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육아&교육

내 아이를 더 밝고 건강하게 키울 수 있는
정보교환과 질문의 장

자사고에 이어 특목고는 문제 없나?

| 조회수 : 2,804 | 추천수 : 0
작성일 : 2014-08-31 08:48:32

일반고 몰락 구경만 할 것인가

대학입시가 부모의 경제력에 좌우된다는 지적은 꾸준히 있어 왔지만 그 부정적 영향이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분석이 있어 소개합니다 .

서울대 경제연구소의 학술지 ‘ 경제논집 ’ 의 " 경제성장과 교육의 공정경쟁" 논문에 따르면 2014 년 서울대 합격자가 강남구는 100명당 2.1 명인데 강북구는 0.1 명으로 21 배 차이 가 났습니다 . 서초구는 1.5 명 , 송파구는 0.8 명인데 비해 구로구와 금천구는 각각 0.2 명으로 나타났습니다 . 특히 연구자가 서울대 김세직 교수라는 점에서 입시당국은 새겨들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서울대 합격자로 본 상위 3 개구와 하위 3 개구의 순위는 아파구 매매가격과 거의 정확히 일치 합니다 . 부모의 경제력 차이가 자녀의 학력 차이로 여실히 이어졌음을 보여줍니다 .

교교 유형별 격차도 뚜렷해 서울지역 일반고에서는 100 명당 0.6 명이 서울대에 합격했지만 특목고인 외국어고와 과학고에서는 10 명과 41 명이 서울대에 합격해 그 차이가 15~65 났습니다 .

특목고는 학비도 비싸지만 (보통) 중3생들이 돈이 많이 드는 사교육을 받지 않으면 입학이 어렵습니다 . 지역별로 보나 고교 유형별로 보나 돈 있는 집 아이가 서울대에 들어간다는 얘기입니다 . 부의 대물림이 학력의 대물림을 낳고 학력의 대물림이 다시 부의 대물림을 가져오는 식입니다 . 이는 교육의 공정경쟁을 뿌리부터 해치는 사회적 악순환입니다 .

인적 자원의 배분을 왜곡해 경제성장의 잠재력을 훼손시킬 위험이 있다고 지적한 서울대 김세직 교수의 결론에 공감하는 이유입니다 .

공교육의 기반을 무너뜨리는 정책들이 본격적으로 시행하면서부터 특정지역 특정계층 학생들이 서울대를 독점하기 시작했고 , 특목고와 자사고 등 평준화를 무력시키는 학교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면서 공교육의 상징인 일반고는 맥없이 몰락했습니다 .

대학은 대학대로 성적 우수자 선발에만 급급하면서 교육을 통한 계층 간 이동의 기회가 사실상 막힌 것입니다 . 서울대가 ‘ 그들만의 대학 ’ 이라는 폐쇄성에서 벗어나는 길은 일차적으로 구성원의 다양성 확보에 있지 않을까 ...

교육당국은 이제라도 특목고의 명문대 합격의 문제점과 특목고 본래의 설립 취지에 맞는 교육과 입시 정책을 꼼꼼히 따져, 자사고에 이어 특목고 손질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큼을 인정해야 한다!!!

PS) 특목고와 자사고가 남의 얘기가 아닙니다. 우리 아이들의 공정한 경쟁과 나라의 미래가 걸린 중차대한 일입니다.

        적어도 교육에서만은 평등한 기회보장과 fair play가 이뤄져야 합니다.

        많은 의견 주십시오.

종달새 (worknhappy)

공평한 경쟁과 품격 높은 교육만이 공정한 사회를 이룬다. 부모의 힘에 의해 자녀의 장래가 결정되는 교육은 바뀌어야 하고 정책은 투명하고 일관성이 보장..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깽굴
    '14.8.31 10:19 PM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가 너무나 힘든 우리나라 현실, 너무 오래되고 깊어서 어디부터 손대야 할 지 알 수 없는 만신창이 환자같은 우리나라 교육과 사회가. 참 아프고 고통스럽네요
    아이들이 제일 불쌍하고 부모들도 불쌍합니다
    문제를 느끼면서도. 같이 미친 행렬에 휩싸여가는 우리 사회. 무엇을 위해 가는지도 모르고 그냥 갈 수 밖에 없는 이 사회
    삶의 의미와 재미를 경험하는 교육과 학습을 아이들에게 줄 수 있는 날이 그런 날이 오면 좋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첫글을 남겨주세요~ ^^