사용하신분요 카시 2013/08/20 1,794
287635 SBS 보도국 김광현기자가 일베 35 시방새 2013/08/20 11,121
287634 옥션은 이래저래 동네북이네요... 6 옥션 2013/08/20 1,316
287633 중학 우리 아이 왜 이렇게 자죠? 4 이런아이 2013/08/20 1,300
287632 찰떡 잘 녹여먹는 법 좀 알려주세요 2 ... 2013/08/20 1,422
287631 이와중에 cj 이재현은 구속집행정지 미친나라 2013/08/20 669
287630 임신했을 때 입덧 심하셨던 분 11 입덧 2013/08/20 2,201
287629 2호선 삼성역->을지로입구 출퇴근시 많이 붐비나요? 3 ... 2013/08/20 665
287628 Pink Floyd 의 Another Brick In The W.. 1 Beauti.. 2013/08/20 688
287627 아버지 칠순 생신을 어떻게 하셨는지요? 3 칠순 2013/08/20 1,230
287626 어린이집에 안간대요 8 오마나 2013/08/20 1,375
287625 누수...골치아프네요..... 4 누수 2013/08/20 1,801
287624 작다~!!!! ㅠㅠ 2013/08/20 504
287623 6백만원 명품백, 저렴한 댓글질 김하영댓글 2013/08/20 1,444
287622 노무현 대통령 합성 사진을 방송에 내보낸 의도가 뭘까요? 6 이건 뭐 2013/08/20 2,358
287621 오른쪽 다리가 아파요. 2 호오잇 2013/08/20 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