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술보다는 커피가 낫겠지요?

어쩌라구.. 조회수 : 1,224
작성일 : 2011-08-23 11:18:08

 

아.. 저 커피 잘 못마셔요. 술은 잘 마셔요.

30개월, 그리고 4개월 된 아이 둘 제가 봐야해요.

큰애는 여러가지 이유로 아직 어린이집에 못 다니고 있어요.

큰애는 지금 남편과 같이 문화센터에 갔고, 작은애는 방에서 자고 있네요.

아이 돌보기 정말 힘들어요. 몸이 피곤한건 그렇다쳐도 저는 마음이 힘드네요.

내가 과연 이 아이들을 잘 키우고 있는걸까, 저 아이들은 (특히 큰애는) 나와 함께 있어서 행복할까.. 그런 고민.

 

 

30개월 된 큰아이를 종종 크게 혼을 내고는 해요. 저도 일관성이 부족한 엄마라 제 성격에 욱해서 버럭버럭하죠.

그러고나면 아이는 저를 무섭게 보고 말을 잘 듣고 저는 또 그런 엄마밖에 될 수 없단 자괴감에 괴롭고 힘빠져요.

둘째 모유 먹이다 이런 저런 이유로 분유 수유로 돌리면서 제일 먼저 찾은게 커피와 술이었어요.

커피는 아침에 한잔, 술은 아이들 다 잠든 후 저녁에 와인 한잔.

 

커피를 잘 못마시는 사람이다 보니 커피 한잔씩 마시면 괜히 기분이 업되어서 아이들 볼 때 좀 더 나았고,

밤에 피곤에 지쳐 잠도 잘 이루지 못할 때 가볍게 알콜 기운에 의지해 자니 푹 자게됐구요.

그런데 요 며칠은 우울한 날씨 때문인지.. 아니면 이제 갓 백일 지난 둘째 돌보다 보니

이 끝없는 육아에 지친건지 애들 낮잠 잘 때 와인 반잔씩 더 따라마셔요.

 

 

커피나 술을 마시면 살짝 기분이 좋아져서 의지하게 되지만

이게 내성이 있는거라 점점 더 많이 점점 더 자주 찾게될거라는거.. 그게 걱정이죠.

오후엔 큰애와 또 어찌 시간을 보내줄지, 코감기 기운이 있어서 미열이 좀 나는데 아플까봐 또 걱정..

행복한 엄마 아래 행복한 아이가 자란다는데 그 점에선 우리집 큰애에게 너무 미안하고.. 노력해야겠고.

 

그런데 날이 갈수록 육아가 몸에 배는게 아니라 왜 이렇게 벅차지요.

아이들이 저를 보고 곱게 웃어줘도 저는 순간순간 외롭고 또 외로워요.

이 시간도 흘러갈테고 그리워질테고 후회할텐데요.

 

외로운 마음에 술을 마실 수는 없고.. 커피 한잔을 더 마실까요.

사실 커피나 술 말고 다른 약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기운내서 아이들을 행복하게 해 줄 수 있는 그런거.

다 제 할 탓인데.. 저 참 부족한 엄마고 부족한 사람이지요..

 

IP : 121.147.xxx.22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8.23 11:30 AM (203.244.xxx.254)

    커피 하루에 한 두잔은 괜찮은데요.. 가능한 커피믹스 말고 원두커피 드시구요.
    술은 낮과 밤에 한잔 반잔씩 매일 드시는 건 위험해보입니다. 술의 힘을 빌리고 있다는데서 초기알콜중독이 아닐까 싶기도 하거든요.
    혹시라도 커피를 드시는 것 때문에 밤에 잠이 안 와서 와인을 드시는 거라면 둘다 과감하게 끊으세요.
    처음엔 많이 힘드시겠지만 알콜중독되는 것보다는 낫다고 생각합니다.

    기운 내시구요.. 애들 어디라도 다니면 좀 나아지실 거에요.

  • 2. 땡기는 걸로
    '11.8.23 11:31 AM (219.251.xxx.182)

    님 땡기는 걸로 한두잔씩 드세요
    중독 쬐금 되어도 나중에 애들 키우고 내생활 찾으면 자연히 극복되어요..
    저두 애기들 어릴때 커피와 술로 보내고
    그래도 그런 기호식품을 벗삼아 힘든 시기를 이겨내는 것도 나쁘진 않다구 생각합니다.

    아이들 다 크고 나면 그런때도 있겠지 생각하실거에요..
    세월이 물같이 흐른답니다

    이런 고민하는 님은 좋은 엄마 분명합니다
    힘내시구요

  • 3. 소나기
    '11.8.23 11:35 AM (180.69.xxx.165)

    그맘때 많이 힘드시져...
    아이둘 키우시면 나도 모르게 큰소리두 나구 야단도 치고 많이 그래여.
    엄마맘이 아무래두 몸이 힘들면 그렇게 되는 것 같넹..
    저두 가끔 애들 잘때 술도 한잔 하고 커피두 하루에 한잔씩은 먹게 되네여.
    오늘 하루도 기운내시구 화이팅 하세여..
    절대절대 부족하신 엄마 아닙니다..

  • 4. 먹순
    '11.8.23 12:15 PM (112.151.xxx.58)

    와인은 외국에서 술로 치지도 않더군요.
    육아에 지쳤을때 한잔은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정신적인 스트레스 때문에 저녁마다 술을 마시기 시작한게 벌써 7년이에요. 습관되서 잘 끊기가 힘드네요.

    드시는 대신에 양 조절하시길

  • 5. jk
    '11.8.23 1:18 PM (115.138.xxx.67)

    커피를 드시구요

    술은 정말 상태 안좋을때 아니면 일주일에 한번정도씩 정말 잠 안올때
    일주일에 한번 그리고 와인잔으로 한잔(가득 채우지 말구욧!!!!) 그정도만 드세요.

    혼자서 일주일에 3번 이상 드시는건 안좋음. 같은 양이라도 사람들이 있을때 먹는것과 혼자서 먹는게 엄청나게 다릅니다.

    술은 일주일에 한번정도만 아니면 아예 안드시면 좋구요 정말 잠안올때 가끔씩만 드세요.
    잘못하면 중독됩니다.

  • 6. 저기
    '11.8.23 4:36 PM (58.227.xxx.121)

    와인은 드시지 마세요.
    위에 다른분은 외국에선 술로 안친다고 하시지만, 서양 사람들은 근본적으로 우리랑 체질이 달라요.
    독일에선 맥주도 술로 안친다잖아요. 하지만 우린 아니죠.
    혼자서 술마시는거... 그러다 중독됩니다. 알콜 중독이요.. 그거 끊기 정말정말 힘들어요.
    의존성도 점점 커지고 양도 늘어요. 술 드시지 마세요.
    jk님 말씀처럼 아주아주 힘들때 조금씩만 드시되, 그게 제어가 안된다면 아예 집에 술을 놓지 마세요.
    대신 커피는 원두커피로 하루에 두잔 정도 괜찮으니까 커피 드시고요.

  • 7. 저기
    '11.8.23 4:36 PM (58.227.xxx.121)

    와인은 드시지 마세요.
    위에 다른분은 외국에선 술로 안친다고 하시지만, 서양 사람들은 근본적으로 우리랑 체질이 달라요.
    독일에선 맥주도 술로 안친다잖아요. 하지만 우린 아니죠.
    혼자서 술마시는거... 그러다 중독됩니다. 알콜 중독이요.. 그거 끊기 정말정말 힘들어요.
    의존성도 점점 커지고 양도 늘어요. 술 드시지 마세요.
    jk님 말씀처럼 아주아주 힘들때 조금씩만 드시되, 그게 제어가 안된다면 아예 집에 술을 놓지 마세요.
    대신 커피는 원두커피로 하루에 두잔 정도 괜찮으니까 커피 드시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936 아 아 안철수님!!! 15 님을 기리며.. 2011/09/05 2,631
9935 밑에 김치 이야기 나와서 하는말인데요 8 rlacl 2011/09/05 1,579
9934 친구 아이 때문에, 친구와 사이가 안좋아요. 56 미혼녀 2011/09/05 8,324
9933 “MB의 비밀은 내가 지킨다” 4 아마미마인 2011/09/05 1,223
9932 제일 웃긴성씨가 뭐라고 생각하세요? 29 . 2011/09/05 6,276
9931 카놀라유... 4 아구___ 2011/09/05 1,654
9930 돌아가신 친정엄마.. 7 며늘 2011/09/05 2,802
9929 추석연휴에 서울 갈만한*볼만한 곳 소개부탁드려요^^ 2 서울구경 2011/09/05 1,371
9928 강쥐덩 때문에 ..... 2 강쥐 덩은 .. 2011/09/05 903
9927 중국비자 어떻게 받으면 되는걸까요? 5 중국비자 2011/09/05 1,216
9926 목감기의 위력. 2 아야 2011/09/05 1,641
9925 상속세 7천만원 정도면 상속액은 보통 얼마인가요? 3 ll 2011/09/05 3,653
9924 MB “기자 없어서 얘기…미 쇠고기 싸고 좋아” (2008.01.. 5 이런일이 2011/09/05 1,682
9923 언니가 불법대출을... 2 도와주세요 2011/09/05 1,301
9922 추석선물로 들어온 굴비 어떡하죠? 방사능 걱정 없나요? 9 맑음 2011/09/05 2,577
9921 조카가 둘인데..선물 살때마다 두명 똑같이 사줘야 하나요? 11 .. 2011/09/05 1,624
9920 주행중에 시동이 꺼져 사고날뻔했어요ㅠㅠ 3 현대차 2011/09/05 1,896
9919 대한민국의 떼법이 사라지길 1 sukrat.. 2011/09/05 729
9918 안철수가 야당 대표로 뛰게 되요 5 어차피 2011/09/05 1,818
9917 이종임김치 어떤가요? 급해요... 3 아만다 2011/09/05 2,570
9916 실용음악과나 그비슷한 학과문의 아이진로고민.. 2011/09/05 891
9915 고대의대생 성추행범들 출교조치되었다는데 그럼 편입하면?? 4 김쏘 2011/09/05 2,466
9914 속보!! 고대 성추행 학생 3명 출교 확정 15 만세! 2011/09/05 2,358
9913 추석때 고속버스로 서울 - 부산 탈만한가요? 3 우성맘 2011/09/05 2,182
9912 초등 아이들 낮잠 어떻게 하시나요? 6 웃음조각*^.. 2011/09/05 1,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