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일본 며느리들이본 한국의 제사문화(비판적)

수안리 조회수 : 3,043
작성일 : 2011-09-07 19:00:55
간노 아줌마의 제멋대로 서울 이야기 (3) 
  
<간노 도모코 >  
 
결혼 후 다시 서울에서 살게 됐다. 예전 1년간 겪었던 어학연수와 결정적으로 달랐던 것은 뭐니뭐니해도 며느리수업이었다.

물론, 일본에서는 한 적도 없고, 처음 겪는 일....
서울에 오기 전, 한국에 사는 일본인 친구들이 이런 식으로 겁을 주었다.


"고부간의 문제는 동서고금 비슷하기 때문에 어떻게 될 거라고는 생각해. 그렇지만 가장 힘든 일이 제사야. 제사음식은 며느리가 전부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거든. 그래서 제사가 가까워지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가 쌓여서 끝난 다음에도 한참이나 멍한 상태가 돼. 각오해두는 편이 좋을 거야!"  


그러나, 그런 이야기를 들어도 느낌이 딱 안 온다.

일본에서는 대부분의 집이 히간(彼岸-춘분이나 추분 등의 9일간)이나 오봉(8월 15일 전후 일본 명절) 때 성묘는 해도, 가족이 모여서 식사를 하는 것도 드물다. 한다 하더라도 호텔이나 레스토랑 등에 모이는 것이 극히 일반적인 모습이다. 제사음식의 준비라고 해봤자 막상 하게 되면 그렇게 큰일이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시작하기 전부터 어렵게 생각하지는 말자고 마음 먹었다.  

서울에 오기 전까지는 괜찮았다. 그런데 막상 해 보니 제사란 예상 밖으로 큰 일이었다.  

내가 겪은 첫 제사는 시아버지 제사로 서울에 와서 3개월 지난 무더운 여름이었다. 우선 어떻게 무엇을 해야되는 지 잘 몰랐다. 시어머니가 시키시는 대로 할 수 밖에 없다고 마음을 먹었다. 


집에 따라 준비하는 것이 다르겠지만, 우리집의 특징은 시아버지께서 생전에 고기를 즐겨드신 것도 있어서 도미를 시작으로 조기 등 20마리 정도 구워서 제사음식으로 내놓았다. 처음 20마리라고 들었을 때는 양이 많은 것에 놀랐으나 대가족의 경우는 이 이상이라고 들었기 때문에 아무런 말도 할 수 없었다.   

형님이 전이나 갈비를 담당하게 되어서 나는 시어머니가 하던 생선이나 국 담당을 물려받게 됐는데, 처음 하는 것도 해서 시어머니와 같이 준비를 하게 됐다..


국 만들기는 일본과 비슷해서 쉽게 만들 수 있었는데, 문제는 생선이었다. 굽는다고 해도 프라이팬에서 굽기 때문에 형태가 망가지지 않도록 우선 하룻밤 말리지 않으면 안된다고 한다. 당시에는 시장에서 말린 생선을 팔고 있다는 것을 몰랐다.


제사 이틀 전 시어머니 집에 가서, 커다란 자루에 생선을 늘어놓고, 선풍기로 표면이 딱딱해질 때까지 수분을 없앴다. 이것만으로도 오후를 다 소비했고, 앞으로도 이 일이 계속 이어질 거라고 생각하니 한숨이 나왔다.   

그리고 제사 전날, 드디어 생선을 굽기로 하고 다시 시어머니댁을 방문했다.
부엌에 가서 가스렌지에서 그냥 생선을 굽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부엌 옆에 있는 작은 베란다에 왠일인지 화로가 2대 놓여 있는게 아닌가. 게다가 화로 앞에는 욕실에서 쓰는 작은 의자가 살짝 놓여 있었다.   


"렌지에서 구우면  집안 전체에 냄새가 배니까 여기서 굽는 거야. 자 얼른 옷 갈아입어"


마음 속에서는 '아악'하고 소리가 났지만, 그럴 틈도 없이 손에 들고 있던 헐렁한 옷으로 갈아입었다. 조심스레 베란다로 가보니 시어머니는 이미 작은 의자에 자리 잡고 앉아서 생선을 굽고 있었다. 


나도 시어머니 정 반대편에 앉아서 막상 고기를 구우려고 하니까, 시어머니께서 투명한 비닐을 꺼내서 건넸다. '어, 뭐지?'라고 생각하고 받아들자 '아니 이건 헤어캡!'. 갑자기 이것을 어디에  쓰는 걸까,  영문을 알 수 없어 갸우뚱거리고 있으니까 시어머니는 머리를 가리키며 "머리카락에 냄새가 배니까 이걸 머리에 써"라고 한다.

앗! 하고 보니 시어머니는 이미 머리에 투명한 헤어캡을 쓰고 있는 게 아닌가! '이것은 꽤 우스꽝스러운 모습인데' 라고 생각하면서도, 그저 조용히 시어머니를 따라배우기로 했다. 다른 사람이 보면 상당히 웃기는 광경이었을 것이다.

생선을 구우면서 시어머니는 여러가지 이야기를 해주셨다. 시아버지는 남편이 중학생 때 돌아가셨는데, 정말로 갑작스런 일이었다고 한다. 시어머니는 그때 40대 초반이었다. 

"돌아가시기 전에 점을 보러 간 적이 있었어. 그때 점쟁이가 부부가 사이 좋게 오래 살거라고 했거든. 그런데 갑자기 돌아가셨잖아..." 


그 다음부터 시어머니는 점을 보러 가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 하다보니, 20마리 가까이 생선을 다 구웠다. 굽기만 하는  것이어서 대단한 품이 드는 것은 아니었지만, 끝나고 나니 왠지 모르게  피곤했다.

'아 힘들었다!' 하면서 옷을 갈아입고 헤어캡을 벗었다. 그날 저녁식사는 드물게 남편의 배려로  밖에서 먹기로 했다. 준비를 하고 시어머니와 같이 밖에 나가려고 현관까지 나오니까 시어머니가 내 얼굴을 보고 '와하하'하고 웃는 게 아닌가. 


어 왜 그러시지? 하고 현관에 있는 거울을 보니까 세상에! 이마에 뚜렷하게 헤어캡 고무줄 자국이 남아있는 게 아닌가. 시어머니의 이마는? 하고 보니 시어머니 역시 이마에 고무줄 자국이 선명하게 남아 있었다. 


"어머니도 고무줄 자국이 있어요."

라고 말하니까 시어머니도 거울을 들여다보더니 "앗! 정말이다"라고 외쳤다. 둘은 서로를 보면서 폭소를 터뜨렸다.  

어찌저찌해서 제사 데뷔는 우선 무사히 끝나고, 그후 몇 번이나 제사를 치루었지만,  스트레스인 것은 변함이 없다. 제사를 지내고 나면 기분은 좋지만, 이상하게도 스트레스가 쌓인다.
http://www.jpnews.kr/sub_read.html?uid=4611§ion=sc53
IP : 203.171.xxx.59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9.7 7:34 PM (110.13.xxx.156)

    우리나라 문화를 외국인이 비판한다고 지낼 제사 안지낼것도 아니고 ..조금만 기다리세요
    우리 부모들 세대로 제사도 끝입니다. 자기 친정제사는 꼭 지낼거라는 여자들만 없어 지면요
    우리 아래 세대는 지내라 해도 안지냅니다
    우리도 이렇게 싫은데 공주같이 집에서 자란 공주님들이 남의 조상 제사 안지냅니다

  • 2. 수안리
    '11.9.7 7:39 PM (203.171.xxx.59)

    그거야 우리세대 여자들의 바람일뿐이고 앞으로 어찌될지는 알수없죠..과거부터 이어온 관습이라는게 냉큼 없어지나요..

  • 3. 수안리
    '11.9.7 7:43 PM (203.171.xxx.59)

    제 갠적인 생각에 앞으로 백년이 지나도 지낼 가문은 지내겠죠,애초에 여자들한테 무슨 선택권이 있는게 아니니 여자들이 바란다고 사라질까

  • 4.
    '11.9.7 7:45 PM (150.183.xxx.253)

    그래도 지속적인 노력은 필요하다고 봐요.
    여자들...옛날에는 투표권도 없었고 사람취급도 못받았죠.
    명절에 친정가는거? 생각도 못했죠.

    그래도 자꾸 공론화 시키고 얘기가 되어야 바뀌는거 아닐까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여자들의 경제력이 키가 아닐까 합니다만은..

  • 5. 긴수염도사
    '11.9.7 8:28 PM (76.67.xxx.26)

    정 싫으면 제사 안지내면 되지 굳이 인륜도 모르는 왜놈들의 시각까지 끌어올 것까지야 없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460 대구에 있는 백화점 중... "불가리" 매장 있나요 ?? 3 대구보다 시.. 2011/09/25 2,124
12459 이혼 후가 더 .... 18 힘드네요 2011/09/25 17,153
12458 3억원 ‘쌩돈’ 날린 엄기영, 가욋돈 챙긴 한나라당 3 지네끼리 사.. 2011/09/25 2,136
12457 직장맘님들 보통 수면시간이 어느 정도이신가요? 8 ..... 2011/09/25 2,769
12456 초등학교 교과서 보기 7 ㅇㅇ 2011/09/25 4,355
12455 좀 황당 1 yaani 2011/09/25 2,063
12454 도올선생의 꼼꼼함 ㅋ~ 참맛 2011/09/25 2,030
12453 5학년 여아 도서 추천해주세요. 초등생 2011/09/25 1,069
12452 서울대병원 간호사분 글읽고..제가아는 대학병원 간호사 이야기.... 14 .. 2011/09/25 34,731
12451 취업 조언 해주세요^^ 꽃게 2011/09/25 1,285
12450 처음 간장게장 담았는데 성공했어요!!~ 좋은 레시피예요.. 7 난생처음 2011/09/25 5,196
12449 몇살때부터 노안안경을 맞추셨는지요? 4 심한근시인 .. 2011/09/25 3,080
12448 물리치료사 되려면 주로 대학은 어느계통으로 진학하나요 ? 2 .. 2011/09/25 2,841
12447 지방 집값 들썩들썩하네요. 여러분들 사시는곳은 어떠세요?? 11 ... 2011/09/25 4,179
12446 연봉 5천 진짜 별거 아니네요.... 20 .. 2011/09/25 49,417
12445 점심 먹으면서 있었던일... 1 밥먹다가.... 2011/09/25 1,941
12444 30여년전에 친정엄마가 아주 유명한 연예인 엄마에게 빌려준 돈을.. 15 이런경우엔?.. 2011/09/25 18,131
12443 부도위험 급격히 악화--기사에 딸린 댓글(퍼옴) 6 댓글이 넘 .. 2011/09/25 2,684
12442 그냥 딴나라당편이 아니더라도 박근혜까지 다 해 쳐먹으라고 밀어주.. 9 산골아이 2011/09/25 1,546
12441 미드 '프렌즈' 잘 아시는 분들.. 7 미드 2011/09/25 2,913
12440 韓 부도위험 급격히 악화…`위기국가' 프랑스 추월 16 클났다 2011/09/25 2,974
12439 대학병원 임상병리사 평생직장 돼나요? 2 .. 2011/09/25 5,505
12438 메뚜기 꿈은 흉몽일까요? 2 .. 2011/09/25 7,301
12437 병원에서 정기구독할 잡지 추천 부탁드려요 1 정기구독 2011/09/25 1,367
12436 호랑이꿈을 4 호랑이꿈 2011/09/25 2,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