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민주당 이계안의 혁명 또는 자살

차기는이분이 조회수 : 1,205
작성일 : 2011-08-25 09:31:20
차기는 이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능력으로도 정책으로도.




이계안의.. 혁명 또는 자살

2009년 7월 9일 옥스퍼드 대학교 연구팀이 <란셋>에 발표한 연구결과를 보면, 실직률이 1퍼센트 높아질 때 55세 이하 사람들의 자살률이 약 0.8퍼센트 높아진다고 한다. 유럽 내 26개국을 대상으로 30년에 걸쳐 진행한 연구결과다. 실직률이 3퍼센트 증가할 때 65세 이하 사람들의 자살률은 4.5퍼센트, 알콜 중독에 의한 사망률 역시 28퍼센트 가량 증가한다는 것이 이 연구팀들의 주장이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경제 위기를 겪을 때 범죄, 이혼, 자살 모두 다 증가했다. 한마디로 악화된 경제 환경이 가정을 파탄으로 몰고 가는 것이다.


경제 위기로 실직을 하게 되면 미래에 대한 희망은 사라지고 비관만이 남는다.
그것은 결국 이혼이나 자살로 이어진다. 2009년 7월 20일 파업에 참여하고 있는 쌍용차 노조 간부로 있는 남편이 회사에 복직되기 힘든 상황을 비관하여 네 살과 두 살 아이를 둔 부인이 자살하지 않았는가.


경제 위기만으로 이렇게 상황이 악화되는데, 내일도 오늘처럼 삶이 지치고 힘들기만 할 뿐 하나도 나아질 희망은 없을 것이라고, 나는 자손대대로 부자가 될 수 없다고 절망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그러한 사람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은 두 가지다. 혁명 또는 자살. 하지만 사회가 지금처럼 고도화되고 구조화된 사회에서 혁명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결론은 한 가지, 자살밖에 없다.


 
 
(이미지 출처 : 세계일보)

 

특히 남들에게 지기 싫어하는 한국인의 국민성은 그런 절망이 자살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을 것이라고 쉽게 추정해 볼 수 있다. 우리 국민의 성향을 가만히 살펴보면 구조화된 사회에서는 살지 못한다. 예로부터 민란이나 폭동이 유난히도 많았다는 점이 이를 반증한다.


오히려 이웃인 일본 사람들은 구조화된 사회에 훨씬 적응을 잘한다. 최근 일본도 종신고용제가 약해지고 있지만 종신고용제 하에서 일본은 회사에 취직을 하게 되면 누가 과장, 임원, 사장의 자리에 오르게 될지 거의 정해진다. 그러면 일본 사람들은 거기에 적응해 평생 동안 직장을 다닌다.
직장에서 승진의 기회가 별로 없지만 희망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불만을 갖지 않고, 대신 직장 이외에 다른 곳에서 자신의 행복을 찾는다. 일본 영화 <쉘 위 댄스``Shall We Dance>를 보면 직장 밖에서 행복을 찾는 일본 만년 과장의 모습이 잘 그려져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떨까?
회사에 입사했는데 “넌 만년 과장이야”라고 사장님이 말해준다면? 대부분은 사표를 던지고 더 나은 비전이 있는 새로운 직장이나 업무를 찾아 떠날 것이다. 이런 차이가 우리나라에서는 직장인들이 승진을 목표로 밤 새워 일하게 만들고, 일본에서는 주어진 일만 열심히 하고 퇴근 후 자신만의 행복을 추구하게 만드는 것이다.


 



성공 욕구, 즉 성취 동기가 우리나라만큼 강하게 민족성에 배어 있는 나라는 전 세계 어디를 가도 찾아보기 어렵다, 그것이야말로 한국의 장래를 밝게 해주는 요인이라고 앨빈 토플러는 설파했지만, 성취 동기가 꺾여버릴 때 우리만큼 쉽게 절망에 빠지는 민족도 드물다.


지금 우리나라는 그 성취 동기가 꺾이고, 좌절감만 남아 있는 사회가 되어버린 지 오래다.
초·중·고등학교 12년을 죽도록 공부만 하고, 간신히 대학교에 입학해서도 잠시 놀아볼 틈도 없이 또 취업 공부를 해야 한다. 대학 졸업 후 사회의 첫발을 백수로 시작해야 하고, 직장에 취직해서 월급을 한 푼도 안 쓰고 모아도 누군가의 도움이 없이는 서울 시내에 아파트 한 채 장만할 수 없다.
몸이야 상하든 말든 밤을 새워 가며 죽도록 일하고도 구조조정으로 길거리에 내몰리며, 평생 번 돈을 자녀들 사교육비로 다 쏟아붓고, 가진 돈 하나 없이 빈손으로 정년퇴직을 맞이한다. 하지만 평균수명은 늘어나서 환갑잔치는 옛말이 되고 90세까지 살게 될까봐 걱정하고 있다.
우리는 지금 그런 나라에 살고 있다. 1,000원의 행복, 마지막 희망 티켓마저도 빼앗겨버린 지금 우리는 무엇으로 내일을 꿈꿀 수 있을까?
 

http://www.leeconomy.net/mod/index

민주당 이계안의.. 혁명 또는 자살.



IP : 183.105.xxx.53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희망
    '11.8.25 9:57 AM (110.12.xxx.69)

    서울 시장 보선이 있다면, 가장 유력한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되겠내요.

    작년 6.2 지선때 한명숙씨의 거의 모든 정책은 이 분의 것이었고, 한명숙씨는 몸만 내민격이였지요.

    이번에는 민주당이 책임있는 수권정당으로서 민주적 경선 절차를 통해 후보를 결정할 것을 기대해보니다.

  • 2. 과객
    '11.8.25 10:07 AM (125.188.xxx.39)

    저도 눈 여겨 보던 분...현실 경제를 잘 알고 양보의 미덕을 발휘할 줄도 아는 멋진 이분이 차기 서울시장이 되었으면 합니다.

  • 3. ^^
    '11.8.25 10:16 AM (203.249.xxx.25)

    기필코 재보선해서 이 분 당선되길 바랍니다.
    재보선한다면 누가 나오면 좋을까 생각했는데 잊고 있었던 분이네요. 정말 오랜 기간 준비해오신 분인데 강금실 전장관, 한명숙 전총리에게 번번이 양보(?)하셨죠. 큰 일 하시면 좋겠어요.

  • 4. mm
    '11.8.25 10:48 AM (218.50.xxx.8)

    전 다른 의견입니다..너무나 대중에게는 생소한 분입니다.
    그분들께 밀렸다면 그럴 만한 이유가 분명 있습니다.
    국회의원이라면 몰라도 서울시장은 아직까지는 무리라고..
    사람들이 선거를 통해 인물을 뽑을때 정책보다는 이미지,대중성이 더 크게 좌우한다고 봅니다.
    아직까지는 그렇습니다...애석하게도.(어찌 봄 연예인괴과비슷)

    만약 한나라당의 나경원,원희룡과 겨룬다고 가정해보면 쉽게 알 수 있죠..

  • 5. BRBB
    '11.8.25 11:05 AM (222.117.xxx.34)

    그 케이스의 영어를 여기다 타이핑 해주시면 다른분들이 찾아보시기 좀 더 수월할것 같네요.
    병에 써있는 글씨가 보이면 좋겠는데, 안보여요~

  • 6. 강금실변호사님은
    '11.8.25 11:15 AM (123.214.xxx.114)

    어떨른지요.

  • 7. dd
    '11.8.25 11:22 AM (211.40.xxx.140)

    얼굴이야 알리면되고, 오히려 신선하게 좋을거 같아요. 특히 저쪽에서 나경원이 나온다면.

    전 한명숙보다 이계안에 한표

  • 8. ^^
    '11.8.25 3:58 PM (203.249.xxx.25)

    매번 대중성...그 논리에 의해 밀렸는데...
    제대로 홍보전략짜고, 정책과 능력, 준비된 시장이라는 이미지로 다가간다면...
    이 분 너무 아까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908 명장 '진걸인 ' 일본칼 있죠? 그 칼셋트 어떤가요? 8 나이프 2011/09/15 1,873
12907 위키리크스 그 끝은 어디? MB 이어 KBS까지 등장;; 1 yjsdm 2011/09/15 1,545
12906 피부관리실 선택할때 어떤걸 물어보는게 좋은가요?? 4 처음이요 2011/09/15 1,981
12905 집나가고 연락 안되는 사람 이혼할수있는방법좀??? 1 .. 2011/09/15 1,523
12904 친정아부지 핸드폰을 교환해드려야합니다. 6 친정아부지딸.. 2011/09/15 1,156
12903 경혜공주랑 부마 슬프네요 ㅠㅠ 11 공남 2011/09/15 3,501
12902 저도 분교출신인데 8 나도 분교출.. 2011/09/15 3,144
12901 미드 볼 거 뭐 없나 하시는 미온적 미드팬 여러분 드라마 보고.. 2011/09/15 1,048
12900 티몬에서 공구한 나가사키면 왔나요? 2 juju 2011/09/15 1,007
12899 희안한 글 써넣고 리플많이 달리면 혼자 좋아서 2 희안해 2011/09/15 872
12898 도와주세요 쉬프트키가 안먹히고 잇어요 1 포그니 2011/09/15 1,182
12897 이명박이의 개념 6 오직 2011/09/15 1,187
12896 금요일밤의 뜨개질크럽 소개 해주신분 1 감사 2011/09/15 1,198
12895 지성용 머리 샴푸 추천부탁드려요 12 .. 2011/09/15 2,955
12894 카드연회비는 젤 처음 카드값에 같이 청구가 되나요? 6 카드연회비 2011/09/15 1,095
12893 ebs에 사연공모하길래 보냈는데, 토요일날 방송 된데요 ㅋㅋ 3 음하하하 2011/09/15 1,051
12892 스타벅스 믹스커피 시장 진출, 값은 10배 고가전략 sb 2011/09/15 1,069
12891 김포에 피부관리 잘 하는 곳 추천해 주세요 피부 2011/09/15 720
12890 시사와 관련해서 간단한 영작을 해 봤는데 손 좀 봐주시면.. 2 ... 2011/09/15 755
12889 락앤락 비스프리 물병에 정말 뜨거운 물 부어도 괜찮나요?? 2 ... 2011/09/15 17,724
12888 9월 15일자 민언련 주요 일간지 일일 모니터 브리핑 세우실 2011/09/15 657
12887 초2딸이 갈비뼈밑이 아프다는데 병원을 어디로 가야할까요? 1 댓글 절실해.. 2011/09/15 1,621
12886 '4대강 사업 비리' 대통령 사촌형 일가 고발 6 정전에 가려.. 2011/09/15 1,470
12885 신생아 BCG 접종이요~생후 4주안에 안 하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4 무지한 엄마.. 2011/09/15 11,462
12884 오늘 전기사고는 정전이 아닌 단전입니다. 7 정전이 아니.. 2011/09/15 2,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