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희 양가의 명절비는...

ㅎㅎ 조회수 : 1,579
작성일 : 2011-09-15 13:18:34
시댁은 제사, 차례를 일절 안지내는 집입니다.
그래서 제사 음식이나 생선을 하지 않죠.
그냥 음식 만들고 명절 당일에 상차려서 밥 먹어요.

제사,차례가 없다고 간소한 것도 아니에요.

시조부모님이 다 살아계셔서 그곳으로 다 모여서
먹을 음식을 하는데 다 먹지도 못하고 잘 먹지도 않는 것
무지 합니다.
매해 죽어라 일하면서 생각한게 제사,차례도 안지내는데
그냥 간단히 마련하고 먹으면 좋으련만 왜이렇게
많이 하나.
아마도 상위에 가득 가득 올려져야 안심이 되는 모양이에요.
그렇게 올려진 거 반에 반도 못먹는데...

시어머니나 작은어머니들이 장 봐오고 비용 분담을 똑같이 
하는 거 같구요.

저는 나중에 시어머니한테 그냥 명절비라고 조금 드립니다.
내려갈때 시댁이며 시조부모님 댁에 과일이나 이런 선물 따로 챙기고요.

결혼한 시누이나,  미혼인 시동생은 따로 명절비 같은 거 안줍니다.
시어머니는 제가 명절비 드리면 이런걸 뭐하러 하냐고 하시면서
많이 줄거면 하고 그렇지 않으면 하지 말라고 하시죠.   
그냥 생각해서 하는 말씀인 줄 알지만 이왕지사 형편 어렵게 시작해서
어떻게든 잘 살아보려고 맞벌이하면서 애쓰는 저희가 명절이라고
얼마라도 챙겨드리려 하는 거면
말씀이라도 고생 많은데 생각해줘서 고맙다..라고 해주시면 좋겠어요.


저희 친정은 제사, 차례를 지내는 집이지만
간소하게 해요.  
저 어렸을때는 많이 했었는데  며느리 들어오면서
엄마는 많이 간소화를 했고  음식 준비할게 많지 않아요.

엄마가 90% 다 해놓으시고
올케 언니들은 내려가서 전 정도 부칩니다.

저흰 모든 경조사는 똑같이 분담해요.
저희가 제일 형편이 안좋고 힘들지만 전 한번도 열외락 생각한 적 없이
똑같이 하고 당연히 똑같이 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제가 결혼 전에는 제사, 명절비 모두 똑같이 나눠서 냈고
결혼하고 나서는 제사때는 똑같이 비용을 나눠 내고
명절때는 제가 빠지다 보니 나머지 형제들이 나눠 내는데
저는 명절때 따로 엄마에게 명절비 드려요.

형제들..그러니까 오빠들이 셋인데 한집당 명절비 15만원씩 내더군요.
다 모아야 45만원이지만  어찌보면 이건 각자 식구들 먹는 비용이나
마찬가지 같더라구요.

엄마가 제사 음식 장본거나 자식들, 손주들 먹인다고 반찬 하고
고기며 뭐며 다 사다 해주고 챙겨주고 하는 비용에 비하면 엄청 모자라는
비용일거에요.

그런데도 엄마는 그런 명절 비용 받으면서도 좀 미안해 하시고 고마워하시죠
명절비 건네면 올케 언니들한테 고맙다 하시고
안받았으면 좋은데 이거 잘 받아서 가을 농사 비용 해야겠다..하시고요.
뭐 자식들 온갖 먹거리 농사 지어서 다 대주시거든요.

저도 따로 명절비 드리면 엄마는 그러시죠
형편도 어려운데 이렇게 챙겨줘서 어쩌냐고. 고맙다고...


금액이 똑같은 명절비라도 느낌은 참 달라요.ㅎㅎ
IP : 112.168.xxx.63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9.15 1:27 PM (121.165.xxx.195) - 삭제된댓글

    며느리입장과 딸 입장은 다른듯..

  • 2. 저흰
    '11.9.15 5:42 PM (118.40.xxx.126)

    이런 얘기 너무 재밌어요.. 저도 죽음이 (그리고 삶이)몰까 궁금해서 많이 연구해봤는데. 암튼. 결론은 삶과 죽음은 일종의 사이클이고 그냥 생긴대로 사는게 결론이더군요. 이 모든 상황은 내가 초래한 것이다라는 전제하에.. 가볍게 소풍나온 것처럼.. 단, 착하게, 그리고 남한테 나쁜짓하지 않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723 11살~12살 아이 영양제 어떤거 먹이세요? 1 연이맘 2011/09/26 2,216
12722 전입신고는 이사지 동사무소에서만 할수 있나요? 1 이사 2011/09/26 5,583
12721 오오.. 나가사끼 짬뽕 정말 맛있어요 17 나가사끼? 2011/09/26 2,499
12720 고구마순이.. 큰줄기인가요? 잎줄기인가요? 4 나라냥 2011/09/26 1,523
12719 분당 지역난방 4 자몽 2011/09/26 1,869
12718 평창이나 봉평쪽에 찜질방 없나요? 2 차이라떼 2011/09/26 4,302
12717 아고라 청원 링크좀 해주세요 4 도가니 2011/09/26 1,188
12716 가금씩 출혈있어요~ 산부인과 2011/09/26 1,587
12715 [중앙] 문 닫은 저축은행 불법 대출 … 금감원, 지난 달까지 .. 1 세우실 2011/09/26 1,397
12714 40대 중반이 시터일 하기엔 너무 젊죠? 11 시터일 2011/09/26 3,762
12713 초6 여자아이 뭐 바르나요? 화장품 2011/09/26 1,323
12712 한쪽눈 쌍거풀이 자꾸 풀려요.. 1 나야나 2011/09/26 2,251
12711 이곳 자유게시판에 그림 안 올려지지요? (^~^) 2011/09/26 1,165
12710 김명수 젓갈 사보신분 여쭤보아요 2011/09/26 3,583
12709 탁구 치시는 분.. 13 꼭 사야할까.. 2011/09/26 2,685
12708 그지같은 중앙일보 구독 해지 받으적 없는 상품권을 토해내라고 하.. 2 진성아빠 2011/09/26 3,059
12707 헐리웃 고전배우들의 어린시절 고전 2011/09/26 2,438
12706 연대논술 보려고 몇시간전에 가면 차가 안 막힐까요? 15 저번에 2011/09/26 2,837
12705 화장실 매너 꽝~ 4 애엄마 2011/09/26 2,476
12704 가래떡이 많은데요. 어떻게 보관할까요? 7 2011/09/26 8,441
12703 들어 보셨나요? 4 농가진 2011/09/26 1,326
12702 마스킹 테이프가 방풍, 방한 효과가 있을까요? 9 김마리 2011/09/26 2,223
12701 동생이 집을 샀는데 28 호호맘 2011/09/26 13,848
12700 한솔 신기한 수학나라 리오 2011/09/26 1,291
12699 자랑질*^^*-나가수 청중평가단 당첨 8 서울의달 2011/09/26 2,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