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능 개편, 1년 유예는 탁월한 선택이다.

사회적 대타협 필요 조회수 : 1,380
작성일 : 2017-09-07 17:06:55

1. 사교육 지옥, 수능 개편은 시간을 두고 신중하게 결정하는게 옳다

2017년 8월 31일, 교육부는 당초 세간의 예상과 다르게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을 유예하였습니다. 국어, 수학, 탐구 같은 주요 과목은 상대평가를 유지하고 나머지 4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1안과,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2안을 두고 시민 사회의 공청회를 거쳐 8월 31일 최종 결정키로 예정하였으나, 사회 각층의 우려와 반대 속에 다행히도 1년 유예라는 신중한 수를 선택하였습니다.

대학 수능시험은 우리나라 교육의 정점이자 작금의 혼란스러운 교육 환경을 야기하고 있는 계륵같은 존재입니다. 각 대학들은 다른 대학보다 유능한 인재를 뽑기 위해 학생을 변별하는데,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던 판단 지표가 바로 수능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사교육 과열화로 경제적 차이에 따른 교육기회 차별로 이어지면서, 부모들은 없는 살림에 허리띠를 조르며 자녀 교육에 많은 돈을 쏟아 붓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2. 수능 개편안, 경제력과 비례하는 '계급 입시' 폐해를 반복해선 안된다

이에 한 때는 이번 수능 개편안과 유사한 과거 표준점수, 백분위를 제외한 ‘수능 등급제’를 도입해보았으나, 이는 변별을 원하는 대학의 생존 본능과 자기 자식에게 피해가 오는 것을 몸서리치게 싫어한 학부모의 격렬한 반대로 인해 2년도 채 지나지 않아 등급제를 폐기하는 행정 미숙을 드러냈었습니다.
이후 입학 사정관 같은 다양성에 방점을 둔 ‘수시 중심형 제도’를 확대시키기도 하였으나, 이는 공교육 현장의 준비가 미흡한 채 경제력이 있는 집안 자녀에게만 대학 입학의 문을 더 넓혀주는 형국이 되고 말았습니다. 사교육을 잡겠다며 도입한 강제 야간 자율학습과 심야 교습금지법은 음성 고액 과외를 부추기는 결과로 이어졌고, 그와 동시에 맞춤형 교육을 내걸은 자사 특목고 또한 대학 입시에 특화된 고급 사관학교로 전락하는 꼴을 면치 못하였습니다.

이번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도 그와 유사한 맥락에서 비판을 받았습니다. 일선 학교의 충분한 지원이 갖추어지지 못한 채, 심지어 교사들의 목소리를 듣지도 않은 채 기획자의 머리에서 착안한 단편적 수능 개편안이,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또 다른 형태로 변질되고 그로 인해 경제 열위에 놓인 학생들이 더 손해를 보는 길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였습니다.


3. 대학입시가 '인생 계급'을 결정짓는 문제 해결이 시급, 사회적 대타협 필요

대학 수능 시험의 본질은 학생들의 변별이지만, 우리나라엔 더 근본적인 사회 문제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대학 변별로 인해 인생의 계급이 결정되어 버리는 경직된 사회 경제 문화로 인해 부모들은 어떻게든, 불법을 저질러서라도 좋은 대학에 보내려는 왜곡된 욕망을 표출해내고 있는 것입니다.

모두가 명문대, 대기업을 희망하고 그것이 아닌 삶은 나락으로 떨어지는 극단적 이분법의 균형추를 바로 잡는 것이 우선이며, 그것을 바탕으로 현직 교사들이 심적 딜레마에 빠지지 않고 학생들의 다양성을 독려해줄 수 있는 학급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초, 중등 교육 정책의 근본적 방향을 재설정하고, 이와 연결된 기업, 대학 부문과의 장기적 시야를 공유한 타협이 필요하며, 이를 학부모 등 일반 시민 사회가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제도적 문화적 소통이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런 지난한 과정이 불과 1년 남짓한 기간에 이루어질 것이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과거 관치 마인드에서 비롯된 강제적 제도 도입을 원점에서 다시 고려하고자 하는 정부의 태도에 격려의 박수를 보내고자 합니다. 짧은 시간이 주어졌지만, 치열한 고민과 소통을 통하여 교육에 관한 사회적 대타협을 이끌어내기 위한 인큐베이터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unfull-movement&logNo=2210907992...
IP : 175.223.xxx.14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학종
    '17.9.7 5:54 PM (211.108.xxx.4)

    학종에서 비교과활동 폐지시키고 교과성적위주로
    교사의 주관적인 잣대가 들어가는 세특사항도 기준점을 마련해서 기본틀안에서 객관적으로

    정시와 수시비율 5:5 이렇게만 바뀌면 좋겠어요

  • 2. 진작 중3은 기존대로
    '17.9.7 6:07 PM (119.149.xxx.138)

    발표했음 좋았을걸 중3은 넘 흔들리고 혼란스러웠네요

  • 3. ==
    '17.9.7 6:41 PM (211.243.xxx.128)

    뭐가 좋다는거죠? 내신따로 수능따로인데 좋은건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1564 쌀국수 만드는 재미가 있네요 14 2017/09/19 3,122
731563 친구 셋이서 레스토랑에 왔는데 앞자리 친구 한명이.. 11 친구 2017/09/19 6,028
731562 이렇게 끝나나봐요. 4 이렇게 2017/09/19 1,210
731561 선반 짜기 등 목공 배우기, 어디서 하나요? 6 문의 2017/09/19 1,017
731560 제주도민이 가는 확실한 식당 몇군데 122 씨앤하우스 2017/09/19 11,313
731559 관절이 안좋아지는데 운동요법이나치료문의드립니다 4 2017/09/19 1,076
731558 고딩) 멋 엄청 부리는 머시마들 어떤 브랜드 옷 좋아하나요? 4 패션 2017/09/19 1,548
731557 포장 불맛만주 막창 닭발등~ 6 ㅇㅇ 2017/09/19 766
731556 돌쟁이 왜 화를 내야 잘까요? 39 스트레스 2017/09/19 4,071
731555 수시접수후 생활기록부는 어떤 방식으로 제출하나요? 3 .. 2017/09/19 1,028
731554 따끈하고 바삭한 토스트 2 qorhvk.. 2017/09/19 1,932
731553 대학생딸 건강식품 추천해주세요 2 가을하늘 2017/09/19 895
731552 직원하고 뭐먹을때 제돈으로 먼저냈는데 돈을안주는경우 14 이런경우 2017/09/19 4,387
731551 혹시 지진 3 방글방글 2017/09/19 1,161
731550 북한이원하는방식의통일이 될수도 있을까요? 9 우리나라 2017/09/19 675
731549 기간제 교사 단체 생각보다 끝발있는 모양이네요. 14 ... 2017/09/19 2,295
731548 근데 효리...볼륨감은 왜 사라진걸까용?? 61 ㅡㅡ 2017/09/19 28,327
731547 여자들의 불평등 논란을 바라보며... 53 2017/09/19 2,914
731546 다낭 호이안 가족여행 3대가 같이가야해서요.. 3 내가가이드 .. 2017/09/19 1,559
731545 건강이 안좋은 원인 5 건강 2017/09/19 2,392
731544 의료계 종사하시는 분들 담당 환자 사망시 어떻게 마음을 다스리시.. 12 ... 2017/09/19 2,249
731543 냉장고 채소칸에 밀봉안하고 쌀보관해도 괜찮나요? 10 쌀보관 2017/09/19 1,446
731542 수채화용 색연필 정말 물감처럼 되나요 3 그림공부 2017/09/19 1,212
731541 영어못하는 특파원이 의외로 많은가봐요. 11 richwo.. 2017/09/19 2,693
731540 김광석 사망 관련 충격적인 이야기.. 23 ..... 2017/09/19 22,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