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경제가 망하는 두 가지 요인

껄떡세상 조회수 : 966
작성일 : 2011-08-27 17:14:25
민주주의와 경제성장은 때로는 양립하고 때로는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독재정권이 경제적 합리성을 외면한 정책을 취하다가 망하고 민주화가 이뤄지면서 민주정권이 경제적 합리성을 존중하게 되면 민주주의와 경제성장이 동행하게 된다. 그에 반해 민주정권이 경제적 합리성을 경시하게 되면 민주주의는 국민경제를 망하게 만든다.

 어떤 민주국가에서 경제적 합리성이 존중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가장 간명한 지표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정부나 정당들이 사회복지 정책을 실천하기 위해 재정적자 확대를 쉽게 생각하는지 여부이다. 국민의 복지확대는 민주주의의 목표의 하나이기도 하며, 국민은 공짜를 좋아한다. 따라서 민주국가에서는 이성이 지배하는 사회분위기가 조성되지 않는 한 정당들 간에 복지확대 경쟁이 쉽게 일어나게 되며, 정당들 간의 복지확대 경쟁이 일단 시작되었다 하면 그것을 쉽게 제동할 수 없다. 주권자인 국민이 복지확대를 좋아하는 데, 민주정치를 한다면서 국민이 좋아하는 것을 반대할 명분도 마땅치 않고, 국민이 좋아하는 복지확대를 반대하면 정권을 장악할 가능성이 희박해지므로 정당들은 복지확대 경쟁을 전개하지 않을 수 없다.

 일단 복지확대 경쟁이 전개되면 정당들은 지지표를 더 많이 얻기 위해 경쟁적으로 복지확대를 주장하게 되고, 심지어는 국민들이 절실히 요구하지도 않는 복지항목까지 개발하여 그것의 실행을 약속하게 된다. 정당들 간에 복지확대 경쟁이 시작되면, 복지확대 속도는 세수 증가 속도를 크게 앞지르게 되고, 복지확대는 곧 재정적자의 확대로 연결된다.

 이처럼 복지확대가 재정적자를 초래함에도 불구하고, 재정적자 확대를 무시하고 정당들이 복지확대 공약을 경쟁적으로 남발하게 되면 그 나라의 국민경제는 재정적자를 견디지 못하여 파산의 지경에 이르게 된다. 국민경제가 파탄나거나 파탄의 위기에 당면해서야 멈추게 되는 것이 민주정치에 있어서의 정당들 간의 복지확대 경쟁이다.

 다른 하나는 기업활동의 자유 제한 정도이다. 기업은 자유롭게 활동할수록 이윤을 증대할 확률이 높아진다. 현대 민주국가에서 기업활동의 자유를 100% 보장하기란 어렵다. 그렇다 하드라도 기업이 자기들의 경영상의 필요에 따라 노동자들을 고용하거나 해고하는 자유라든가 기업활동을 통해 획득한 이윤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자유 등과 같은 기업활동의 기초적 자유는 보장되어야 한다.

 국민들 가운데 기업인, 그 중에서도 성공적인 기업인은 매우 적다. 기업인에 비해 노동자의 수는 매우 많고, 기업인 중에서도 성공적인 기업인 수는 많지 않다. 민주정치에서 정권을 장악하려면 정당들은 다수 국민의 지지를 획득해야 되기 때문에 노동자와 성공적이 못한 기업인들이 좋아할 정책을 제시하는 경향이 강하게 된다. 그렇게 해서 정당과 정부는 성공적인 기업활동에 필수적인 기초적인 자유를 제한하는 법제를 마련하게 된다. 그런 기초적 자유를 보장받지 못하게 되면, 기업인들은 그 나라에서 기업활동을 포기하고 그런 자유가 보장되는 다른 나라를 찾아가게 된다. 기업들이 다른 나라로 떠나면 그 나라의 경제는 머지않아 파탄나게 된다.

 한국에서는 지금 정부와 정당들이 복지확대를 위해 재정적자가 확대되는 것을 매우 가볍게 생각하고 있다. 보금자리 주택, 초등학교에서의 전면적 무상급식 실시, 반값 대학등록금, 전면 무료보육 실시 등의 주장은 이 나라 정당들 간에 복지확대 경쟁이 시작되었을 말해주는 신호탄이다. 현재의 것만으로도 복지확대 경쟁이 과잉상태에 있지만, 앞으로 해가 갈수록 그 경쟁의 과잉정도는 더욱 심해질 것이다.

 이미 실행되고 있는 사회복지 정책들도 재정적자를 확대시키고 있는데, 그런 점을 고려하지 하지 않고 재정적자를 증가시킬 수밖에 없는 새로운 복지조치들의 약속을 남발하고 있다는 것은 이 나라 정당들이 복지를 위해 재정적자가 확대되는 것을 가볍게 생각하고 있음을 잘 말해준다. 24일 실시된 각급학교 무상급식실시에 관한 서울시 주민투표의 결과도 이 나라에서 정당들 간의 복지확대 경쟁이 재정적자 확대를 무시하고 과잉경쟁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음을 확인해주는 사건이다.

 한국에서는 기업활동의 기초적 자유가 제한되고 있으며, 그런 제한의 정도가 해가 갈수록 확대될 조짐조차 보이고 있다. 기업이 정리해고를 했다고 하여 기업주를 국회청문회까지 불러내서 규탄하고 망신 주는가 하면, 정부의 위원회가 기업이윤 공유제를 도입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다. 기업이 정리해고를 하는데 있어서 불법적인 요소가 없는 한 그것을 사회적으로 징벌하려 하는 것은 기업활동의 자유를 무시하는 것이다.

 대기업과 하청 중소기업은 협조해야 하고, 대기업의 중소기업에 대한 착취는 저지되어야 하나, 실현된 대기업의 이윤을 하청 중소기업과 나누어가지도록 한다는 것은 기업의 이윤처분 자유를 박탈하는 것이다. 대기업의 기업주나 대기업들로 구성된 단체의 대표를 국회청문회에 소환하여 망신 주는 것은 기업활동의 자유를 부정하는 의식의 발로이다. 이런 사회적 징벌 및 인격적 피해를 당하고서도 이 나라에서 즐거운 마음으로 오래오래 기업을 하겠다고 생각하는 대기업의 기업주가 있다면 그 사람은 이상한 사람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경제적 합리성이 존중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두 가지 지표에 있어서 한국은 매우 열악한 상태에 있다. 정부와 정당들이 사회복지 정책을 실천하기 위해 재정적자 확대를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며, 정부와 정당 및 사회분위기가 기업활동의 자유를 제한하는 쪽으로 크게 기울어져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이 나라에서는 지금 국민경제를 망하게 만드는 두 가지 요인이 강하게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민주국가의 국민경제를 망하게 만드는 요인들이 강하게 형성되어 있는 조건에서 이 나라 경제가 앞으로 얼마나 오래 망하지 않고 버틸 수 있을 것인지 궁금하다

IP : 211.196.xxx.189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jk
    '11.8.27 5:55 PM (115.138.xxx.67)

    재정적자가 문제라면 미쿡과 일본은 옛날에 망하셨겠네효?
    뉴스나 쫌 보시압.. 현재 미국의 재정적자와 일본의 재정적자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
    그리고 사회복지정책의 실시를 위해서 재정적자를 허용하는게 아니라는 말씀. 미쿡과 일본이 사회복지정책때문에 재정적자가 는게 아닌뎅.... 아무떼나 갖다 붙이지 마시압...

    그리고 기업활동의 자유를 너무나 풀어줘버리면 더 망하죠.
    지금 왜 경제위기가 왔는지 2007년의 서브프라임모기지 사건때문아님?
    기업활동을 너무나 풀어줘버려서리 지네들 맘대로 투기하도록 내비뒀으니까 그 꼬라지가 난것임...

    저런 말도 안되는 개소리를 어디서 주워듣고는 맘대로 짜집기를 하다니... 쯧쯧

  • 2. 인간들의탐욕
    '11.8.27 10:18 PM (121.136.xxx.227)

    인간 세계에서 욕이 반드시 존재하므로

    경제가 망하는 사이클은 자연 현상의 일종입니다

    5 년 마다 오는 경기 침체

    또한 이런 것이 안오면 한 번 부자는 천년 만년 부자로 남는

    고착화된 계급 사회가 됩니다

    가끔은 아름다운 파괴(전쟁은 빼고)가 새로운 세계를 열어주고

    힘들게 저축해서 종잣 돈 모은 사람들에겐

    점프할수있는 기회를 주고

    빚으로 흥청망청한 사람들에겐 반성의 기회로

    가난 속으로 보내기도 하지요

    그냉 자연 현상으로 판단하는게 좋을 듯

    5 년마다 오는 이유,

    간단한 이유 하나. 정권이 5 년마다 투표를 하지요
    한 번 정권을 잡은 집단은 자기 정권내에 치적이란 이름으로
    (실제는 자신들의 주머니 채우기이지만, 오일병 있는 동안 서울시 적자 15 조가 늘둣이)

    빚을 얻어 ( 채권 발행, 어차피 빚은 우매한 국민들의 세금으로 떼울테니 , 우매의 뜻은

    정권을 잡은 정치가들은 그저 국민들이 세금내는 농노로 보기 때문)

    이것 저것 사업 벌이고 ,뒷 돈 챙기고

    큰 돈 챙기면 , 자기 식구와 자손들 계속 쭉 잘먹고 잘사니

    그래서 , 정치가는 도덕성을 갖춘 사람을 뽑으라는 말이 있지요

    이 번 사건으로 (오 일병, 이모모씨) 국민들이 개념이 잘 정립됐으면 함

    경제가 망하는 것을 자연 현상이라 볼 때

    서민들에겐 대단한 기회죠

    모든 것이 싸지니까 , 물론 종잣 돈을 모은 서민들에게만 해당

    돈 많은 부자들은 언제나 기회였고

    한국이 자본주의 사회라는 걸 인정하면

    슬프게도 사람위에 돈이 있답니다

    경제 망한다 침체온다 라고 걱정하지마시고

    그냥 자연 현상이니 , 그 때가 되면 좋은 물건들 사게

    열심히 종잣 돈 모으자 로 생각을 바꾸심이
    정신 건강에 좋을듯

    2011 년 하반기에서 내년 - 큰 침체 진입 시기

    1930 년 대 공황도 5 년 지나서 공황전으로 많은 것이 돌아갔고

    그 때 실업률이 25 % 이니(수치상) 75 % 사람들은 경제 활동을

    영위했었다는 뜻

    침체 시기가 지나면 호황이 오니 그 때를 준비하면 됨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649 젖 물고 자려고 하는데 어쩐대요~ 2 한 달 채 .. 2011/09/07 1,142
10648 용기 있는 여자가 미남을 차지 하나봐요 6 ........ 2011/09/07 4,791
10647 새벽에 등교하는 고딩 딸아이 아침식사 메뉴 85 질문 2011/09/07 28,743
10646 쌀이 거무스름해지는 건 왜일까요? 8 왜일까???.. 2011/09/07 1,341
10645 한대수씨부부를 봤습니다. 2 맹랑 2011/09/07 2,704
10644 박근혜가 대학민국 최초로 여자 대통령이 될수있을까요? 32 블zz 2011/09/07 2,020
10643 제 컴에는 사진올리기 기능.. 1 사진 2011/09/07 999
10642 고3입시에 대해.... 11 소담 2011/09/07 1,748
10641 서울 초중고 "복장·두발 자유, 휴대폰 소지가능 11 .. 2011/09/07 1,478
10640 추석선물로 사양벌꿀..... 2 2011/09/07 1,099
10639 추석연휴 비오네요..ㅠ.ㅠ 4 에잇! 2011/09/07 1,230
10638 당신남편 바람났다. 스팸전화 21 희망 2011/09/07 3,641
10637 백화점에서 100만원짜리 옷 지를수 있으세요? 27 양파즙 2011/09/07 4,370
10636 저도 딴집 쇼크 애기 나와서 4 유산균 2011/09/07 1,835
10635 종합건강검진후... 3 ,,, 2011/09/07 1,411
10634 나꼼수3mc 내용 요약해주실분.. 9 aa 2011/09/07 3,336
10633 전셋집인데 이사온지 한달만에 2 짱나 2011/09/07 1,790
10632 시어른깨서 오시면 일주일정도 머무르다 가시는댁 있으신가요? 4 위로 2011/09/07 1,804
10631 자유다 1 아기엄마 2011/09/07 840
10630 분노에서 희망이 싹틀 수 있나요? 4 safi 2011/09/07 1,548
10629 두돌아이가 제가 안된다고하는것만 제앞에서해요.. 13 도와주세요 2011/09/07 3,259
10628 저도 시어머니 자랑해요~~ 14 어디있니로스.. 2011/09/07 2,027
10627 (서울) 송편 맛있게 하는 떡집 추천해주세요. 1 송편 2011/09/07 2,005
10626 진짜 가을이네요. 3 가을 2011/09/07 1,084
10625 맞죠?... 주진우가 바로 그 사람!!! 5 ,. 2011/09/07 4,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