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공부 잘했던 거에 대한 근자감이라기보다는

글쎄 조회수 : 3,263
작성일 : 2011-09-23 17:37:53
공부 잘해봤자 별거 없다는 걸 알아서... 자식 공부에 좀 쿨할 수 있는 거 아닐까요 -_-

물론 공부 잘하면 인생이 잘 풀리는 확률이 훨씬 더 높은 건 알아요.
그치만 그냥 집에 돈이 좀 있고...하면
아등바등 공부에 목매기보다는
그냥 어느 정도만 하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마음, 인생에 대한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사람으로 크는 게 평생 더 행복할 것 같아요.

주변에 보면요.
공부를 정말 뛰어나게 잘해서 법조인 의료인... 이런 식의 전문직이 아닌 이상
회사원은 그냥저냥 삶의 질이 막 뛰어나진 않더군요.
전문직이야 워낙 자기 직업에 대한 자부심? 이런 게 또 있으니까요...
회사원들을 폄하하는 표현이 아니고... 일을 정말 좋아하시는 분들도 있고 자부심 갖고 직업활동 하시는 분들도 많은 거 알아요^^

저도 명문대 나왔고...
주변에 보면 고시패스 해서 외시 행시 사시.. 이런 거... 아니면 의사...
이런 직업 아니면 그냥 사는 건 거기서 거기에요.
오히려 나이 들수록 보면 자신에 대해 긍정적이고, 밝은 아이들이 점점 더 행복하게 살아요.
즉 같은 회사원이라고 할 때... 얼마나 행복하게 사는 법을 아느냐 하는 게 결국 행복한 삶을 꾸리게 하는 원동력이 되더군요.

공부하고 인생의 행복은 별로 상관 없는 거 같아요...

그냥 집에 돈 좀 있고
자기가 질리지 않고 일할 수 있는 직업 있고
좋은 친구들 있고 좋은 배우자 있으면 그게 행복인듯... (이러기가 어디 쉽나요)

물론 바로 이걸 성취하는 방법이 공부라서 공부 공부 하는 거지만요
학창시절에 아등바등 공부하느라, 혹은 공부 때문에 시달려서 자기가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을 못 배운 아이들은요
나중에 공부가 필요하지 않은 인생의 선택에서 잘못된 걸 선택하거나
자기가 가진 것에 대해 감사하지 못하거나 해서
별로 안 행복하게 사는 것 같아요

공부 잘했던 부모가 공부공부 하지 않는 건 근자감도 있겠지만...
공부 잘해봤자 그게 인생의 행복으로 바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걸 스스로 경험해서
아이한테 그걸 강요하지 않는 걸수도...





IP : 211.196.xxx.174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
    '11.9.23 5:49 PM (119.192.xxx.98)

    교육에 대해 제대로 아는 사람들은 자식에게 공부공부 강요 안해요.
    안철수나 박원순씨도 자식에게 공부타령 안했다고 스스로 하게끔 했다고 하더군요.
    서울대생들도 부모가 극성맞은 경우보다는 자연스럽게 키운 경우가 대부분이던데요.

  • 1. 근자감??
    '11.9.23 5:44 PM (119.192.xxx.98)

    전 공부잘했던 부모가 "근자감"을 갖는다 라는 표현 참 이해하기 힘드네요.
    왜 근거없는 자신감일까요?? 부모가 둘다 머리가 뛰어나면 자식도 그러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방치만 하지 않는다면 공부 강요하지 않아도 그 자식들이 타고난 유전자에다 환경에서 보고 배운게 있어
    대부분 잘 자라는 편인데요. (물론, 인성은 제외하고요)
    머리좋은 부모가 극성맞게 자식 키우지 않으면 근자감이라고 하는건지 이해가 안가네요.

  • '11.9.23 5:47 PM (222.107.xxx.181)

    근자감이 근거없는자신감이었군요.
    내가 모르는 무슨 심리학 용어인가 해서
    조용히 찌그러져 있었네요.

  • 2. ..
    '11.9.23 5:45 PM (1.225.xxx.11)

    글쎄요 놀땐 확실하게 논게 좋고 공부할땐 확실하게 공부한게 좋다고 생각하는 1인으로서
    학교 다닐때 성적이 좋았다함은 자신의 생활에 충실했다, 이 사람은 성실하다는 일종의 표시가 아닐까요?
    일단 주위로부터 이 사람은 성실하다는 인식을 받으니 자신감과 긍정적인 사람으로 자라게 되고요.
    근(거 없는) 자 (신) 감이 아니죠.
    제 주위엔 공부 잘했던 부모가 공부공부 안하는걸 별로 못봐서요.
    더 지독하게 시키던데요.

  • 3. ㅇㅇ
    '11.9.23 5:45 PM (211.237.xxx.51)

    저도 그렇다고 생각해요. 사실 공부를 잘한 애들이 인생 성공하냐 하면 꼭 그건 아니거든요.
    몇몇 특별한 직업군 아니면 그 밑에는 잘하고 못하고 보다는 운이 있냐 없나도 중요한듯 하고요.
    부모가 잘사냐 못사냐도 중요하고요..
    저는 그래서 아이가 공부를 못해서 죽고 싶네 어쩌네 하시는 부모님들 보면 안타까워요.....
    물론 속이야 상하겠지만 그게 그렇게 죽고 살고 할만한 일일까? 그럴만한 일이 아니다 싶어서요..

  • 4. 모카초코럽
    '11.9.23 5:48 PM (222.120.xxx.141)

    제 말이요.
    공부 잘하는 것도 중요하긴 한데 정말 미친듯이 극성을 떨만큼은 아닌거 같아요.

    성격 좋고 활달하고 긍정적이고 성실하고 예의바른 거.

    그게 살아가는데는 더 중요하고 필요한거 같아요.

    공부도 잘하고 위에 것도 갖추면 좋은데,, 공부때문에 성격버리고 친구버리고 예의버리고
    그럴바에는 그냥 공부 적당히 하는 게 나은 거 같아요

  • 5. 저도
    '11.9.23 6:07 PM (211.46.xxx.253)

    우루사가 두가지 종류인데 간에 좋은 성분??? 함량이 다른 두가지 종류로 있습니다.
    알아보고 사세요~

  • 6. ..
    '11.9.23 6:07 PM (211.234.xxx.107)

    제 생각은 달라요. 공부 잘하면 전문직 가진 좋은 배우자 만나고.. 전문직은 아니더라도 괞 챦은 직장 잡고 그래서 돈도 모으고 비슷한 사람들과 어울리는거죠. 그리고 친구는 행복의 조건에 필수적이지는 않다고 생각해요. 직장에서 말 잘통하고 서로 잘되길 빌면 그게 친구지 정기적을 만나고 나이 같고 동성이지만 자기만알고 시기하면 친구 아니더군요.

  • 7. ..
    '11.9.23 6:12 PM (211.234.xxx.107)

    행복의 기준이 다르니까 전 공부못해서 학교도 별로 직장 별로 배우자도 비슷하고 그러면 별로일거 같아요. 돈이 많음 모르지만 물려받은게 없으면 스스로 벌어야하는데 그 도구가 머리 또는 공부인 경우가 많은거죠. 장사건 머건 잘하려도 머리가 있어야하는거구요.

  • 그런데
    '11.9.23 9:23 PM (125.146.xxx.72) - 삭제된댓글

    장사 잘하는 건 공부머리하고는 또 다른 것 같아요. 저는 사람은 누구나 천직이 있다고 믿거든요. 공부와 상관없이 천직을 만난 사람은 행복하고, 또 더 나아가서 돈과 명예도 따라오는 거고, 천직을 못 만난 사람은 늘 힘들게 돈을 벌겠죠. 그래서 우리 애들은 무슨 일이든 좋아하는 일을 하다가 그쪽을 깊이 팠으면 좋겠어요. 그게 시작은 비록 미흡해도 분명 잘 될 거라고(최정상은 아니어도) 믿어요.

  • 8. 제맘같아요.
    '11.9.23 6:38 PM (59.27.xxx.200)

    고등학교 1학년 딸이 수학에 힘들어 하는거 보면서 공부에 대한 강박관념을 살포시 내려 놓았어요.
    공부욕심도 많고 성실하고 모범생인데, 수학때문에 좋은 대학에 못갈것 같아요.
    그러면서, 원글님 같은 생각이 많이 들더군요,
    하지만 제 딸이 수학마저 잘했으면, 공부쪽으로 많이 밀었을것 같네요.
    원글님이나 저는 제 친구 말대로 공부 못하는 자식을 둔 엄마들의 변명이 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사실 자영업이라 월 수입이나, 매달 들어오는 임대료도 상당하지만, 자식이 공부 잘한다면 더더욱 좋을듯^^
    하지만 그렇지 못한 상황에서 저는
    '그래, 어떤 직업을 갖든 사는게 거기서 거긴데, 네가 제일 행복할 수 있는 일을 찾거라...
    돈은 따지지 말고... (부족한거 아빠 엄마가 다 채워줄게) 그저 건강하고 착하게 자라서 좋은 사람 만나서
    알콩달콩 살기를 바랄 뿐이다.' 라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드네요.

  • 9. 맞아요
    '11.9.23 6:44 PM (121.130.xxx.228)

    공부잘했다고 꼭 인생의 행복만족도가 절대 높지 않다는거 이미 검증된 사례나 연구로도 엄청나게 많죠


    명문대 나오고 최고의 직업 가지고 있다해도 불행한 사람들 많아요


    인간관계나 인성이 인간에겐 살아가는 한평생의 중요한 척도인거 같아요


    공부는 사실 아주 후순위에요


    근데 너무 강요하는 한국사회- 좀 마이 미친거죠.

  • 10. 그지패밀리
    '11.9.23 7:05 PM (1.252.xxx.158)

    공부를 잘해서 성공하고 잘 풀리는 경우도 있고 공부를 안해도 일이 순탄하게 가는사람도 있어요
    여러가지 선택의 문제를 내 자식이 겪는다고 봤을때 다양한 선택권이 주어지는쪽이 공부를 많이 한 집단임은 분명한거고 그것땜에 시키는거겠죠.

    한국사회가 완전 변호사 의사 이런사람들로만 구성된 사회는 아니거든요
    그밑에 집단 또 그밑에 집단..잘게보면 참 다양하게 층을 만들려고 하더군요.
    그리고 또 저밑에 층에 공부안해서 그냥 실업계가서 자기가 선택하는 층 역시나 경쟁적입니다.
    어딘가 밥벌어 먹고 사는 일이 녹녹한건 없죠
    이 모든게 자신의 노력으로 하는 일이라면 쉬운일은 없다는거고
    좀더 일찍 이런 선택의 문제에서 우위에 놓이기를 바라는 마음에 윗쪽으로 놓여지길 바라는거겠죠.
    선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삶의 갈림길에서 행복 불행이 갈린다고 보고요

    돈이 많은 부모가 가지는 불안감 돈이 없는 부모가 가지느 불안감은 경중의 차이지 다들 있다고 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172 실비보험 찾아 헤맬게 아니라, 영리병원을 막아야 합니다 2 ^^ 2011/10/11 1,581
18171 알수 있을까요? .. 2011/10/11 1,166
18170 뉴스만 보면 서울시장선거는 이미 진흙탕;; 7 yjsdm 2011/10/11 1,469
18169 내딸은 폭풍성장중... 2 생후 52일.. 2011/10/11 1,988
18168 재료꺼내놓고대기중) 고등어 김치찜 제일 간단한 레서피... 아시.. 8 죽순이 2011/10/11 1,975
18167 냥이들 훈제연어 줘도 될까요? 1 - _- 2011/10/11 1,340
18166 별명좀 지어주세요 cass 2011/10/11 1,051
18165 홍준표 나꼼수 출연… BBK사건 놓고 설전 예상 10 세우실 2011/10/11 2,247
18164 눈에 좋은 건강식품이나 음식 추천 좀 해주세요~ 1 .. 2011/10/11 1,363
18163 mp3로 들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8 나꼼수 듣고.. 2011/10/11 1,379
18162 놀러와 김경호 어땠어요? 13 .. 2011/10/11 4,331
18161 굿와이프 시즌3 6 ,,, 2011/10/11 2,420
18160 생선 많이 안드시나요? 12 좋은 바다 2011/10/11 2,586
18159 . 40 궁금이 2011/10/11 5,542
18158 여러분 죽기전에 봉하마을 꼭 한번 가보세요. 그게 아방궁인지.... 9 como 2011/10/11 2,122
18157 공부잘하는딸 두신분들.. 혹은 본인이 공부잘하는딸이었던분들이요 25 intell.. 2011/10/11 4,785
18156 같이친하게지내는 아이엄마 2 아이 2011/10/11 2,204
18155 이유불문하고 중학생이랑 고등학생이랑 같이 수업듣는 거.. 8 학원 2011/10/11 1,727
18154 신지호,이번엔 '골수 뉴라이트' 인증....팀킬ㅋㅋㅋㅋㅋㅋㅋ 8 ㅎㅎ 2011/10/11 2,030
18153 남자 아이 건성 피부 솔방울 2011/10/11 1,091
18152 생리 첫날 헬스는 하는게 좋다 vs 안 하는게 낫다? 4 냥~ 2011/10/11 6,872
18151 이런 사람도 결혼할 수 있을까요?? 3 컴플렉스 2011/10/11 2,047
18150 지루성피부염있으신분 1 머리 2011/10/11 2,370
18149 서해안에 조기가 풍어지요 13 떨려요. 2011/10/11 2,196
18148 독일어를 배우고 싶어요_ 13 독어사랑 2011/10/11 2,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