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남편이 중간정산을 받앋구요, 퇴직급여 방식을 회사에서 선택하라는데

어떤게 좋을까요? 조회수 : 1,302
작성일 : 2011-09-08 21:23:12

일전에 글을 올렸던 사람인데요.

 

다시 한번 조언 부탁드립니다.

 

남편이 중간정산을 받아서, 그건 이달 중순에 나온다고 하네요.

 

충고해주신대로, 저도 일정부분은 대출금을 갚고,

 

원금을 묶어 이자를 받아 다시 적금을 드는 방법으로 해야할거 같아요.

 

그리고, 이런쪽은 전혀 모르는 부부다 보니,

 

남편네 회사에서 퇴직연금에 들어갈껀데,

 

확정기여형이나 확정급여형 중에 선택을 하라고 합니다.

 

남편은 중견기업에 다니고 있구요, 입사한지 10여년이 되었습니다.

 

퇴직금 중간정산은 받았구요,

 

남편이 회사를 5~10년정도 더 다닐수 있다고 보았을 때,

 

확정기여형이나 확정급여형 중에 어떤걸 선택하라고 해야 좋을까요?

 

고수님들의 도움 다시 한번 부탁드립니다. ^^*

IP : 110.8.xxx.113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9.9 1:14 AM (220.76.xxx.27)

    일단 제 생각엔 퇴직연금제도는
    근로자 입장에선 안하는게 좋은듯 해요.
    회사 부담 덜어주고 보험회사 배불리는 일이랄까..

    몇년전부터 보험사들이 전투적으로 대기업 인사팀 및 임원들을
    초대해서 호텔서 설명회하고 코스요리 먹여가며..
    퇴직연금제도 얼마나 열올리며 밀었는지 모릅니다.

    저도 업무차 몇번 가봤는데.. 아무리 들어봐도 왜 해야하는지 이유를 모르겠고
    물론 일개 근로자가 아닌 회사 입장에서 보자면 손해볼건 없지만
    일단 우리도 월급쟁이니까 ㅜㅜ

    하지만 그래도 추진되는 곳이 있다면 그건 아마 임원진이나 경영진이
    보험사와 어떤 커넥션이 있을거라는 추측도 들었어요.
    듣기로는 어떤 회사도 임원 중 한분이 특정 보험사 임원과 친분이 있어
    퇴직연금제도 추진하려다가
    노조의 반발을 감당할 수 없어 접었다는 말도 들었어요.

  • 2.
    '11.9.9 1:20 AM (220.76.xxx.27)

    아무튼 어차피 추진되었고 퇴직금 중간정산도 했다니 할수없네요.
    개개인이 누구는 하고 누구는 안하고 선택할 수 있는게 아니니..
    이게 가장 큰 불만이었던듯.. ㅡㅡ;
    확정급여형 확정기여형 이건 그냥 형식적인거죠.
    어차피 확정급여형으로 할수밖에 없어요.

  • 3. --'
    '11.9.9 9:29 AM (118.34.xxx.86)

    아마도 노조가 없으신가 봅니다?? 그런건 보통 노조랑 회사랑 협의 하는부분인데요..

    확정기여는 고정급입니다. 즉, 회사에서는 내연봉의 1/12을 적립해줄 의무가 있고, 그 이상은 적립하지 않습니다. -물론 회사 사정이 어려워도 그 금액은 적립해야 합니다.

    확정급여형은 변동형입니다. 회사 사정이 좋아지거나, 사정이 안 좋아지면 그 금액이 변동이 될수 있습니다
    (강한 노조가 있는 회사라면 확정급여형을 선택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협의를 통해, 더 많이 적립되니까요)

    회사가 발전하는 회사라면 확정급여형이 더 낫고, 안정세에 들어선 회사라면 확정기여형이 낫습니다.

    아.. 또 사원끼리 모여서(그룹을 만들어서) 자기의 퇴직금을 직접 투자할수 있습니다
    (주식형, 펀드형, 예적금형등, 물론 그 수익,손실은 본인이 집니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니, 찬찬히 알아보세요

    저희 회사는 확정기여형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319 뛰면서 방향바꾸는거 몇살에 되었나요? 2 El 2011/09/27 1,230
13318 김나운국수는어때요? 7 ... 2011/09/27 2,702
13317 이런거 받아보신분 계세요???가족부??라는데서 온 우편물 1 성범죄자 명.. 2011/09/27 1,550
13316 이젠 엄마 안하고 싶다. 10 미친 여자 2011/09/27 2,818
13315 진짜..기운내고 싶은데.. 1 ... 2011/09/27 1,191
13314 1억집을 산다면 취득세 등록세 얼마일까요 3 .. 2011/09/27 7,838
13313 먼지통 위에 달린 먼지따로 진공청소기 어떤가요? 4 청소기 2011/09/27 1,600
13312 황당한 오작동 스마트폰 2011/09/27 1,185
13311 일본노래 받을수있는곳 2 일본노래 2011/09/27 1,386
13310 재산세 고시서 6 궁금 2011/09/27 2,258
13309 집 잘 팔리게 하는 방법 아시면 알려주세요~ 15 lulu 2011/09/27 18,100
13308 나 가거든-박정현 정말 좋은데요.. 14 교돌이맘 2011/09/27 2,344
13307 유리병 재활용해도 되나요? 5 2011 2011/09/27 2,075
13306 요즘 꾸밈비 얼마나 해야하나요? 시동생 결혼 문제로... 6 도와주세요... 2011/09/27 3,965
13305 신반포나 이수역 가까운 곳 피부과 추천해주세요~ .. 2011/09/27 1,349
13304 제주항공권 제일 저렴한곳 예매는?? 2 제주도 2011/09/27 2,014
13303 조두순 기억하시죠? 1 나영이 아빠.. 2011/09/27 1,761
13302 HK저축은행은 안전할까요? 5 hk 2011/09/27 1,808
13301 동물병원에서 미용하시는 분들은 자격증을 가지고 있지 않나요? 6 제니 2011/09/27 1,883
13300 진지하게 죽음을 생각해 봤어요... 8 지천명 2011/09/27 3,000
13299 전기장판 추천좀 해주세요~^^ 4 따듯한 겨울.. 2011/09/27 2,196
13298 남편이 나랑 바꼈다면 애들 더 잘 키우고 살림 잘 할거 같은 집.. 4 체인지 2011/09/27 1,648
13297 남편이 회사일로힘들어하는데... 5 심먀 2011/09/27 2,197
13296 락앤락 숨쉬는 병이 안열려요 ㅠㅠ 4 아메리카노 2011/09/27 1,554
13295 불굴의 며느리, 영심인지 그 아줌마 너무 추해요 22 가을 2011/09/27 6,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